View : 7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지현-
dc.creator유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7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1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734-
dc.description.abstract현 사회는 갈수록 ‘문화’가 산업의 내용이 되고, ‘인간’이 설계의 중심이 될 것을 시사하고 있다. 21세기를 맞은 현대사회는 소득의 증대와 주 5일 근무시대를 맞아 주말여가선용을 위한 문화생활의 일환으로, 개인 또는 가족단위로 각종 박물관과 예술 공연장으로 몰리고 있다. 이는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따른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여가생활에 대한 욕구가 활성화되면서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21세기의 박물관은 유물중심의 수동전시에서 체험중심으로, 보존중심에서 교육중심으로, 계몽중심에서 에듀테인먼트로, 관리자 중심에서 관람객 중심으로 전문화되고 있으며 한 나라의 시각문화를 대표하는 공공문화시설 및 서비스 기관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중 교육적인 전시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전시패널은 전시회의 해설을 위한 문자정보를 담은 매개체이며, 전시물이나 관련 전시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시각정보전달 매체이다. 박물관의 해석매체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전시패널은 전시정보와 관람객의 커뮤니케이션을 소통시키는 중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시패널을 디자인하는 것은 정보를 디자인하는 것이며,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일은 전시의 교육적인 역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므로 신중하게 계획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시패널의 기능과 역할을 사소하게 여기어 평가절하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패널의 존재가치와 역할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관람객 중심의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시지각(視知覺) 표현 원리와과학적 표현에 입각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제 1장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및 연구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장은 전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전시와 전시그래픽의 영역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전시패널이 정보전달 매체로서 갖춰야 할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제 3장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내에 위치한 박물관과 홍보관을 조사대상으로선정하고 관람객의 관람동기와 행동성향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제 4장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패널 사례조사를 통한 현황분석과 관람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시패널의 개선사항에 대한 문제점을 모색하였다. 제 5장은 시지각(視知覺) 표현 원리를 근거로 주목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토타입을제작하였다. 제작한 프로토타입은 검증과정을 통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객관화시켰다. 제 6장에서는 전반적인 연구의 결론과 연구의 한계점을 밝힌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전시패널의 디자인 원리는 첫째, 강력한 시각효과를 줄 수있는 ‘비주얼’에 시선이 주목되도록 디자인 한다. 비주얼은 클수록, 하단보다는 상단에, 우측보다는 좌측에 배치하는 것이 주목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적절한 화이트스페이스의 양은 주목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배경에 운동성과 방향성이 있는 패턴이 깔려 있을 때 주목도는 높아진다. 넷째, 서체의 생김새는 주목도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전시주제에 맞는 서체를 선택하여 일관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시패널 프로토타입은, 차기에 설립될 박물관의 전시패널을 개선하는 기본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Current trends are increasingly implying that cultures becomeindustrial contents, and that human beings take the center stage incrafting design. As people today enjoy more leisure with a five-dayworkweek system and an increased income, they as a group of familymembers or individually visit various exhibition and art performancevenues. This is because people's desire for leisure activities isvitalized by an advance in mass media driven by the development of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culture andarts. Museums in the 21st century are increasingly being specialized toshift their focus from a passive display of artifacts to an experientialdisplay, from preservation to education, from enlightenment toedu-entertainment, and from managers to audiences. They have beenestablished as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d service agencies thatrepresent visual cultures of a nation. Exhibit description panels in museums that considerably contribute toeducational exhibitions constitute media that contain explanatory textsof exhibitions, and they are necessary information delivery visualmedia to help understand exhibits and related exhibition details. Exhibit description panels, which are the most fundamentalinterpretation media in a museum, play a central role in communicatingexhibition information to viewers. To design exhibit description panelsis tantamount to designing information, and to effectively deliverinformation is crucial for exhibitions' educational role; thus thedesigning of exhibit description panels should be carefully planned. However, the function and role of exhibit description panels tend to bebelittled and under-evaluated. Thus, this paper attempted to shed light again on the value andimportant role of exhibit description panels, and to conduct anempirical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visual-perceptionexpression and of scientific expression with a view to devising asuccessful viewer-centric communication method.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1 presents research backgrounds, purposes, methods andscope. Chapter 2 examines a theoretical study of exhibitions to studyexhibition as a media of communication and the area of exhibitiongraphics, as well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exhibit descriptionpanels as information delivery media. Chapter 3 deals with the survey of museums and PR halls located inSeoul, and the viewing motivation and behavioral patterns of viewers. Chapter 4 examines an analysis of exhibit description panels ofNational Museum of Korea, and areas of improvement for exhibitdescription panels through a survey of viewers. Chapter 5 examines the manufacturing of prototypes aiming toheighten attention levels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visual-perception expression. Such manufactured prototypes areverified, and analyzed and objectified. Chapter 6 deals with this research's overall conclusion and limitations. The proposed principle of designing exhibit description panels,first, is to craft a design so as to draw attention to visuals withpowerful visual effects. Bigger visuals, visuals placed at the top ratherthan at the bottom, and visuals placed at the left-hand side ratherthan at the right-hand side can draw more attention. Second, anappropriate amount of white space can heighten attention levels. Third,moving and directional patterns in the backgrounds can enhanceattention levels. Fourth, the shapes of typefaces do not greatlyinfluence attention; thus appropriate typefaces should be chosen forexhibitions to communicate consistent messages. Therefore, the proposed prototype of exhibit description panels canbe used to improve exhibit description panels for museums to beestablish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2. 전시의 이론적 고찰 및 배경 = 3 2.1.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전시 = 3 2.1.1. 전시의 개념 및 목적 = 3 2.1.2. 전시의 유형과 특성 = 4 2.1.3. 전시의 정보전달 매체 = 8 2.2. 시각정보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전시그래픽 = 11 2.2.1. 전시그래픽의 영역과 특징 = 12 2.3. 정보전달 매체로서의 전시패널 = 17 2.3.1. 전시패널의 정의 = 17 2.3.2. 전시패널의 유형과 특징 = 18 2.3.3. 시야각도 및 시야면적 = 21 2.3.4. 전시패널의 시각적 구성요소 = 22 3. 관람객 관찰조사 = 28 3.1. 조사목적 및 방법 = 28 3.1.1. 조사대상 선정 = 28 3.1.2. 관람객 관찰조사 및 행동성향 = 29 4. 국립중앙박물관 사례를 통한 전시패널 분석 = 35 4.1. 국립중앙박물관 개요 = 35 4.2. 전시패널 사례조사 및 분석 = 35 4.2.1. 조사목적 및 방법 = 35 4.2.2. 사례조사 및 현황분석 = 36 4.3. 관람객 설문조사 = 47 4.3.1. 조사방법 = 47 4.3.2. 설문내용 = 47 4.3.3. 설문결과 및 분석 = 48 5. 프로토타입 제안 = 58 5.1. 관람객의 정보처리 과정 = 58 5.2. 프로토타입 제작 = 59 5.2.1. 연구문제 설정 = 59 5.2.2. 프로토타입 제작범위 = 59 5.2.3. 프로토타입 제작 = 61 5.3. 실험연구 및 결과분석 = 67 5.3.1. 실험연구 = 67 5.3.2. 결과분석 = 68 6. 결론 = 76 참고문헌 = 79 부록 = 81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200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전시패널의 주목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ttention Levels of Exhibit Description Panels : Centering on standing exhibitions of National Museum of Korea-
dc.creator.othernameYOO, Jee-hyun-
dc.format.pageix,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