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7학년의 등고선 이해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7학년의 등고선 이해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eatures Underlying the Comprehension of Contour Lines by 7th graders
Authors
홍정의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7th grade students' level of comprehension of the contour line based on the contour map and identify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in understanding the contour line. To achieve this goal, three different contour maps were selected and 8 questions were set to estimate the comprehension level of the students. The final estimating equipment was 1 contour map composed of 8 questions and 3 types of maps (A type, B type, C type) were made.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3 classes in M middle school and 2 classes in N middle school both located in the Paju city. This survey was started from March 24 2008 and ended in April 7 2008 for two weeks. To estimat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he contour line, A type, B type, and C type contour maps were handed each week to th subjects of this survey, the 5 classes from M and N middle school.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suggested sequence of the map on the comprehension of the contour maps, the sequence of the maps were cross-distributed to each individual class. After this experiment, a total of 540 papers were recollected and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the collected papers were verified by the one-way ANOVA, x2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Scheffe's multiple range tests were applied to re-confirm the test results. In addition, as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the relevant comprehensive level of different contour maps solely by the analyzed results, 3 students from M middle school and 3 students from N middle school were selected, interviewed in-depth, collected documents, and eventually the whole process was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nalyzing from the average the average total grade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tour lin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tour map, map A, which is a mimetic diagram, scored the highest compared to map B and map C. Moreover, the average score of both map B, which is illustrated with only contour lines, and map C, which is topographical map, showed not much difference. As such, students showed varying understanding on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ontour maps. In addition,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studying complexly demonstrated and unknown maps. Second of all, analyzing from the average total grade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tour lin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tour map, students manifested difficulty of understanding the conceptual information (e.g. ridge line, cross section) on the maps. Furthermor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ere the highest on denotation information (e.g. the height of a certain point), implicational information (e.g. ridge line and valley, steady slope and steep slope), and conceptual information of mimetic map A while denotation, implicational, and conceptual information of topographical map C were the lowest. Like such,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tour line varied based o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ontour maps and though students had previous knowledge on denotation implicational, conceptual information, they had difficulties on complicated contour maps.;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등고선 지도 특성에 따른 등고선 이해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학습자의 등고선 이해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등고선 특성이 다른 3개의 등고선 지도를 선정하였고, 학생들의 등고선 이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8개의 측정문항을 제작하였다. 최종 측정도구는 선정된 등고선 지도 1개와 측정문항 8개로 구성하여 총 3개의 A형, B형, C형의 지도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파주시에 위치하고 있는 M중학교 3개 학급과 N중학교 2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실험은 2008년 3월 24일~4월 7일까지 2주간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인 M중학교와 N중학교 5개 학급의 학생들에게 A형, B형, C형 지도를 일주일 간격으로 배부하여 학생들의 등고선 이해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지도의 제시 순서가 등고선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학급별로 지도 제시 순서를 교차하여 배부하였다. 본 실험 과정을 거쳐 총 540부의 측정도구를 수집하여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 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x2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적용하였다. 또한 등고선 지도 특성에 따른 학생들의 등고선 이해 수준의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내용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사실의 규명을 위해 M중학교 학생 3명과 N중학교 학생 3명을 선정하여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등고선 지도 특성에 따른 학생들의 등고선 이해 정도를 총점 평균을 통해 분석한 결과, B형 지도와 C형 지도에 비해 모식도인 A형 지도의 총점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고선만으로 표현된 지형도인 B형 지도와 실제 지형도인 C형 지도 간의 총점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등고선 지도 특성에 따라 학생들의 등고선 이해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은 등고선 지도 형태가 복잡하고 사전 경험이 없는 지도에 어려움을 크게 느꼈다. 둘째, 등고선 지도 특성에 따른 학생들의 등고선 이해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등고선 지도에서 개념적 정보(예, 능선 응용, 단면도)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가장 어려워하는 이해 특성이 나타났다. 또한 모식도인 A형 지도에서 명시적 정보(예, 특정 지점의 높이), 암시적 정보(예, 능선과 계곡, 완경사와 급경사), 개념적 정보의 정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실제 지형도인 C형 지도에서는 명시적 정보, 암시적 정보의 정답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처럼 등고선 지도 특성에 따라 학생들의 등고선 이해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은 명시적 정보, 암시적 정보, 개념적 정보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등고선 지도의 형태가 복잡한 지도에 어려움을 크게 느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