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염화진-
dc.creator염화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1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1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123-
dc.description.abstractSouth Korea’s education curriculum is a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level and is repetitively revised along with the change in society and education. In February 2007, the ‘revised 2007 curriculum’ was announced after being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the revise curriculum, 7th grade geography changed from the former traditional contents on regional geography into contents on systematic geography. As such contents are introduced in the 7th grade geography for the first time, it is necessary to study on what elements should compose each chapter. For this reason,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nges by comparing the 7th grade cultural geography of the current curriculum with that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based on the current 7th grade social science textbook,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contents of the chapter related to ‘the different cultures among regions’ which is regarded as the cultural geography unit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re was a change in the topics of the cultural geography section as the contents in the 7th grade geography changed from regional geography to systematic geography. As the related topics in Korean geography were mostly about cultural ecology in the current curriculum, topics dealing with cultural geography were handled in small quantities under the sub-units, so-call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world geography. On the contrary, in the revised curriculum an entire unit deals with cultural geography called ‘different cultures among regions’. In this unit, an achievable standard was set concentrating on the topics of world’s various cultures, regions with strict religious landscape, culture shift or culture diffusion, various cultural festivals, and East Asia cultural area. Then, changes in the related topics of cultural geography in the current and the revised curriculum were examined based on 5 concepts (cultural region, cultural diffusion, cultural ecology, cultural integration, and cultural landscape). First, as for the cultural region, there is a unit called ‘world’s various cultures’ in the curriculum. This provides a means to view regional region comprehensively in a global scale. Second, with regards to the concept of the cultural diffusion, the 7th curriculum deals with the diffusion of culture from one region to another and the consequences. In the revised curriculum, it still deals with the existing topics but further explains about the process of the cultural shift and diffusi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unique cultural landscape, and the coexistence of cultures. Third, regarding the cultural ecology, the 7th curriculum mainly focuses itself on the environmental aspect and how the environment influences on people’s life. On the other hand, the revised curriculum induces education on several sub-concepts of the cultural ecology such as environmental determinism,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human as modifiers of the Earth. Fourth, with respect to the cultural integration concept, the 7th curriculum deals with the diffusion and the features of race, language, people, religion, and etc. in each cultural region. In contrast, the revised curriculum shows how the cultures reveal itself after integration by identifying cultural festivals and the cultural area of East Asia. Finally, the cultural landscape in the 7th curriculum is about the scenes of cultural remains, the monolithic North Korean society, the religious society in Southeast and southern Asia, and the city landscape of Anglo-America. Nonetheless, in the revised version, if focuses mainly on the religious aspects, and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ultural landscape when studying various cultures in the world and the diffusion of these culture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unit, ‘different cultures among regions’ were carefully examined by analyzing the current 7th grade social science textbook. First, the contents that should be referred to the current textbooks under the topic of ‘①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various culture in the world by observing specific cases’ are cultural elements (religion, language, race, people, etc) in each cultural region. The ‘specific cases’ are also par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and ‘food culture’ seems to fit the profile as students easily deal with it every day. Second, ‘② understanding the local people’s lives with regards to a distinctive religious landscape region’ could be also referred to the current textbooks such as the religious views and behavior on Islam. However, Hinduism and other local religions such as Sikhism and Jainism is a part that should be completed further. The religious landscape include the religious constructions, graves, holy places (geographical features and sacred grounds), and people’s behavior related to food, beverage, and religious rituals. These contents will have to be added by making a second topic. Third, ‘③ explaining an example of a region that formed a unique cultural landscape after the cultural shift or diffusion’ could be referred to the Chinatown, Koreatown, Little Tokyo, and etc can be a useful data that could be extracted from the current textbooks. As these topics could lead to a good comparative analysis on South Korea’s ‘Chinatown’ or ‘the foreign town’, it would guide the way for a systematic integration of Korean geography and the World geography. Forth, ④ explaining the cultural festivals with relation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as not included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us requires more research. For this topic, cases of local festivals all over the world and South Korea’s local festivals were suggested to inform in class. This will help the students find various cultural festivals, relate them to the regional features, and develop one’s opinion. Fifth, ‘⑤ describing the cultural similarities and reciprocity of Southeast Asia in relations with South Korea’ can be supplemented from comparison and contrast of East Asian cultures in the unit of ‘emerging East Asian economies’ in the current textbook. Nevertheless, there still lacks various sources to describe the reciprocity of East Asian cultures. Thus, eye-catching materials such as the ‘Korean wave’, Northeast Project of the Chinese Academy Social Science, or the Dokdo case could be added to define reciprocity effectively.;우리나라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사회적 변화와 교육의 변화에 따라 그동안 여덟 차례에 걸쳐 교육과정을 개정해 왔다. 그리고 2007년 2월에 제7차 교육과정을 수정·보완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발표되었다. 이번 개정 교육과정에서 사회과 7학년 지리 영역은 기존의 전통적인 지역지리 내용구성 방식에서 계통지리 내용구성 방식으로 바뀌는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내용구성은 7학년 지리영역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이기 때문에 각 단원을 어떤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연구는 7학년 문화지리 영역에 한정하여 현행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의 문화지리 영역의 비교를 통해 변화를 고찰해 보았다. 또한 개정 교육과정의 문화지리 단원이라 볼 수 있는 ‘지역마다 다른 문화’ 단원의 내용요소를 현행 7학년 사회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탐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7학년 지리영역은 지역지리 내용구성 방식에서 계통지리 내용구성 방식으로 바뀌면서 문화지리 영역의 주제에도 변화가 있었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문화지리 관련 주제는 한국지리에서는 대부분 문화생태와 관련된 주제로 극히 적었고, 주로 세계지리의 역사·문화적 배경이라는 소단원 안에서 다루어지고 있었다. 그에 비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지역마다 다른 문화’라는 문화지리 관련 대단원이 생겼다. 그 안에서 세계의 다양한 문화, 종교적 경관이 뚜렷한 지역, 문화이식 또는 문화 확산(전파), 다양한 문화 축제, 동아시아 문화권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성취기준이 제시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현행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의 문화지리 관련 주제의 변화에 대해 문화지리의 주요 5가지 개념(문화지역, 문화전파, 문화생태, 문화통합, 문화경관)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문화지역에 대해서는 개정 교육과정에서 ‘세계의 다양한 문화’와 관련된 단원이 생겼기 때문에 문화지역을 세계적인 스케일에서 통합적으로 볼 수 있는 틀이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문화전파의 개념과 관련해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어느 지역에서 어느 지역으로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사실과 그 결과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그에 비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화의 이식과 확산(전파)의 과정 및 그로 인해 나타나는 독특한 문화경관의 형성과 변형, 나아가서 문화의 공존까지 다루도록 되어있다. 셋째, 문화생태와 관련해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주로 환경결정론적인 입장에서 자연환경이 주민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다루고 있다. 반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화생태의 여러 하위 개념인 환경결정론, 환경인지론, 환경개조자로서 인간에 대해 다루도록 하고 있다. 넷째, 문화통합 개념과 관련해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주로 세계 각 문화지역의 인종, 언어, 민족, 종교 등의 분포 및 특성에 대해 다루고 있는 반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화축제, 동아시아 문화권에 대해 다루면서 실제로 문화가 통합되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다루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경관과 관련해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사회의 문화유적 경관, 북한의 획일적인 경관, 동남 및 남부 아시아의 종교 경관, 앵글로아메리카의 도시 경관에 대해 다루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종교적 경관을 중심으로 다루도록 하였고, 세계의 다양한 문화나 문화 전파에 관한 주제를 다룰 때도 문화경관에 대해 이해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역마다 다른 문화’ 단원의 내용요소를 현행 7학년 사회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 번째 ‘①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세계에는 다양한 문화가 존재함을 파악한다.’라는 주제에 대한 내용요소로 현행 교과서에서 참고해서 볼 만한 내용요소는 각 문화지역의 문화 요소(종교, 언어, 인종, 민족 등)이다. 또한 보완되어야 할 부분은 ‘구체적인 사례’인데 그 내용요소로는 ‘음식 문화’가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이기 때문에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 ‘② 종교적 경관이 뚜렷한 지역을 사례로 그 지역의 주민 생활을 이해한다.’라는 주제에 대한 내용요소로 현행 교과서에서는 이슬람교에 대한 종교적 경관이나 행동양식 등은 참고해서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밖의 힌두교 및 국지적인 종교라고 볼 수 있는 시크교, 자이나교 등에 대한 사례는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다. 종교적 경관에 대한 것은 종교 구조물(건축물)과 묘지 경관, 각 종교에서 신성시 여기는 장소(지형과 지세, 성지)에 관한 것이 있고, 주민들의 행동양식과 관련된 것은 음식과의 관계, 음료와의 관계, 종교 의식 등이 있다. 이러한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두 번째 주제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③ 문화이식 또는 확산으로 인한 독특한 문화경관의 형성을 사례 지역을 통해 설명한다.’라는 주제는 현행 교과서의 차이나타운, 코리아타운, 리틀도쿄 등이 좋은 내용요소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내용요소는 우리나라의 ‘화교촌’이나 ‘외국인 마을’ 등과 비교해서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한국지리와 세계지리의 유기적 통합을 기할 수 있는 부분이다. 네 번째 ‘④ 다양한 문화 축제를 그 지역의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한다.’라는 주제는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전혀 다루어지지 않은 주제이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 주제에 대해서는 세계적인 스케일에서 지역축제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지역축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축제의 사례를 찾고, 그러한 사례를 지역의 특성과 관련해서 전개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 번째 ‘⑤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문화적 공통성과 상호 관련성을 설명한다.’라는 주제는 현행 교과서의 ‘경제가 성장하는 동부아시아’ 단원에서 동아시아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내용요소를 참고할 수 있다. 하지만 동아시아 문화의 상호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용요소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부분에 있어서는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소재가 될 수 있는 ‘한류’를 바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중국의 동북 공정이나 독도 문제도 상호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개정 교육과정의 7학년 문화지리 영역을 이해하고 개선해 나가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학교 현장에서 문화지리 영역을 다루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방법과 절차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시대 변화와 문화지리 교육의 방향 = 7 B.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 = 10 Ⅲ. 교육과정 상에서 문화지리 영역의 변화 고찰 = 13 A. 단원 체계의 비교 = 13 B. 교육과정 해설 상의 관련 주제 비교 분석 = 17 Ⅳ. 「지역마다 다른 문화」단원의 내용요소 탐색 = 28 A. 개정 교육과정의「지역마다 다른 문화」단원의 주요 개념 = 28 B. 현행 7학년 사회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내용요소 탐색 = 30 Ⅴ. 결론 = 44 참고문헌 = 47 부록 = 49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15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문화지리 영역의 주제 변화와 내용요소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7차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ange in topic and contents of cultural geography in middle school : Focused on Comparative between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2007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Yeom, Hwa Jin-
dc.format.pageviii,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