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지리교과교실 운영에 관한 연구

Title
지리교과교실 운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dministration of geography classroom
Authors
김은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면담 조사 방법을 통하여 교과교실이 설치되어 있는 학교의 지리교과교실의 특성을 조사하고, 운영 현황을 파악하는 데 있다. 운영 현황은 지리교과교실 운영상의 효과와 문제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서울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20개 학교를 대상으로 전화 조사하여 총 29개의 지리교과교실 설치 학교를 추출하였다. 그 중에 교과교실의 운영이 활성화되어 있는 15개 학교 중 방문조사에 응한 11개 학교와 연구과정에서 알게 된 경기도 소재 지리교과교실 1개를 포함하여 총 12개 학교를 방문조사 하였다. 조사대상은 각 학교의 지리교과교실과 교과교실을 운영하는 12명의 지리교사, 그리고 학교조사 이후 선정된 12명의 학생들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교과교실의 특성에 관해 조사한 결과이다. 사례학교들은 교과교실의 사용빈도, 교사 연구 공간의 유무, 자료제작 시설의 유무, 교사의 교실상주 유무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또한 같은 유형의 교실이라도 교사 연구 공간의 구성, 학생 책상배열 형식에 따라서 그 운영 방식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학생 책상 배열은 교실에서의 수업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정면식으로 되어 있는 학교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지리수업에 필요한 각종 시청각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수업방법은 ‘강의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둘째, 교사 측면에서의 운영상의 효과와 문제점에 관한 조사 결과이다. 교사들은 지리교과교실 운영상의 효과를 ‘수업의 효과성’, ‘교사의 수업 편의성’, ‘학생반응’을 중심으로 답변하였으며, “시청각 자료 제시와 활용에 효과적이다.”, “기자재의 사용과 관리에 효율적이다.”, “학생들의 긍정적인 호응과 흥미유발에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수업의 효과성은 주로 교과교실에 구비되어 있는 기자재의 활용에, 교사의 수업 편의성은 교과교실이라는 공간 자체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교과교실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어수선한 분위기와 이동시간의 소비", "교실관리의 어려움", "지리교사 간 또는 과목 공동사용에 따른 불편"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인터뷰한 12명의 교사들은 모두 교과교실 운영에 대해 문제점보다 효과가 더 많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학생 측면에서의 효과와 문제점에 관한 조사 결과이다. 학생들의 반응은 성별, 학업성취도에 대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 ‘이동의 부담 정도’와 ‘수업 집중도’에 대한 반응은 학교특성에 따라 뚜렷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일반교실과 지리교과교실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시설과 기자재의 차이’, ‘수업방식의 차이’를 들었다. 특히, 교과교실의 환경적인 요인 즉, 시설과 기자재의 차이에 대한 영향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터뷰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과교실의 시설이나 기자재가 일반교실보다 좋기 때문에 교과교실에서의 수업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교과교실 수업의 이동 주체는 학생들이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이동에 대한 부담은 크게 부각되지 않았으며, 그 이유는 이동에 대한 불편함보다 교과교실에서의 수업 효과성에 더 큰 비중을 두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classes in school where there are classroom sorted out by conducting an interview research method and to identify the administrative conditions. These conditions include the efficiency of organizing geography courses and its problems. As such, a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to 220 high schools in Seoul and drew out a total of 29 high schools in which geography classrooms were established. Among those schools, 11 out of 15 schools where administering classrooms were highly activated and one school with geography classrooms was acquaint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in Kyounggi-do, thereby making a total of 12 schools that were paid a visit to further proceed with this research.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e geography classrooms in the 12 schools and 12 geography teachers that organize them and 12 students who were chosen after the research on their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graphy classrooms, the 12 schools were divided into 3 categories depending of the frequency of classroom use, research space for the teacher, facilities to create materials and the presence of the teacher in the classroom. Moreover, even within the same type of the classroom, the features of the administering methods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the teacher’s research space and the arrangement of the desks. The desk arrangement acted as a factor that influences the teaching methods in the classroom and most of the schools arranged the desks to face the front. To add on, although the audio-visual materials necessary for geography classes are used in the courses, the underlying basic teaching method was focused on the ‘lecture-based’ way. Second,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result of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problems in the perspective of the teachers.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efficiency of organizing geography classrooms is mainly ‘effective instruction’, ‘convenient classes for teachers’, and ‘the students’ reaction’. To be specific, the majority said that the classrooms are helpful when “presenting and utilizing audio-visual materials”, “using and organizing the equipment”, and “drawing positive reaction from the students and their interest”. Furthermore, the efficiency of the course appeared to be more greatly affected by the usage of materials equipped in the classroom and the convenience of the teachers were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classroom itself. The problems of administering the geography classroom were “the time spent on changing classrooms and the disordered attitude”, “difficulties of taking care of the classroom”, and “the inconvenience of sharing the classroom with different geography teachers or courses”. However, the 12 teachers who were interviewed consented on the fact that the advantages of the classrooms outweighed the disadvantages. Third,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result of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problems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s. There appeared to be no differences in the gender and the academic accomplishments regarding the reaction of the students. Nevertheless, responses to ‘the burden of changing classrooms’ and ‘concentration in cla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hoo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pointed out that ‘the differences in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the differences in the teaching methods’ largely contributed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classrooms and the geography classrooms. In particular, the surrounding elements of the classroom;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s in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were indicate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Therefore, as the facilities and the equipment of the geography classrooms are better than the normal classrooms, the interviewed students claimed that it is more efficient to learn in the geography classroom than in the normal one. Even if it was the students who changed the classrooms, the students did not have a great burden in switching classes unlike to what was expected. This was because they regarded the efficiency of learning in the course classroom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the inconveniency of switching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