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8 Download: 0

타이포그래피 제작 수업을 통한 매체 언어 교육 방법 연구

Title
타이포그래피 제작 수업을 통한 매체 언어 교육 방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thod of Media Language Education through Typography Class
Authors
곽수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의 국어과 심화 선택 과목인 ‘매체 언어’의 도입 의의를 밝히고, 그 새로운 교육 내용을 어떻게 학습자에게 적용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함이다. 인터넷과 같은 매체의 등장과 확대가 사회․문화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오며 매체 환경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본격적인 매체의 발달 양상을 국어 교육에 도입하였다. 그리고 2007년 고시된 국어과 개정 교육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매체 활용 교육을 강조하고, ‘매체 언어’라는 고등학교 심화 선택 과목을 신설함으로써 이제까지의 국어교육과는 다른 모습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매체의 활용을 통한 독립 과목으로서, ‘매체 언어’의 교육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매체 언어'의 교과서는 아직 출시되지 않았으나,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통하여 현재 교수․학습의 주요 내용이 보고된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재 고시된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기존의 매체 언어와는 다른 심화 선택과목으로서의 '매체 언어'를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인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번져 상용화되고 있는 인터넷이나 영상 매체들을 교육 활용 수단으로 삼아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제작 수업을 진행시켰다. 즉 타이포그래피 제작 수업을 통하여 매체 언어의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는 교사가 교육 현상을 현장에서 직시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학습자는 다양한 교육적 예시를 공유할 수 있어 그에 따른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논고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II장에서 매체와 매체 언어 교육의 개념과 성격 그리고 국어과 교육과정 속의 매체 언어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고, 매체와 국어 교육의 변화를 논의하여 올바른 매체 언어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III장에서는 II장의 이론적 배경을 기저로 삼아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의 개념과 성격, 타이포그래피의 구성요소와 원리 그리고 타이포그래피와 매체 언어 교육의 교육적 연관성을 짚어보았다. 또한 타이포그래피와 관련한 내용들이 교육과정에서 어떠한 방향의 교육을 이루어 왔는지 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 속의 타이포그래피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타이포그래피의 매체 언어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타이포그래피 제작 수업을 활용한 매체 언어 교육을 제시하였다. 먼저 타이포그래피 제작 수업의 교육적 방향을 밝히고, 교육내용을 선정 체계화 시켰다. 또한 단계별 교육 내용을 계획하고, 모형을 만들어 실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시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타이포그래피가 매체 언어 교육에서 중요한 교육적 의의를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 타이포그래피는 다매체 시대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언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는 장르이다. 둘째, 타이포그래피의 매체적 특성을 고려할 때, 비선형적인 지금의 매체 환경에서 일상적으로 요구하는 복합적 리터러시는 타이포그래피를 창작하고 향유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하고 풍부한 타이포그래피의 예시를 통하여 매체 언어 교육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본다. 셋째, 타이포그래피의 특징은 글자의 의미를 변형시키면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것이고, 그것은 누구나 완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찾아낼 수 있다. 이는 타이포그래피를 잘 이해하고, 활용할수록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매체나 그것을 통한 소통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뜻한다. 넷째, 타이포그래피는 문자 자체를 활용해 이미지를 전달하므로 어떤 특정 지역이나 언어권에 제한되지 않는 초국가적 보편성을 지닌다. 이는 국가 간의 장벽을 넘어서 매체로 소통을 하는 오늘 날의 의사소통 요건과 일치한다. 다섯째, 타이포그래피는 이미지가 중시되는 오늘날의 문화 자체를 우리의 전통 속에서 새롭게 바라볼 수 있고, 이미지와 언어가 통합되어 있는 제재라는 점에서의 의의가 크다. 여섯째, 현대 한글 타이포그래피적 표현요소의 이해를 통해 한글의 아름다움을 깨닫고, 한글의 특성을 십분 활용해 그것을 창작하며 우리 문자에 대한 자부심을 지닐 수 있는 정의적 교육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현 세기가 이성보다는 감성, 그리고 다양성을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타이포그래피를 교육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은 학생들에게 남다른 의의가 있다. 이에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매체 언어’ 교과의 세부내용을 중심으로 실제 교육에서 다룰 수 있는 매체 언어 교육 방법을 모색하였다. 먼저 수업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 틀로 진행시켰다. 먼저 타이포그래피의 전반적인 이론적 이해를 위하여 '타이포그래피 즐기기'를 선정하였고, 본격적인 타이포그래피 제작을 위하여 '타이포그래피 만들기'의 두 거시적 단원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각 학습 목표에 따라 '타이포그래피의 개념과 성격', '타이포그래피의 기초 이론', '타이포그래피 제작하기', 그리고 '타이포그래피 평가하기'의 네 단계를 세부적으로 선정하여 그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타이포그래피 제작 수업은 '매체 언어의 수용과 생산'의 측면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생산을 통하여 창의적․미적 가치를 이해하고 향유하도록 하는데 의미가 있다. 결론적으로 교사가 '타이포그래피'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교육 내용과 다양한 방법을 선정하여 다양하게 활용한다면, 매체 언어를 보다 학습자 중심의 취지에 맞는 교육을 통해 이끌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필자는 새로운 언어의 형태임과 동시에 새로운 독립 영역으로서의 ‘매체 언어’가 부수적 심화 선택 과목의 신설로 그치는 것이 아닌, ‘매체 언어’를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풍부하고,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구안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혀 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significance of the introduction of media ‘media language,’ a deepened elective subject, into 2007’s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o discuss how we should apply and utilize its educational contents for learners. While the rising and extension of media like Internet brings about great social-cultural changes, and leads th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s, Korea has introduced the substantial media-development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addition, it emphasizes education with various media use through the revised Korean education curriculum noticed in 2007, and demand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one by newly establishing a deepened elective subject, ‘media language.’ With respect to this,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thod with ‘media language’ as an independent subject through use of media. Though the textbook for ‘media language’is not yet published, the main contents of the current teaching-learning have been reported through 2007’s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us this study, based on the currentlynoticed curriculum, explores a method for effectively educating the ‘media language’ as a deepened elective subjec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dia language. In this regard, taking as its educational utilization tool Internet and image media, which are being used in vogue among juvenile learners, this study has implemented a ‘typography’ class with 2nd graders from some high schools as its subjects. That is to say, this study explores an effective method of media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typography class. This is because in this kind of class, teachers can directly observe educational phenomena at actual scenes, and learners can simultaneously share various educational examples, with which they can achieve various incidental educational effects. The organiz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2, I have first investigat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media language, and aspects of changes in media language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n explored a desirable direction of media language by discussing changes in media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apter 3,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 2, I have touch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ypography, its components and principles, and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ypography and media language education. Also, I haveinvestigated the aspects of typography accommodation in other countries’native language curriculum in order to examine in what direction the contents related with typography is contributed to education within curricula.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ypography in media language education has been examined. In chapter 4, I have presented a media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typography class. First of all, I have specified the educational orientation of the typography class, and selected and systemized educational contents. Also, I have planned the educational contents step by step, and made a model to apply it to the class with the actual high school 2nd graders. Based on this, I have found out that typography has important educational meanings in media language education. First, typography is a genre with some educational values, which can increase learners’ linguistic ability to communicate harmoniously in the multimedia age. Second,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typography as a medium, we can see that the complex literacy required routinely in the current nonlinear media environment is essential in the course of creating and enjoying typography. Thus, we can achieve great effects with media language education through diverse and rich examples of typography. Third, we can find important implications from the fact that the properties of typography include making novel meanings of letters while transforming them, which anyone can complete. This means that one can enhance his/her understanding of media or communication through media in a multimedia environment as he/she can better understand and utilize typography. Fourth, typography has transnational universality beyond particular regions or language ranges as it transmits images using letters. This coincides with the communicative requirements in the present days in which w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media beyond the barriers among nations. Fifth, typograph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within our tradition we can newly see the current culture that values images, and typography is a matter in which images and language are integrated. Sixth, we should not ignore typography’s definitive educational effects in that one can realize the beauty of Hangeul through understanding modern Hangeul typographic expressive elements, create it by fully utilizing Hangeul’s properties, and have pride of our letters. Lastly, given that this century emphasizes sense and diversity rather than reason, there is unusual meaning for students in using typography educationally. Thus, concentrated on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media language’subject presented in 2007’s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 have explored a method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that can be dealt with in actual instruction. First of all, I have explored a direction of media language education through typography on the sides of linguistic function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n planned educational contents for drawing the broad concept of typography into media language education. Furthermore, I have applied the class of education with typography that was fulfilled with the 2nd graders in high school after selecting the contents of typography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class were gone through within two frameworks in general. First, I have selected ‘enjoying typography’ for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ypography overall, and then two macro units of ‘creating typography’ for full-fledged typography production. Then, I have tried to present a teaching-learning method by selecting four detailed steps in accordance with each learning goal;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ypography,’ ‘basic theory of typography,’ ‘creating typography,’ and ‘evaluating typography.’ The typography class as such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learners by themselves to understand and enjoy creative and aesthetic values through production on the side of ‘reception and production of media language.’ In conclusion, teachers can lead media language through education matched more with the purpose of learner-orientedness if they understand the particularities of ‘typography,’ and use it in various ways by selecting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s and diverse methods. Above all, I claim that it is important to contrive a rich and concrete educational method in which one can educate ‘media language’ effectively rather than to remain to newly establish ‘media language’ a secondary deepened elective subject, which actually is a new form of language and a new independent area simultaneous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