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9 Download: 0

한국 전통 장신구를 모티프화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Title
한국 전통 장신구를 모티프화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xtile Design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 Centering in the Traditional products
Authors
홍선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섬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의 삶속에서 끊임없이 존재하는 미(美)적 욕망은 오늘날 독창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원동력이 되어 경제를 발전시키고, 상품의 경쟁력을 키워 그 부가가치를 창조 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자인에 관한 관심과 그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텍스타일 디자인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연구자는 한국 전통 장신구의 역사적 배경을 고찰함으로서 한국인의 미의식과 아름다움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패턴을 개발하여 한국의 미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자함에 그 목적을 둔다. 전통 장신구의 색감과 독창적인 전통패턴 실루엣을 활용하여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문화상품화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한국 전통장신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 전통 장신구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전통 패턴의 문화상품으로서의 필요성을 연구하여 그 의의를 고찰하였다. 작품진행 방법으로는 첫째, 한국 전통 장신구 중 머리장식, 신발, 부채 류를 선택하여 이들을 패턴 화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을 창조하였고, 둘째, 컴퓨터 쟈카드 와 디지털 프린팅 기법 을 이용하여 텍스타일 제품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텍스타일 디자인을 이용하여 구두, 넥타이, 스카프와 같은 악세 사리 종류를 문화상품 용도로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 장신구의 아름다운 선, 색감의 특성, 우수성을 높이 평가하고 분석하였기에 한국 전통미가 담긴 새로운 텍스타일 디자인의 시도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한국 전통 장신구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통해 우리나라 문화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제품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전통 문화를 국내외적으로 널리 알리며 문화상품개발에 일익을 담당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The endless human desire to pursue beauty have become the driving force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e design and brought the global economy prosperity, and also have been playing the great role in raising the value of products. Therefore, people have more interest in the design of products and acknowledge its importance and textile design is thought to be important as well. The purpose of this thesis lies on making known the beauty of korean culture worldwide by developing various modernized accessories based on th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Korean aesthetic sense. I have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through many documents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modern textile design. This thesis was proceeded as follows. First, I analyzed concepts of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upon the thorough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and also analyzed the great history that the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have and classified their sorts. Second, I researched how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function as a conversational pattern to analyze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and the sorts and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patterns. Third, I have chosen hair accessories, shoes, fans, and spools from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and designed textiles. Technic that were used for this design process were computer jacquard and digital printing. I have developed cultural products such as shoes, ties, and scarves and analyzed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as cultural products. What I have conclud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developed high quality products containing a modern sense of beauty because I designed products from a customer's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the profitability of products was not the main concern in the design process. Seco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and the great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made innovative design possible. Third, items that contain textile designs with the motive of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are not to be regarded as just small goods, but also as cultural products of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