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4 Download: 0

유치원 행사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Title
유치원 행사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Present Status of and Recognition of Teachers on Kindergarten Events
Authors
김마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치원 행사에 대한 현황 및 그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유치원 행사의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고, 유치원 행사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행사의 목적, 횟수, 종류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개별 행사에 대한 유아의 흥미도, 부모의 만족도, 교육적 필요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 행사의 계획 및 준비, 진행, 평가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유치원 행사의 가정과의 연계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에 1년 이상 근무 중인 유치원 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연구자가 선행연구와 교사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으며, 총 6개 범주의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행사의 목적, 횟수, 종류에 대한 현황 및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교사들은 유아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줌으로써 학습 흥미를 신장시키고, 교육내용의 폭넓은 이해와 적용을 돕고, 협동심 및 사회성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원아모집 및 유치원 홍보를 위해 행사를 실시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바람직한 행사의 실시 횟수는 연간 4-6회 정도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실시되고 있는 행사는 연간 20회 이상으로 매우 많고 다양한 행사들이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 행사에 대한 유아의 흥미도, 부모의 만족도, 교육적 필요도에 대한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의 흥미도가 높다고 인식한 행사는 크리스마스 행사 및 산타잔치, 어린이날 행사 등 유아 중심의 행사였고, 낮다고 인식한 행사는 수료식, 작품전시회 등 성인 중심의 행사였다. 또한 부모의 만족도가 높다고 인식한 행사는 발표회 및 재롱 잔치, 부모 참여수업 등으로 부모가 참여하는 행사들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필요도가 높다고 인식한 행사는 안전·방재지도나 부모교육 행사였고, 낮다고 인식한 행사는 작품전시회 등 유치원 홍보를 위한 전시성 행사였다. 셋째, 유치원 행사의 계획 및 준비, 진행, 평가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행사 계획은 대부분 학년 초 연간 계획 시 교사협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행사 계획 및 준비 시 전년도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자료를 가장 많이 참고하였고, 교육과정과의 연계, 교육적 의의, 유아의 흥미와 요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계획 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행사의 선정 및 계획의 어려움, 너무 잦은 횟수의 행사계획이 지적되었고, 준비 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무리한 행사 연습으로 인한 교육과정의 비정상적 운영이 지적되었다. 행사의 진행은 교사들끼리 돌아가면서 하고, 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행사에 관한 사전·사후활동은 절반 정도가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사 도우미 업체 및 이벤트 업체에 행사를 의뢰한 경우는 전체의 약 40% 정도였고,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행 시 가장 큰 문제점은 결과중심의 보여주기 식 진행으로 지적되었다. 행사의 평가에 대한 교사와 유아의 참여는 높은 편이었으나 부모의 참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시 교사들은 활동의 목표달성, 유아의 흥미 및 만족도, 진행시 문제점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고, 다음 해 행사를 개선하는데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사일지와 사진 등을 통해 행사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평가에 유아 및 부모를 참여시키기 어려움이 지적되었다. 넷째, 유치원 행사의 가정과의 연계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면, 교사들은 유치원 생활과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행사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가정과의 연계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부모의 의견은 가끔 반영하는 정도였고, 부모가 행사에 참여하는 횟수도 적은 편이었다. 행사에 대한 안내는 잘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행사의 결과 통보는 특기할 만한 사항이 있는 경우에만 가정통신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부모들이 참여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 가정과의 연계를 위한 시간과 노력 부족 등을 가정과의 연계의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sent status of kindergarten events and recognition on them by teachers who were in state,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with at least one-year experience, and to present the standards and directions of desirable kindergarten events and basic data for taking measures of support for such events. For doing thi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present status of and the recognitions of teachers on the purpose, frequency, and types of kindergarten events? 2. What are the recognitions of teachers on interest of young children, satisfaction of parents, and educational necessity of individual events? 3. What are the present status of and the recognitions of teachers on the planning & preparation, progress, and assessment of kindergarten events? 4. What are the present status of and the recognitions of teachers on the connection of kindergarten events with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teachers who were in state,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with at least one-year experience, and they were asked to answer for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by the author in this study based on preceded researches and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with a total of six categories and 34 ite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frequency, percentage, and the mea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resent status of and the recognitions of teachers on the purpose, frequency, and types of kindergarten events,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such events are performed in order to enhance interest in learning, to improve wide-ranged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o facilitate cooperation and sociality by providing young children with various experiences, and to promote kindergarten for advertise for admission. They recognized that the desirable frequency of the events would be four to six times per year, but, in fact, the events are being performed considerably frequently (20 and more per year) and with variety. Second, as for the recognitions of teachers on interest of young children, satisfaction of parents, and educational necessity of individual events, children-centered events for Christmas, Santa Party, or Children's Day were recognized to be the ones that young children show higher interest, while adult-centered events for completion ceremony or exhibition of student works were recognized to attract lower interest from young children. Events in which parents participate such as presentation, special performance, or parent participation course were recognized to be the ones that parents show higher satisfaction. Meanwhile, safety training or parent education events were recognized to have higher educational necessity, and events for displaying or promoting kindergarten such as exhibition of student works were recognized to be lower in educational necessity. Third, as for the present status of and the recognitions of teachers on the planning & preparation, progress, and assessment of kindergarten events, event planning was mostly established through teachers' conference for yearly planning in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In the planning & preparation of events, teachers mostly referred to the materials for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kindergarten curriculum of the previous year, and firstly considered the connection with curriculum,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interest and requirement of children. Difficulty in selection and planning of curriculum-connected events and excessive frequence of events were indicated to be the most severe problems, and the unusual management of curriculum due to excessive exercises for such events was indicated to be the most severe problem in preparation. Usually, the events were progressed by teacher in turn, all the young children in a kindergarten participated in the events, and half of the subjects said that pre- and post- activities for events were performed. About 40% of the subjects said that they entrusted event helping agents with such events, and most of them expressed satisfaction. The most severe problem in progress of events was result-centered progress 'for showing up.' In assessment of events,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young children was higher but that of parents was lower. In the assessment, most teachers considered achievement of purpos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problems in progress. They said that they utilized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to improve coming-year events and recorded events with event journals and photographs. The most severe problem in the assessment was to be difficulty in inducing of children and parents to participate in the assessment. Four, as for present status of and the recognitions of teachers on the connection of kindergarten events with families, teachers performed the connection with families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life and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events. However, they were infrequently influenced by ideas of parents, and parents participated in events relatively insufficiently. Guidance for events is actively performed, but report of the results of an event is performed only when the results should be mentioned specially. Burden on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shortage in time and efforts for the connection were recognized by teachers as the cause of difficulty in connection with famil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