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의 숙달도가 한국어의 우연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의 숙달도가 한국어의 우연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Vocabulary Gloss Types and Learners' Proficiency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Authors
이아람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의 읽기 숙달도가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제 2언어 학습자들이 외국어 학습에서 필요한 모든 어휘를 명시적으로 학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읽기’ 활동을 하면서 따라오는 부수적인 어휘 학습의 효과를 간과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휘 주석이 있는 읽기 텍스트를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읽기를 하는 과정에서 우연적 어휘 학습이 이루어지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만약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효과가 있다면 모국어와 목표어 중 어떤 언어로 제시된 어휘 주석이 더 효과적인지,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주석의 유형별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의 한 대학교 어학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급 실력의 중국인 84명을 두 단계의 읽기 숙달도와 어휘 주석의 유형(한국어 주석, 중국어 주석, 무주석)에 따라 총 6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집단에 읽기 텍스트를 나눠준 후 읽기 이해 문제를 풀게 하는 실험을 3차례에 걸쳐 진행하였다. 3차 본 실험 이후에는 실험 참여자들이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1차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고, 그로부터 1주일 후 역시 사전 예고 없이 2차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얻어진 1차 사후 어휘 평가 결과로 우연적 어휘 학습의 단기 기억을, 2차 사후 어휘 평가의 결과로 우연적 어휘 학습의 장기 기억을, 1차와 2차 사후 어휘 평가의 점수 차이를 통하여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 효과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고,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TukeyHSD 사후검정, t검정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주석과 학습자의 숙달도는 우연적인 어휘 학습의 단기 기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어 주석과 중국어 주석을 제공받은 집단은 1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 주석을 제공받지 않은 무주석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문맥 안에서 어휘의 의미를 추측하는 것보다 이해 가능한 '어휘 주석'을 통해 텍스트를 이해할 때, 어휘 학습이 강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우연적인 어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 주석이 유형이 달랐다.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서 모두 한국어 주석과 중국어 주석이 무주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상위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온 반면 하위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읽기 숙달도가 낮은 집단의 학습자들은 주석을 활용하는 능력이 낮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어 주석 집단의 경우 중국어 주석 집단과 무주석 집단에 비해 상위 학습자의 점수가 높고 하위 학습자의 점수가 매우 낮음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가 높을 때, 한국어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의 단기 기억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둘째, 어휘 주석과 학습자의 숙달도는 우연적인 어휘 학습의 장기 기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어 주석과 중국어 주석을 제공받은 집단은 2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 주석을 제공받지 않은 무주석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리고 1차와 마찬가지로 2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도 한국어 주석 집단과 중국어 주석 집단 간에 차이가 없음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중국어 주석이 한국어 어휘와 일대일 대응되는 동일어가 아니라 한국어 주석과 같은, 어휘 정의의 방법으로 제시된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어휘 주석의 유형별 효과는 앞에서 살펴본 1차 사후 어휘 평가의 결과와 같았다. 셋째,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의 숙달도는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집단을 숙달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면 상위 집단에서는 중국어 주석 집단만이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숙달도가 높은 학습자는 목표어 주석이 있는 읽기 텍스를 읽으며 어휘의 의미 파악에 주의를 기울이고, 주석이 없는 텍스트를 읽으며 문맥 안에서 어휘의 의미 파악에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에 기억 효과가 지속된다고 볼 수 있다. 하위 집단에서는 무주석 집단만이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나타냈는데, 학습자의 숙달도가 낮을 경우 문맥 안에서 의미를 유추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주석에 관한 연구가 단 1차례의 실험으로 이루어진데 반해 3차례의 실험으로 실험의 신뢰도를 확보했으며 주석의 제작에 있어 목표어와 모국어가 동일한 형태를 가지게 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 또한 어휘 주석이 읽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질적으로 분석하였고,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효과적인 어휘 주석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한국어 교재 연구와 한국어 교육 현장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 교수자와 학습자가 효과적인 읽기와 어휘 학습에 대해 연구하고 학습하는 데에 기틀이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해 한국어 교육에서 어휘 주석에 관한 연구들이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vocabulary gloss types and learners' reading proficiency would affect Korean language learners'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It may well be impossible for the L2 learner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s second language to learn about every Korean vocabulary intentionaly. Accordingly, we cannot overlook the effects of vocabulary learning accompanied by 'reading' activities. Thus,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how the L2 learners could learn about the Korean vocabulary incidentaly, while they were reading the text with vocabulary gloss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ich type of vocabulary glosses would be more effective between L1(native) and L2(target) language types, if the vocabulary glosses would have some effects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nd then, analyzed such effects depending on learners' reading proficiency.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84 Chinese at a intermediate level of commanding the Korean language who wer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t a Korean language school attached to a university in Korea, and thereby, divided them into 6 groups according to their reading proficiency and types of vocabulary glosses (Korean, Chinese and no glosses). Then, each group was given some reading text and they were subject to 3 rounds of reading comprehension test. After 3 rounds of test, they were subject to the first ex post facto test without prior notice and a week later, they would be subject to the second ex post facto test without prior notice, too. In such procedures, their short-term memory of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fter the first ex post facto test and their long-term memory of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fter the second ex post facto test were measured, and thereby, the difference of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effects were analyzed in reference to the difference of the scored between two rounds of ex post facto tests.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for such descriptive statistics a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ne-way ANOVA, Two-Way ANOVA, Tukey SD ex post facto 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vocabulary glosses and learners' reading profici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learners' short-term memory of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e groups given Korean and Chinese gloss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irst ex post facto test than the group given no glosses. Accordingly, it was presumed that learning effects would be higher when learners referred to comprehensible 'vocabulary glosses' presented for understanding of the text than when learners guessed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within the vocabulary glos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different depending on learners' reading proficiency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vocabulary glosses. Both upper and lower level sub-groups given Korean or Chinese glosses scored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the group given no gloss), but such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the upper level sub-group, while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upper level sub-group. Such a result may well have been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group less proficient in reading were less able to use the glosse. In case of the group given the Korean glosses, the upper level sub-group scored higher and the lower-level sub-group scored lower, compared with the other two groups. Such finding may well suggest that the more proficient the foreign learners' reading was, the Korean glosses would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short-term memory of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Second, it was found that vocabulary glosses and learners' reading proficiency had som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ong-term memory of learners'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e groups given Korean or Chinese gloss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cond ex post facto test than the group given no such glosses. And Given the finding that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vocabulary learning effects between Korean and Chinese gloss groups in both two rounds of ex post facto tests, it was conceived not that the Chinese glosses corresponded one-to-one to the Korean vocabularies but that they were presented in the same way of defining the vocabularies as the Korean gloss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each type of vocabulary glosses depending on learners' reading proficiency were the same as the results of assessing vocabulary learning effects after the first ex post facto test. Third, It was found that learners' memory of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types of vocabulary glosses and learners' reading proficiency. However, breaking down into levels of learners' reading proficiency, it was found that in case of upper level sub-groups, only the Chinese sub-group scored higher significantly. Such finding suggests that the learners with higher reading proficiency endeavor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while reading the text with or without the glosses, and therefore, that the effects of their memory of vocabulary learning would sustain longer. In case of lower level sub-groups, the sub-groups given no gloss scored lower, which may well have been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y were less able to infer the meaning of vocabulary from within the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well be reliable because this study conducted, unlike preceding studies using a single round of test, 3 rounds of test, and they may well be differentiated from the preceding studies in that target and native language glosses were set in the same form. In addition,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vocabulary glosses o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and that it comparatively analyzed the types of effective vocabulary glosses depending on learners' reading proficiency. So,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duce to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education for L2 learners, while providing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researches into learners' effective reading and learning of Korean vocabulary.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complement the limits of this study to gain more insights into learners' Korean vocabulary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