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3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1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36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feedback on Korean language learners' rewriting of Korean essays between teacher feedback and peer feedback groups. Korean language learners write a first draft and receive feedback from a teacher or peer and thereupon, write a revision. This study examined types of feedback, the incorporation of feedback into revisions, improved scores of the revisions compared with those of the first drafts, learners' attitudes toward and opinions about feedback. To this end, 40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were in an intermediate level were sampled. They were divided equally into teacher feedback and peer feedback groups. Then, a teacher provided feedback on the first draft for the teacher feedback group and urged them to write a revision. In contrast, the peer feedback group was urged to provide feedback to each other and to then, write a revision. The first drafts and revisions written by the two groups, as well as the effects of feedback, were analyzed.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24 learners who had experienced teacher feedback only and 25 learners who had experienced peer feedback.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feedback, descriptive statistic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two dependent samples t-test and χ2 test were used for differences of feedback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formal feedback and meaning(content) feedback in each of the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formal feedback outnumbered the meaning feedback in both groups, which suggests that both teachers and learners paid more attention to grammar forms and morphemes. Second,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formal and meaning feedback in terms of amount between the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only the number of formal feedbacks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the amount of meaning feedback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because teachers had more grammatical knowledge about the Korean language than peers, they tended to give more formal feedback.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learners of both groups reflected the feedback in their revisions, it was found that the reflection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Namely, the teacher feedback group reflected the feedback more positively on their revisions. In contrast, the peer feedback group tended to correct their first drafts by themselves without any feedback. Fourth,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cores by area between the first drafts and revisions within the teacher feedback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uch areas as content, sentences, vocabulary, spelling and total score. Namely, it was proven that teacher feedback was effective in all areas but organization. Fifth, within the peer feedback group, the differences in scores between the first drafts and revisions were significant in such areas as content, organization, sentences and total score.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peer feedback was effective in all areas but vocabulary and spelling.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feedback effect between the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areas. Differences in scores between the first drafts and revisions were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in such areas as sentence, spelling and total score, but not significant in such areas as content, organization and vocabulary.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peer feedback had effects similar to those of teacher feedback in the areas of content, organization and vocabulary. Seventh, the learners surveyed expressed diverse opinions about the effects of each type of feedback. Both groups were positive about teacher feedback, but the group who had experienced peer feedback were more positive about peer feedback than the other group. And it was opined that it had been more useful to give feedback a peer's first draft rather than have feedback from a peer. On the other hand, all learners preferred most to have feedback from both teacher and peer, which may provide grounds for parallel feedback from teacher and peer.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sampled the learners learning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to empirically compare the effects of teacher and peer feedback.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make diverse attempts regarding teacher and peer feedback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and it is further expected that academic discussions about peer feedback will follow.;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과정에서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이 한국어 다시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학습자들은 초본을 작성한 후에 교사나 동료로부터 피드백을 받고, 그 피드백을 바탕으로 다시 수정본을 작성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피드백의 유형, 학습자들이 피드백을 수정본에 반영하는 양상, 초본과 수정본 사이의 점수 향상도 및 학습자들이 피드백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와 의견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급 실력의 학습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학습자들은 교사 피드백 집단과 동료 피드백 집단으로 각 20명씩 나뉘었는데, 교사 피드백 집단은 한국어 교사에게 초본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서 수정본을 쓰고 동료 피드백 집단은 학습자들끼리 피드백을 주고받는 활동을 실시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수정본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해 이 두 집단이 작성한 작문의 초본과 수정본, 그리고 교사와 동료가 제공한 피드백이 분석되었다. 한편 피드백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 조사의 경우 교사 피드백만 경험해 보았던 학습자 24명과 동료 피드백 활동을 해 본 학습자 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교사 및 동료 피드백이 각 집단 안에서 학습자들의 한국어 다시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두 집단 사이의 차이도 알아보았다. 피드백 결과 분석을 위해서는 기술통계, 두 독립 표본 t 검정, 두 종속 표본 t 검정, 그리고 χ2 검정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두 집단 내에서 형식 피드백과 의미 피드백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형식 피드백이 의미 피드백의 수보다 많았다. 이는 교사와 학습자 모두 문법적인 형식과 형태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피드백 제공자에 따라 형식 피드백과 의미 피드백 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형식 피드백에서만 차이가 나타났고 의미 피드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교사는 동료들보다 한국어에 대한 문법적인 지식이 많으므로 형식 피드백을 더 많이 주고 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셋째, 두 집단의 학습자들이 피드백을 받은 후에 수정본에 피드백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알아본 결과,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피드백 집단의 학습자들이 더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수정본에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피드백을 받지 않고도 스스로 수정하는 경우는 동료 피드백 집단이 더 많았다. 넷째, 교사 피드백 집단 내에서 초본과 수정본 사이의 점수 향상도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내용, 구성, 문장, 어휘, 맞춤법 및 총점 중에서 내용, 문장, 어휘, 맞춤법 및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사 피드백은 구성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다섯 째, 동료 피드백 집단 내에서 초본과 수정본 사이의 점수 향상도는 내용, 구성, 문장 및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동료의 피드백이 어휘나 맞춤법을 제외한 영역에서는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여섯 째, 피드백 제공자에 따른 피드백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각 영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초본과 수정본 사이에서 향상된 점수는 문장, 맞춤법 및 총점 영역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내용, 구성 및 어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동료 피드백도 내용, 구성 및 어휘 영역에서는 교사 피드백과 유사한 효과가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일곱 째, 교사 및 동료 피드백을 경험한 학습자들이 각 피드백에 대해 지니는 생각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교사 피드백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으나, 동료 피드백에 대해서는 동료 피드백을 경험한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에 비해서 더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동료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것보다 동료의 글을 읽고 피드백을 주는 것이 더 유용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모든 학습자들은 교사와 동료 모두에게서 피드백을 받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는데 이는 동료 피드백 활동을 교사 피드백과 병행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할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이 한국어 다시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실질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 및 동료 피드백과 관련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더 나아가 한국어 교육 연구 분야에서 동료 피드백에 대한 여러 학문적인 논의들도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D. 논문의 구성 = 4 Ⅱ. 선행 연구 고찰 = 6 A. 과정 중심 쓰기 지도와 피드백 = 6 B. 제 2언어 쓰기에서의 교사 피드백 = 8 1. 교사 피드백의 유형 = 8 2. 교사 피드백을 수정본에 반영하는 정도 = 9 3. 교사 피드백의 효과 및 제한점 = 10 4. 교사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 = 11 5. 교사 피드백의 효과적인 실시 방법 = 12 C. 제 2언어 쓰기에서의 동료 피드백 = 14 1. 동료 피드백의 유형 = 14 2. 동료 피드백을 수정본에 반영하는 정도 = 15 3. 동료 피드백의 효과 및 제한점 = 17 4. 동료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 = 21 5. 동료 피드백의 효과적인 실시 방법 = 22 D.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한 본 연구에의 적용 = 24 E. 연구 문제 및 가설 = 26 Ⅲ. 연구 방법 = 29 A. 예비 실험 = 29 B. 실험 참여자 = 30 C. 실험 절차 = 32 D. 실험 도구 및 자료 분석 방법 = 33 1. 쓰기 주제 = 33 2. 피드백 훈련 = 34 3. 피드백 종류 = 35 4. 피드백 반영 양상 = 36 5. 작문 평가 = 36 6. 설문 조사 = 37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9 A. 피드백의 유형 = 39 1. 집단 내에서의 형식 피드백과 의미 피드백 = 39 2. 피드백 제공자에 따른 형식 피드백과 의미 피드백 = 44 B. 피드백을 수정본에 반영하는 양상 = 48 C. 피드백이 수정본 점수에 미치는 효과 = 54 1. 교사 및 동료 피드백 집단 내에서의 피드백 효과 = 55 2. 피드백 제공자에 따른 피드백 효과 = 60 D. 교사 및 동료 피드백에 대한 의견 = 63 Ⅴ. 결론 및 제언 = 72 참고문헌 = 75 부록 = 80 ABSTRACT =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285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이 한국어 다시 쓰기에 미치는 영향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eacher and Peer Feedback on Rewriting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dc.creator.othernameKim, Min Jeong-
dc.format.pagex,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