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9 Download: 0

읽기과정 중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읽기과정 중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ask type and text type during reading on reading comprehension of learners of Korean
Authors
김하령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t is true that studies on task have focused on the macro-skills such as speaking or listening. But recent studies prove that reading tasks can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reading and the type of reading tasks affects read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to task type, text type has also been studied as a factor affecting reading comprehens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ask type and text type during reading on reading comprehension of learners of Korea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ill task type during read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2. Will text type during read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3. Will task type and text type during reading have the effect of interaction? 4. Will reading comprehension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ran an experiment with 32 students studying Korean in two Korean university-affiliated language institutes from October 10 to October 17, 2007. This experiment performed a 2×2 ANOVA on the data and adopted the repeated-measures design. The study includes two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ask type (i.e., semantic mapping and prediction task) and text type (i.e., expository text and narrative text). The dependent variable was a multiple-choice reading comprehension test composed of specific comprehension, general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The text difficulty, text familiarity, task difficulty, and usefulness of task were investigated by a questionnaire after performing a task.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group for semantic mapping and the group for prediction task. Each group was given the pretest and performed each task for their groups. They also filled in the questionnaire. After the treatment, they were give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ask type during L2 reading did not affect reading comprehension.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of semantic mapping group and that of prediction task group. Second, text type during L2 reading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The mean of those reading narrative text was higher than that of expository text, and the means of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ird, task type and text type did not have the effect of interaction. Therefore, task type and text type during L2 reading affected reading comprehension independently. Forth, the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was affected by task type. Text type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but task type did so significantly, among specific comprehension, general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designing reading materials. In the beginning level, comprehensible narrative texts are appropriate to read and in the intermediate or advanced level more expository texts should be available. Also, the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is affected by task type and this result should be considered in selecting tasks in textbook or in class for reading.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I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the explanations of related terms. Chapter II provides a theoretical description of L2 reading compared with L1 reading and the two main factors such as task type and text type. This chapter also reviews general studies about teaching reading for learners of Korean and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s of task and text. Chapter III describes the method of this study, which includes information on overall design, participants, materials,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Chapter IV analyzes and discuss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Chapter V describ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eaching Korean as foreign language studie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한국어 교육을 비롯한 외국어 교육에서 과제에 관한 연구는 그 동안 말하기와 듣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읽기 교육에서도 과제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으며 과제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차이가 있다는 실험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텍스트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 모국어 읽기에서부터 점차 외국어 읽기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읽기 과정 중에서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이 한국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과정 중 과제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읽기 과정 중 텍스트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읽기 이해에서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 사이에는 상호작용이 있는가? 넷째, 읽기 이해의 유형별로 읽기 이해도가 다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 소재 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 4급 학습자들과 교환학생으로 와 있는 학생들 32명을 대상으로 2007년 10월 10일부터 17일까지 실험하였다. 실험은 반복측정 설계를 사용하고, 2×2 이원분산분석으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수인 과제 유형으로는 읽기 교재와 수업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조도 그리기와 추측하기 과제를 사용하였고, 텍스트 유형으로는 설명적 텍스트와 이야기체 텍스트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수인 읽기 이해는 4지 선다형 읽기 이해력 평가였는데, 세부적 이해, 전체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로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하였다. 또 읽기 텍스트 지문의 친숙도, 난이도, 과제의 난이도 및 과제의 도움 여부에 대해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실험참가자들은 두 집단, 즉 구조도 그리기 과제를 수행하는 집단과 추측하기 과제를 수행하는 집단으로 나누어졌다. 각 집단은 동질성 검사를 한 뒤 집단별로 각각의 과제를 수행하는 실험처치를 받고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도 그리기 집단과 추측하기 집단의 사후검사 평균 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과제 유형이 읽기 이해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텍스트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야기체 텍스트의 평균 점수가 설명적 텍스트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므로, 이야기체 텍스트가 설명적 텍스트보다 읽기 이해 면에서 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읽기 이해에서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 사이의 상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은 읽기 이해에 개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과제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의 유형별로 읽기 이해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텍스트 유형에 따라서는 읽기 이해의 유형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제 유형에 따라서는 세부적 이해, 전체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라는 세 가지 읽기 이해의 유형에 차이가 통계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읽기 수업을 하는 교육 현장에서 읽기 과제를 활용하거나, 읽기 교재를 개발할 때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초급에서는 이해가 쉬운 이야기체 텍스트를 많이 활용하고, 중급과 고급에서 설명적 텍스트를 좀 더 많이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 또한 읽기 교재나 읽기 수업에서 과제의 유형에 따라 효과적인 읽기 이해의 유형이 달라진다는 것을 고려하여 과제 유형을 선택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본 논문은 I장 - V장으로 구성된다. I장 서론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및 용어의 정의를 기술하였다. II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외국어 읽기를 외국어 읽기와 비교하며 외국어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고, 그러한 요인 중에서 본 연구의 두 가지 중요한 요인인 텍스트 유형과 읽기 과제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읽기 교육을 개관하고 읽기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에 관한 실험연구들을 살펴보았다. III장 연구방법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설계 및 실험참가자, 실험도구, 실험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하였다. IV장 결과 및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의 통계분석 및 해석을 기술하였고, V장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시사점 및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