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주영-
dc.creator김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49-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전통음악에서의 크로스오버 음반을 통하여 음악 현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크로스오버를 이용한 연주방법과 발매현황을 정리함으로써 한국전통음악이 어떠한 경향으로 서양 음악적인 요소들과 결합되어 왔는지에 대해 파악하고 대표적인 변화를 보이는 곡을 통하여 전통음악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였다. 현재 한국전통음악에서 크로스오버를 이용한 다양한 연주형태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전통음악에서의 크로스오버 현상에 있어서 한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던 것에서 착안한 연구이다. 우선 현재까지 한국전통음악에서 이루어진 크로스오버 음반목록을 선별하여 크로스오버를 통한 연주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고찰해 보고 그 결과를 시기별로 나누어 제 1기(1987-1993) 형성기, 제 2기(1994-2000) 과도기, 제 3기(2001-2006) 서양음악화 현상이 나타나는 기간으로 분류하였다. 제 1기(1987-1993)는 88서울올림픽과 같은 국가행사를 통하여 전통음악에 대한 인식이 나타났던 시기이다. 대중성을 고려한 크로스오버 음반이 등장하였으며, 본격적인 크로스오버 음악의 형성기로서 그 특성을 추론해 보았다. 이 기간에는 전통음악적인 성향의 곡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5음계의 사용과 전통장단 및 시김새를 관찰하였다. 제 2기(1994-2000)는 문민정부의 세계화 정책에 의하여 국악에 대한 관심과 레퍼토리 확장이 이루어지는 기간이다. 그러나 한국의 금융위기 등을 통하여 실험적인 크로스오버 음반의 발매가 축소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크로스오버의 방향에 있어서 재정립이 있었던 시기로서 크로스오버 음악의 과도기이다. 기존의 음악적인 양식과 서양음악적 요소를 가미한 새로운 음악적 특성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제 3기(2001-2006)는 국악방송국의 개국으로 보다 다양해진 전통음악 곡들의 소개가 가능하게 되었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출현한다. 음악적인 현상에 있어서는 서양음악적인 작곡의 틀과 화성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음량이 확대되며, 전통음악적인 특성은 사라지게 되었다. 이 기간은 다양성과 함께 장르의 구분조차 모호해지는 크로스오버 음악의 서양음악화 현상이 나타나는 시기라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통음악에서의 음반을 통해 본 크로스오버 현상에 관하여 개괄적으로 전개하였다는 부족함이 있다. 하지만 하나의 기초자료로서 사용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보다 다양한 사례제시를 통하여 한국전통음악에서의 크로스오버 현상에 대한 객관적이고 세분화된 분석이 필요하겠다.;This study aims to take a close look at the musical phenomenon in Korea by reviewing crossover album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It focuses on how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evolved in recent years with influence of Western music by through case studies.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the author examined statistics on the crossover albums released in Korea from 1987 to 2006, and analyzed musical techniques used in performance of representative works from each time period. The term "crossover" is no longer a stranger in Korean traditional music scene, and as a matter of fact, we can now witness so many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releasing "crossover" albums and giving "crossover" concert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academic discussion on this trend, and the author felt there needed to be a more detailed research on this "crossover" phenonenon from Korean perspective. The need to fill this gap in the literature w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The author divided the history of the crossover music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into three phases after analyzing works : The first "shaping" period (1987-1993), the second "transitional" period (1994-2000), and the third "westernized" period (2001-2006). The first period (1987-1993) saw a rising awarenes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mong the masses, mainly through nationwide events such as the 1988 Olympic Games in Seoul.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when crossover genre began to "shape" in Korea. Crossover albums that were catered to the general public rather than a small circle of appreciative elites began to appear. The musical style remains traditional, where the use of traditional rhythms and techniques based on traditional five-note scale are observed throughout the period. During the second period (1994-2000), or the transitional period, we see a growing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mong the people.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he first civilian government in three decades, set globalization as one of its foremost agendas. Promoting traditional culture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step towards globalization, and this naturally led to expansion of repertoires. Unfortunately, the economic crisis in 1997 inevitably decreased the number of experimental crossover albums released. The musical style of this period was somewhat ambiguous as we see both originally established traditional musical traits and early stage of incorporating Western musical elements. The third phase (2001-2006), was undeniably influenced by the launching of the radio station specializ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also when westernization process is intensified. The launching of the radio station helped traditional music to find more audience, expanded the market, and thus diversified the traditional musical landscape. In this period we see traditional musicians actively integrating elements from Western music - even compositional framework and harmonics - into music-making process, and composing music with louder volume. These new ventures brought novelty and created various genres in Korean traditional crossover music. Ironically, however, in the process of borrowing new concepts, much of the traditional elements had to be compromised. The boundaries between what is traditional and what is new became blurred, and crossover music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me more and more westernized. This paper is a general study on crossover phenomen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market, and leaves much room for improvement.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one of the pioneering works in the field, and it should be able to serve as a guide for those who seek to do a more serious study on this subj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선행연구 = 3 C. 연구내용 = 6 Ⅱ. 크로스오버 현상 = 12 A. 크로스오버의 개념과 전개 = 12 1. 크로스오버 음악 = 12 2. 퓨전음악 = 14 3. 창작국악 = 15 B. 크로스오버가 활성화된 배경 = 19 1. 탈장르화 = 19 2. 대중음악의 성장 = 20 3. 상업화 = 21 Ⅲ. 크로스오버 음반 분석 (1987-2006) = 24 A. 제 1기(1987-1993) 크로스오버 음악의 형성기 = 24 1. 음반현황 분석 = 24 2. 제 1기 크로스오버 음악 현상 = 26 3. 음악적 특성 = 29 B. 제 2기(1994-2000) 크로스오버 음악의 과도기 = 38 1. 음반 현황 = 38 2. 제 2기 크로스오버 음악 현상 = 41 3. 음악적 특성 = 44 C. 제 3기(2001-2006) 크로스오버 음악의 서양음악화 현상 = 49 1. 음반 현황 분석 = 49 2. 제 3기 크로스오버 음악 현상 = 51 3. 음악적 특성 = 60 D. 전통음악에서의 크로스오버 양상에 대한 총체적 분석 = 64 Ⅳ. 결론 = 66 참고문헌 = 68 부록 = 72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281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전통음악의 크로스오버(Crossover) 현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음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rossover phenomen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 Crossing over musical boundaries-
dc.creator.othernameKim, Joo Young-
dc.format.pagevi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