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5 Download: 0

듀이의 '하나의 경험'에 근거한 도덕교육의 방향 탐구

Title
듀이의 '하나의 경험'에 근거한 도덕교육의 방향 탐구
Other Titles
A Study on aim of moral education based on Dewey's 'an experience'
Authors
김혜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quiry an aim of moral education based on Dewey's 'an experience'. At this time point in sudden changing modern society, it is true that i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Korea reflect activity - oriented learning such as volunteer activities or experiencing study to the field or education. These activity - oriented learning can be reflected to Dewey's theory of education, especially his experimentalism. But in actual fact Dewey's experimentalism properly was not understood in the field of school and only 'doing' was emphasized, which activities came to an end without effectivity. For that, it is thought that we should rightly understand Dewey's experimentalism and apply to moral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can try accomplishment of practical and whole experience in the field of school. The meanwhile it is true that a study of Dewey's experimentalism is much achieved. But preexistence study present an appearance of an aspect of one way without inquiry of a whole Dewey's experimentalism. Accordingly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to be a concept of 'an experience' which is put together to esthetic and moral point. Dewey thought that all the point of experience, that is to say, intelligent, active, esthetic, moral factor must be put together and that go forward to the whole life, also namely it shows just 'an experience'. While the factor of experience reach the completion well, it might say that 'an experience' is itself a whole satisfied self -sufficiency. Seen from above-mentioned, if we apply 'an experience' to school education, moreover moral education, it is possible to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school. To give an example, the volunteer activities learning is considered to be a most suitable. Approached to volunteer activities learning based on 'an experience', students can feel combination of knowledge and life in the process of doing volunteer activities, also do reflective thinking in the interchange one's life between another life. For this reason, volunteer activities that was carried out in the school can make for students to be growed to moral figure. Finally, studying on aim of moral education based on Dewey's 'an experience' can give a meaning to the field of education that makes no difference and not be accomplished to the whole moral education these days. On the basis of this, it is thought that Dewey want to life that is to be education, also to be growth. This study indicated that we must perceive the truth and work up such effort in the actuality field of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듀이의 ‘하나의 경험’을 근거로 하여 도덕교육의 방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맞춰 우리나라도 7차 교육개혁에서 봉사활동이나 체험학습 등과 같은 활동중심학습을 교육현장에 반영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활동중심교육은 듀이의 교육이론, 특히 그의 경험이론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에서는 듀이의 경험이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그대로 적용하여 그저 ‘행함’에만 무게를 두었으며, 그러한 활동들은 결국 실효성 없이 끝나는 무의미한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듀이의 경험이론을 제대로 이해하고 그 이론을 교육의 바탕으로 삼아 도덕교육에 적용하여 실천적이고 통합적인 경험이 학교에서 시행되도록 하고자 하는 바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듀이의 ‘하나의 경험’이라는 개념을 통해 그의 이론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하여 우리 도덕 교육이 나아가야 할 실천적 방향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그동안 듀이의 경험론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진 것이 사실이지만, 기존에 토대가 되어왔던 양상은 듀이의 경험론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지 못하고 일면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한 경향으로는 두 가지 양상, 아동의 행동 자체를 중시하는 입장과 경험에 있어 반성적 사고 과정만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두 입장에서 각각 듀이의 경험론을 연구한 결과, 그의 이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수많은 오해를 낳게 하는 부작용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듀이의 경험이론을 일면적인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닌 두 가지 관점을 심미적이며 도덕적인 요소로 통합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하나의 경험’이라는 것에 중요성을 두고자 하였다. 듀이는 모든 경험의 요소들, 즉 지적, 행위적, 심미적, 도덕적 요소들은 하나로 통합되어 삶 전체로 나아간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통합된 경험을 바로 ‘하나의 경험’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하나의 경험’은 경험되는 내용이 순조롭게 완성에 다다를 때 내면적으로 완성되고, 경험 전체의 흐름 속에서 다른 경험과 구별되며, 그 자체로 자족성을 갖춘 하나의 통일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나의 경험’에 대한 이론을 학교교육, 나아가 도덕교육에 적용한다면, 실제 도덕교육이 추구하는 이론과 실천의 통합이 학교 현장에서 가능할 거라고 생각하며 그에 대한 실례로서 봉사활동 학습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하나의 경험’이란 실제 문제를 느끼고, 이러한 문제를 반성적으로 사고하고, 그 반성적 사고를 통해 얻은 결과들을 직접 체험하며, 그에 따른 심미적, 도덕적 경험을 느끼는 모든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경험’을 근거로 하여 봉사 활동 학습에 대해 접근한다면, 학교에서 실시하는 봉사 활동 학습은 일시적인 학교 차원의 활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봉사를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삶과 다른 사람의 삶을 통한 교류를 통해 반성적으로 사고하며, 자신의 앎과 삶이 통합되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봉사 활동 학습을 하는 것으로써 그들의 경험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봉사를 하는 과정 속에서 점차 도덕적 존재로 성장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듀이의 ‘하나의 경험’을 근거로 한 도덕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종래의 도덕교육에 나타난 문제점, 즉 실효성이 없고 전인적인 도덕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교육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듀이가 추구하고자 했던 삶이란 바로 교육, 그 자체가 되어야 하고, 이것이 바로 성장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때, 또 실제 현장에서 이런 논의들이 발현될 때, 우리는 ‘하나의 경험’이 진정한 교육 속에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