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1 Download: 0

동작 전 과제 정보의 내용에 따른 무용동작 학습 효과

Title
동작 전 과제 정보의 내용에 따른 무용동작 학습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Two Different Verbal Presentation of Task Information on Learning a Dance Movement
Authors
설옥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동작에 대한 언어적 과제정보가 무용동작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동작과제에 관한 기능적 설명을 제시하는 집단과 동작 분석적 설명을 제시하는 집단으로 나누어 과제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학습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18명의 여자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실험조건에 따라 각각 9명씩 2개의 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학습과제는 한국무용동작의 한 발을 들고 뛰는 황새체를 하며 도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 동작의 시범은 동작을 촬영한 미디어 파일을 노트북을 통해 제시하였고 각 집단별로 기능적 설명과 동작 분석적 설명이 녹음된 오디오 파일을 시범과 함께 동시에 제공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동일한 실험 절차상에서 연습 없이 이루어지는 1차 검사를 포함한 총 31회의 연습시행을 거쳐 5회씩 6분단의 수행검사, 그리고 1일(약 24시간) 후 5회 수행의 파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동작수행에 대해서 4명의 한국무용 전공자가 동작의 정확성, 균형감, 연결성, 리듬감, 방향감, 표현성을 기준으로 수행 평가한 다음 이를 합산한 합계점수를 산출하였다. 각 영역에 따른 점수와 합계점수의 평균에 근거하여 과제정보 제시내용(2)에 따른 반복측정(7) 실험설계에 대응하는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second factor)을 실시하였으며, 파지단계에서는 과제정보 제시내용(2)에 따른 두 집단의 학습의 주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습단계에서는 연결성점수와 표현성점수에서 과제정보내용에 따른 주효과, 분단의 주효과, 분단과 과제정보내용 간의 상호작용효과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으며, 합계점수와 정확성, 균형감, 리듬감, 방향감 점수는 과제정보 제시내용에 따른 주효과와 분단과 과제정보내용 간의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러나 시행의 증가에 따른 분단 간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으며, 시행증가에 따라 기능적 설명집단에 비해 동작 분석적 설명집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행점수의 결과를 보였다. 파지단계에서는 동작 분석적 설명집단이 기능적 설명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집단 간 주효과는 합계점수와 정확성, 균형감, 연결성, 리듬감, 방향감, 표현성 점수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과제정보의 내용으로 동작 분석적 설명 제시는 무용동작 학습에 있어서 기능적 설명과 비교해서 두드러진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무용동작 수행에 있어서는 연결성과 표현성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 different verbal presentation of task information on dance movement learning. In order to conduct the experiment, eighteen students were allocated into two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Each group consisted of nine students respectively. The first group was presented with the functional explanation of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second group with the analytical explanation of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Laban Movement Analysis(LMA) about the tasks.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the experimental learning tasks simultaneously, which were the Hwang-sae-chae(hop) and turn, after two different verbal presentation of movement information provided by video clips. 2×7 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the second factor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Subject performed seven blocks of five trials of movement tasks in addition to a baseline measure without practicing, followed by a retention test with five trials, after twenty-four hours. The subjects' performances were evaluated by dance experts with at least 15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Ten is the maximum score in each criterion. Six different criteria were set; accuracy, balance, connection, direction, rhythm, expression. The analyses of data showed that main effects of task information content on tria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score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ial and verbal presentation of task information showed no significance in total, accuracy, balance, direction and rhythm.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ial and verbal presentation of task inform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nection and expression. The analytical explanation group was shown to have the higher scores than functional explanation group during the retention phase,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analytical explanation of movement of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have proven to be more effective in connection and expression of dance perform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