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아라-
dc.creator김아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83-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우리는 매스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수많은 시각 이미지들을 접하며 생활하고 있다. 시각 이미지들은 무비판적이고 무분별하게 우리들의 삶 속에 침투하고 있으며 특히 자아정체성과 가치관이 올바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이러한 시각 이미지들이 비윤리적이고 왜곡된 이미지의 창조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앞으로의 미술 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시각적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이미지를 읽어내고 해석하며,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창조하여 활용할 수 있는 시각문화 미술교육(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CAE)으로의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미술 교과에서 패러디를 활용한 시각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정당성과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앞으로의 미술 교육의 방향 정립에 유용한 자료가 되고자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학습자의 시대환경과 맥락의 요구에 의해 필요성이 대두된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해 보았으며, 본 연구에서는 시각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한 방법으로 패러디를 활용하였다. 패러디는 비평력을 신장하고 시각 문해력을 향상시키며 텍스트의 재창조라는 면에서 시각문화 미술 교육적 효과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7차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앞으로 적용될 예정에 있는 새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등학교 1학년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여, 패러디를 이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도입 방향과 미술 교과서의 수정 ·보완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패러디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의 특성과 흥미,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Tyler의 목표 중심 학습 모형의 절차에 맞게 수업을 계획하였으며 총 8차시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K고등학교 1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2007년 9월부터 10월까지 2달에 걸쳐 적용하였다. 패러디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 작품 결과물, 학업 성취도 평가, 감상 평가, 자기 평가, 수업 평가 등을 실시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그 효과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의 패러디 작품 주제와 동기가 주로 문화적, 사회적 맥락과 학습자들의 맥락성과 밀접히 연관되어 나타나 일상생활의 미적 경험으로서의 시각문화 교육적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작품의 목적과 의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표현 활동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작품을 감상하면서 제작자의 생각과 의도를 파악하려는 비평적 태도와 비판적 사고 능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작품 속에서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기호를 해석하고 새롭게 의미화하여 다시 기호화할 수 있는 시각 문해력(Visual Literacy)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많은 시각적 이미지들과 패러디물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선택하며, 어떤 것이 올바른 패러디인지를 구별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패러디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일상생활의 미적경험으로서의 시각문화교육과 시각 문해력을 향상시키고, 시각적 이미지를 취사선택하고 올바르게 활용하며,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 시각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효과와 정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There are lots of massmedia and numerous visual images in today's human life. Modern people are indiscriminately exposed to visual images, and indecent or perverted images have a huge adverse impact on adolescents whose ego-identity and values aren't yet established. In the future, art education should focus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CAE, in order to teach them to read, interpret, make a critical analysis of, create and take advantage of visual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CAE program for high school first-year art education by using parodies, to examine the justice and effect of it, and ultimately to help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future art education. After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VCAE that appeared in response to the needs of learners and society were discussed, the necessity of it was explored. Parodie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as an approach to that, since a parody was meaningful and effective for VCAE in that it made it possible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faculty and visual literacy and to recreate texts. The new curricula that were going to be introduced were reviewed, and existing high school first-year art textbooks were analyzed to delve into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VCAE by parody to the new curricula and the revision of art textbooks. An eight-session VCAE program was prepared by using parodi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interest and needs of high school sophomores and according to Tyler's target-centered learning mode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sophomores at K high school in the city of Daegu.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selected students for two months in September and October 2007.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VCAE program by parody, the works produced by the students were analyzed, and a paper-and-pencil test, appreciation test, self-evaluation and instructional evaluation were conducted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ut the effect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the theme and motif of their parody works were closely bound up with cultural, social and personal contexts in which they were placed. It indicated that the program had an effect on them by letting them gaining aesthetic experience in daily routine life. Second, they got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 and intent of an art work, and became confident of their expressiveness. Third, they made progress in critical attitude and critical thinking faculty by trying to grasp the ideas and intention of artists in the course of appreciating their works. Fourth, they showed an improvement in visual literacy that meant an ability to interpret signs the artists wanted to represent, to give them a new meaning and to symbolize them again. Fifth, they learned to make the right choice from among visual images and parodies that indiscreetly infiltrated into their lives, and to accept them in a critical manner. The VCAE program that used parodies and catered to high school sophomores in art class provided a chance for the students to gain aesthetic experience in everyday life, to boost visual literacy, to make the right choice of visual images, and to foster critical thinking faculty. Therefore the program could be said to be one of appropriate and effective VCAE progr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시각문화 미술교육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CAE) = 4 B. 시각문화 미술교육과 패러디 = 16 Ⅲ. 프로그램의 실제 = 25 A. 패러디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관 = 25 B. 연구 방법 = 2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7 A. 프로그램 적용 결과 = 47 B. 논의 = 54 Ⅴ. 결론 = 57 참고문헌 = 60 부록 = 63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304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패러디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Program by Parody : for First-Year of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Kim, Ara-
dc.format.pagevii,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