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중학교 과학 생물 영역의 탐구활동에 필요한 교구와 교구 기준안 비교 분석

Title
중학교 과학 생물 영역의 탐구활동에 필요한 교구와 교구 기준안 비교 분석
Other Titles
Experiment Analysis for Biology in Middle School Science and Proposal of standards of Teaching Tools and Chemicals required for experiments
Authors
한지원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학 교육에 있어서 실험 실습의 중요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지만 실제 학교 교육에서의 실험 실습 수업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있겠으나 과학 교구로 인한 문제점을 그 원인 중 하나로 손꼽을 수 있다. 각급 학교에서는 각 시·도 교육청에서 마련한 교구·설비 기준에 따라 교구들을 구비하고 있으나 대부분 저급한 교구들이거나 7차 교육과정에 맞지 않는 교구들이며 반대로 필요한 교구임에도 불구하고 교구 기준에는 빠져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제 6차 교육과정에 비해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과학 영역에서 다양한 교구들을 이용한 탐구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각급 학교에 적용되고 있는 교구 기준은 현 교육과정에서 사용하는 교구들과 맞지 않다. 2004년 교구 기준이 수정 고시되었으나 교구 기준에 표시된 교구 종목들은 이전의 교구 기준과 큰 차이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제 7차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9종 교과서 중 생물 영역에서 실시하고 있는 탐구 활동의 주제와 교구 사용에 따른 탐구 활동을 분석해 보고 다양한 탐구 활동에 따른 다양한 교구들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탐구 활동 주제별로 필요한 교구와 시약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기존 교구 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개선·보완된 교구 기준을 제시하고 제 7차 교육과정 과학 중 생물 영역 탐구 활동에 사용되고 있는 시약의 기준도 제시하여 교구 및 시약의 관리와 구매에 도움을 주고 탐구 활동 수업의 준비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개 학년 9종 교과서 과학 중 생물 영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탐구 활동의주제를 분석하여 보고 교구 사용에 따른 탐구 활동의 유형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 마다 다루고 있는 탐구 활동의 횟수와 교구 사용에 따른 탐구 활동의 유형에 차이가 났다. 대부분 일반 교구와 측정용 교구, 시약을 이용한 직접 실험 및 관찰 활동이 탐구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모형자료를 이용한 탐구 활동과 도서 및 도해자료를 이용한 탐구 활동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제 7차 교육과정 9종 교과서 과학 생물 영역에서의 주제별 탐구 활동에 사용되고 있는 교구와 시약을 분석하였다. 학년마다 배우는 단원의 내용과 성격이 다르므로 사용되는 교구 및 시약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제 7차 교육과정 과학은 실생활에 접목한 탐구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제 6차 교육과정의 탐구 활동에 사용되는 교구에 비해 더욱 다양한 교구가 제시되고 있다. 셋째,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구 기준을 분석한 결과 생물 영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구 유형은 측정용 교구, 일반 교구, 모형 자료로 분류하고 있으며 교구 종목의 규격과 소요기준, 교구 사용 학년 및 필수·권장 사항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넷째, 제 7차 교육과정 과학 생물 영역에서의 탐구 활동에 필요로 하는 교구 분석 결과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교구 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 과학 생물영역에 필요한 교구와 교구 기준에 제시된 교구가 일치하지 않는 등 교구 종목에 있어 교구 기준의 수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교구 소요 기준 및 교구 분류 영역 등에 있어서도 제 7차 교육과정에 적합하도록 각 항목의 수정 및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구 기준의 문제점을 수정·보완한 교구 기준 및 시약 기준을 제시하였다. 교구의 소요 기준은 확대 보충하였으며 교구의 영역을 측정용 교구, 유리제 교구, 일반 교구, 도서 및 도해 자료로 분류하여 교구 기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교구들을 새로이 포함시켰으며 교구 사용 단원 및 탐구 활동 주제도 함께 표시하여 탐구 활동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교구 종목과 함께 교구 사용 빈도수도 함께 제시하여 학년 초 교구 구입 및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Frankly, practical experiment education has not been conducted effectively, even though it is obvious that the significance of practical experiment education is agreed with educators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This problem is caused not only by several reasons but by practical experiment tools as well. Presently, the standardizations of practical experiment tools are provided to each school by each province. The standardizations, however, have some problems that the standardizations are often not proper to use the tools in a field of practical experiment education, and also the most tools prepared by the standardizations are contrary to Seventh Education Process. Additionally, the standardizations of practical experiment tools are required to be improved and corrected because there are needs of some practical experiment tools which are not listed in the standardiza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has objects to classify practical experiment tools required in each chapter concentrating on biological section of middle school scienceand propose improved subjects of the standardizations that are suitable to Seventh Education Process. The long-term goal is to help teachers in a field by this research. In this research, tools and chemicals needed in experiments on the field of biology were analyzed and tested in 9 class’s textbooks. It was rarely founded the common subjects of experiments in 9 class’s textbooks despite various experimental subjects are provided by 9 class’s textbooks through three grades. Also, the demand of containing new software and models in the standardization is proposed because all of 9 class’s textbooks are explained by direct inspection and experiment, using software of creature books and absent models in the standardizations. Furthermore, unification of various words to same tools is required. Chemicals are used as well as experimental tools, but the standardization of chemicals is not established. The standardization of chemicals, likely the standardization of experimental tools, could be benefit on teachers preparing experiment classes. Thus, list of chemicals which are used in relative experiment classes of biology field on 9 class’s textbooks through three grades was propo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