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연진-
dc.creator임연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5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543-
dc.description.abstract사이버가정학습체제는 온라인 학습서비스를 통해 학생들이 가정에서 인터넷을 이용해 학교수업을 받을 수 있는 인터넷 기반 학습서비스이다. 이러한 e-러닝 활용 교육은 사교육비의 절감, 공교육의 내실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향상, 교육소외계층에 대한 교육 복지적 지원 효과, 창의적인 인재 양성 등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수준별 교육과정은 현재의 교육환경에서 학습자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학습을 운영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습력을 신장시키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학생들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에 대한 개인차를 최대한 고려한 수업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성장 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인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이 학교 현장에서 수업 시수의 확보 및 교육내용 체계 구성의 어려움 등으로 제약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및 활용자원이 요구된다는 점과 각 시?도에서 운영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이 학교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수업운영에 대한 사례가 필요하다는 배경 하에서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사회과 수준별 수업운영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 학습자 중심의 교육 실현이 가능한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학습자 주도의 자율학습 형태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 서비스의 운영 모형 중에서 수준별 교실수업 지원형을 수정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후 학업성취도 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만족도 및 사회교과에 대한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해당하는 읍면 단위의 소규모 학교인 경기도 소재 S중학교 1학년 전체 학급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의 표본 수가 적어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나 학생 수가 적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성이 크다는데 그 의의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사이버가정학습이 농촌지역에 있어서 교육기회를 넓히고, 교육격차를 해소 할 수 있다는 점에 기인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1, 2차에 걸친 실험집단의 수업운영을 통해 이루어졌다. 1차는 2007년 5월부터 7월까지로 학습자 주도의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자율학습의 형태였고, 2차 수업운영은 2007년 9월부터 10월 중간고사까지는 교사 주도로 사이버가정학습체제의 수업운영 모형 중 수준별 교실수업 지원형에 따라 심화?보충그룹으로 학생들을 구분하여 수업을 운영하였다. 수업운영 후 실험집단(A반)과 비교집단(B반)의 학업성취도를 비교하는 통계 분석을 하였다.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와 사회교과에 대한 학습자 태도 변화는 수준별 및 성별로 설문지와 개별 면담 등을 통해 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수업운영을 통해 교실공간이 아닌 사이버공간에서 수준별 교육을 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사이버가정학습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교육 자료를 학습자들이 접할 수 있게 하여 학습욕구를 어느 정도 충족시켜 주었다. 또한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인터넷을 통해 사이버교사와의 교수-학습의 상호작용성이 학습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교사의 개입 없이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자율학습 형태의 수업의 경우는 강의만 주로 하는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볼 때 학업성취도의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이버가정학습이 e-러닝이라는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게임이나 채팅 등의 유혹에 쉽게 노출될 가능성이 컸기 때문이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수준별 교실수업 지원형 수업운영을 수행한 실험집단과 교실수업만 진행한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한 결과 평균성적은 실험집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볼 수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타 연구자의 국어, 수학, 컴퓨터, 과학 등 다른 과목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가정학습 활용 수업연구의 학업성취도 결과에서도 동일한 분석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투입 요인이 통제되지 못하고 학습자들의 학원 수강과 개인차 등 학습자 변인 등의 제한점이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넷째, 수준별 수업 후 사회과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정도나 성적 향상에 대한 반응을 묻는 설문에서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정도에는 긍정적인 응답도 있었지만 종합적으로 미온적인 응답이 많았다. 이는 학습자에게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습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효과적이지만 이러한 시도가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인식에서는 학습자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수준별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의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성별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성별 만족도 분석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사이버가정학습에 또 참여하겠는가를 묻는 질문에서도 여학생이 더 높은 빈도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남학생들보다 정적인 특징을 보이는 여학생들이 사이버공간에서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여섯째,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수준별 만족도 분석 결과는 보충그룹 보다는 심화그룹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심화그룹 학생들이 성적이 높은 만큼 자기 주도적 학습력이 높으며 사이버가정학습에 주의집중을 잘하였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일곱째, 농촌 지역에 위치한 본 연구대상 학습자들이 학원수업을 사이버가정학습으로 바꾸겠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중?소도시 및 농어촌 지역의 학교에서 사교육 기회의 소외나 가정 내에서의 높은 사교육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여덟째, 사이버가정학습이 사회과 수업에 대한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묻는 설문에서 대체적으로 학습자들의 수업태도 반응은 미온적이었다. 이는 학생들이 사회교과는 영어나 수학, 과학, 논술 등 다른 주요 교과에 비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수업 방법의 변화가 교과에 대한 인식 변화를 초래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본 수업운영 연구에서의 연구과제로는 공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하며 학습자들 간의 수준을 고려하고 가능한 한 모든 학생들에게 학습의욕과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중?소도시나 읍면 지역에서 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수업운영을 제도적으로 보완하며 그 기능을 확장시켜야할 필요성이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search objectives by recognizing problems in a sense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which is the core concept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is restrictive due to difficulties in securing the teaching time and in forming a system of educational contents at the school field, thereby being required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resources in utilization, and in a sense that there is necessity of presenting a model and enough cases on the implementation of specific instruction in order that the cyber home study, which is being operated in each city and provinc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at a school. This study aims to put forward the effective method for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against solving a problem in ligh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which was raised in the instruction of the middle-school social studies, and to perform the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the social studies that utilized cyber home study in a bid to realize the open education, self-directed study,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ch are being emphasized in the cyber home study service or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mid the application of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 change in learner's educational environment. In a bi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ts effects tried to be researched by planning and designing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in the social studies according to a type of supporting the differentiated classroom instruction among models of implementation in the cyber home study service. This study targeted the whole classes in the 1st grade for S middle school where is located in Gyeonggi-do. And, in terms of period, the instruction was implemented by dividing students into self-study of utilizing the learner-directed cyber home study from May to July in 2007, and into the group in deepening and supplement according to a type of supporting the differentiated classroom instruction among mode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teacher-directed instruction until mid-term exam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07.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achievement, satisfaction with cyber home study, and a change in the learner's attitude toward the social studies were performed the effect analysis through the survey research such as statistics, questionnaire, and individual interview. Give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ose are as follows. First, in implementing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the deeping and supplement type in the middle-school social studies, the cyber home study was available for the differentiated education in the cyber space, escaping from a limitations to time and space, which is said to require to be formed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only with the teacher's face-to-face study in the classroom space. And, its effects were indicated in a sense that satisfied the learners' study needs to some extent by utilizing diverse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vast multimedia educational materials in cyber home study, in a sense that the teaching-learning interactivity with a cyber teacher through internet, which is familiar to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activities, or in a sense that the utilization in the space of cyber home study led to solving a problem about a lack of the teaching time in school instruction to some extent.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deepening and supplementation for the middle-school social studies, which utilized cyber home study, was analyzed to have no influenced significantly enhancement in educational achievement, Compared before implementation with after. As a result, Experimental Group was indicated to have no educational achievement in a record more than Comparative Group statistically. In the questionnaire of instructional response to enhancement in educational achievement, the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led to an increase in the understanding level about the contents of instruction in the social studies, but to being not great in the expectation for enhancement in a record. Third,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of utilizing cyber home study led to showing learner's high satisfaction at cyber home study. By gender, female students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male students. And, by level, students in a deepening group were analyzed to have higher satisfaction than students in a supplementation group. Particularly in the questionnaire of asking about whether thinking of changing the institute teaching into the cyber home study, the frequency ratio, which responded 'Yes,' amounted to 40.4%, and the frequency ratio, which responded 'Not so,' amounted to 8.8%. Thus, learners were shown to be high in a thought about changing the institute teaching into the cyber home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4 Ⅱ. 이론적 배경 = 8 A. 사이버가정학습의 개념 및 운영모형 = 8 B. 수준별 교육과정의 개념 및 유형 = 16 Ⅲ. 사이버가정학습 활용 사회과 수준별 수업운영 = 21 A. 수준별 수업운영 설계 = 21 B. 수준별 수업운영 실행 = 24 Ⅳ. 사이버가정학습 활용 사회과 수준별 수업 효과 분석 = 31 A. 학업성취도 분석 = 31 B.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 분석 = 37 C. 사회교과 수업에 대한 태도 분석 = 44 D. 분석 결과 및 논의 = 50 Ⅴ. 결론 및 제언 = 53 참고문헌 = 56 부록 = 59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69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사회과 수준별 수업운영 및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Effects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of Utilizing Cyber Home Study in the Social Studies-
dc.creator.othernameLim, Youn Jin-
dc.format.pagex,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