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지각된 부모의 문제해결방식과 청소년의 문제해결방식 및 자살생각과의 관계

Title
지각된 부모의 문제해결방식과 청소년의 문제해결방식 및 자살생각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way adolescents perceive as their parent's problem solving process, the adolescents'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uthors
김선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their suicidal ideation. This examination is to search for intervening ways to help adolescents, who has the risk of committing suicide, by decreasing the suicidal ideation which logically comes before their attempt and ac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ir parent's problem solving process on thoughts of adolescents' suicide.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Firstly, the way adolescents perceive their parent's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 adolescents' problem solving process will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Secondly, adolescents' problem solving process will act as a mediating factor of adolescents’ perception on parents’ problem solving proces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Thus, parents' problem solving process will influence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by influencing the adolescents' problem solving process. A total of 539 students were surveyed in the study, 120 students from high school S in Seoul, 169 students from high school A in Kyunggi, 250 students from M high school, by self-reporting type questions. To measure the degree of suicidal ideation that subjects of this survey have ,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the version adapted by Shin, Min Sup(1990) using Scale for Suicide Ideation (SSI; Beck, Kovacs& Weissmann, 1979). When understanding the way adolescents perceived their parent's problem solving process and adolescents' problem solving process, 50 questionnaires from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Revised (SPSI-R; D'Zurilla, Nezu & Mayder-Olivares, 1996) were used out of which Cho, Hyun Ju (2000) excluded the two repetitive questions. The subjects were able to answer their ow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ir perception on parents' problem solving process separately in one questionnaire. This study-executed the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SPSI-R. The parents sample group analysis used two factors: properly functioning problem solving and reversely functioning problem solving. For the adolescents' sample group, rational problem solving, negative/ impulsive type, avoiding type, and positive value factors were used. The collected resource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2.0) and SAS program (Ver. 9.1). All questionnaires measuring social problem solving went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Relational analysis between the perceived parents'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 adolescents' problem solving proces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In addition, to understand whether the perceived parent's problem solving process influences the adolescents' problem solving process,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he study showed that, firstly, re-executing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SPSI-R measure showed the parents' sample groups were consisted of properly functioning problem solving and reversely functioning problem solving and problem solving, negative/ impulsive type, avoiding type, and positive value for the adolescents' sample group. Secondly, frequency analysis was done to understand the population statistical traits of subjects. The statistics showed that incomplete family forms were 20.17% and adolescents absolutely lacked the time to bond with their parents emotionally. Thirdly, it showed that perceived parents’ properly functioning problem solving process was highly correlated with adolescents’ rational problem solving process as well as their positive values. Perceived parents’ reversely functioning problem solving process turned out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adolescents’ negative/ impulsive type and avoidance type. In addition, higher the perceived parents’ properly functioning problem solving process, adolescents’ rational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ositive values, lower the suicidal ideation; higher the perceived parents’ reversely functioning problem solving process, adolescents’negative/ impulsive type and avoidance type, higher the thoughts of suicide disclosing that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uicidal ideation have a positive relation. Lastly, adolescents’ problem solving processes showed 15% of explanation power of its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Especially adolescents’ negative/ impulsive type and positive value showed meaningful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whereas parents’ problem solving process turned out to have no influence.;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문제해결방식과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자살시도와 자살행위에 논리적으로 앞서는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며 자살위험에 처한 청소년들을 돕기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문제해결방식과 청소년의 문제해결방식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문제해결방식과 청소년의 문제해결방식은 자살생각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청소년의 문제해결 방식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문제해결방식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S고등학교 학생 120명, 경기 소재 A고등학교 학생 169명, M고등학교 학생 250명 총 53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자살생각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Scale for Suicide Ideation(SSI; Beck, Kovacs & Weissmann, 1979)을 신민섭(1990) 등이 자기보고형 설문지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지각된 부모의 문제해결방식과 청소년의 문제해결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Revised(SPSI-R; D'Zurilla, Nezu, & Mayder-Olivares, 1996)를 조현주(2000)가 반복되는 2문항을 제외시킨 50문항을 사용하였으며 검사의 한 문항당 청소년 자신의 문제해결방식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문제해결방식에 따로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I-R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을 다시 실시하여 부모표집에서는 2가지 요인인 순기능적 문제해결, 역기능적 문제해결, 청소년 표집에서는 4가지 요인인 합리적 문제해결, 부정적/충동적 유형, 회피유형, 긍정적 가치관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12.0)과 SAS 프로그램(Ver. 9.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문제해결 척도의 전체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하였고, 지각된 부모의 문제해결방식, 청소년의 문제해결방식,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또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문제해결방식과 청소년의 문제해결 방식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PSI-R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을 다시 실시한 결과 부모표집에서는 2가지 요인인 순기능적 문제해결, 역기능적 문제해결, 청소년 표집에서는 4가지 요인인 합리적 문제해결, 부정적/충동적 유형, 회피유형, 긍정적 가치관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한 결과 부모 모두와 거주하고 있는 학생을 제외한 불완전한 형태의 가족형태가 20.17%이었고, 가정생활과 학교생활 만족도, 경제상태, 인터넷 사용량 등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있어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들이 부모와 함께 하며 정서적으로도 공유하는 시간의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부모의 순기능적 문제해결 방식은 청소년의 합리적 문제해결 방식 및 긍정적 가치관과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지각된 부모의 역기능적 문제해결 방식은 청소년의 부정적/충동적 유형 및 회피 유형과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각된 부모의 순기능적 문제해결 방식, 청소년의 합리적 문제해결 방식 및 청소년의 긍정적 가치관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은 낮게 나타냈으며, 지각된 부모의 역기능적 문제해결 방식, 청소년의 부정적/충동적 유형 및 회피 유형이 높을수록 자살생각도 높게 나타내어 문제해결방식과 자살생각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 주었다. 넷째, 청소년의 문제해결방식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약 15%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특히 청소년의 부정적/충동적 유형과 긍정적 가치관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부모의 문제해결방식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