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지성-
dc.creator홍지성-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5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9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561-
dc.description.abstract1970~1980년대를 거쳐 경이적인 경제성장을 거듭한 결과 근대화의 물결 속에 문화적 수요와 욕구가 증대되는 가운데 경제발전과 병행하는 문화발전이 국가발전의 길이라는 인식이 자라나게 되었다. 이에 정부도 정신문화의 영역을 정책의 주요대상으로 중시하게 되었으며, 이 시기의 문화정책은 문화인프라 확충과 예술창작에 대한 지원에 초점을 두며 문화예술부문예산의 확대를 가져왔다. 그결과 문화향수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대규모 문화시설 건립에 집중적으로 투자하여 전국적인 대규모 문화시설의 조성을 이루었다. 이러한 계획들은 국민의 문화 향수권과 참여권을 신장하고 삶의 질을 추구하는 문화복지의 실현에 중점을 둔 계획으로, 문화정책이 수용자인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으로 방향을 완전히 전환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문화복지의 개념이 문화정책의 핵심가치로 새롭게 부각되면서 지역주민들로 하여금 생활 속에서 쉽게 문화예술을 접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인식에는 문화복지 수요에 대응하여 문화예술 공공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과 적극적으로 수요를 창출하여 지역주민들이 문화생활에 참여하는 것, 문화적 혜택을 골고루 분배하여 문화적 형평성이 달성되어야 한다는 점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문화시설은 문화활동의 기반을 제공하는 시설로서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창작과 생산, 발표와 전시, 교육과 체험 등을 통해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문화시설의 설치여부는 각 도시 혹은 국가가 지닌 문화적 생산력의 좌표로서 문화적 상태를 측정하는 문화지표로 활용된다. 문화시설은 다양한 문화적, 예술적 활동을 통해 시민들로 하여금 문화권을 신장할 수 있는 가능성과 여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서울의 경우 지역주민들의 문화복지 수요에 대응하여 25개의 기초자치단체에 전구에 구민회관, 13개의 문예회관, 24개의 지방문화원, 26개의 문화의집, 54개의 공공도서관이 설립되어있다. 그러나 문화 인프라 확충정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민들은 여전히 문화시설과 공간이 부족하다고 여기며 운영의 비효율성과 프로그램의 중복성 등의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민들의 문화적 수요를 충족키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위해 생활권내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예술회관, 지방문화원, 문화의 집, 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운영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문화시설의 개념과 문화시설의 사회적 기능, 문화시설의 관리에 대해 고찰하고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서울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시설인 문화예술회관, 지방문화원, 문화의 집, 도서관의 설립목적 및 배경, 운영실태를 조사하였다. Ⅳ장에서는 기존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서울시 지역의 문화시설을 세 개의 틀로 분석하여 문화적 수요를 충족시키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Ⅴ장에서는 서울시 문화시설의 운영 방안으로 첫째는 지방자치단체별 문화시설의 다양화, 둘째는 지역의 인구수에 비례한 문화시설의 양적확충, 셋째는 문화시설 운영주체의 다원화, 넷째는 문화시설 인력의 전문성유지, 다섯째는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목적 부합성과 대중성 있는 프로그램의 반영을 들 수 있다.;As the amazing economy growth through out the 1970~1980, as modernization improving, cultural demand and desire increasing, economy improvement and cultural improvement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way to improve country. From this, the government took spirit culture as important subject to country's policy, and at this time, cultural policy took support to cultural infrastructure and art creation as important policy and expended cultural art part's budget. As the result, nation's demand to culture homesick has been increased and by this, country invested to build cultural facility and builded huge on a national basis. All these plans extends people's homesickness and right to vote and it is the plan which emphasis realization of cultural welfare and pursuing the quality of life and it meas that cultural policy is turning to all nations who are consumers. As Cultural Welfare's general idea is changing to cultural policy's important value recognition to make it easier to get in touch with culture art and make the environment to let them use this. This recolonization contains all these points; (It needs to support cultural art public service toward cultural welfare's demand, It needs to create requirement and allow local residents to enjoy culture, It needs to distribute evenly and make cultural balance). Culture facility is the place where gives base of cultural activity. Through creating and producing, presenting and displaying and educating and experiencing, we are making a lot of cultural value and the weather or not the country has cultural facility is the point to measure the culture statics. As the result, Seoul builded 25 an assembly hall to all local area, 13 culture & art center, 24 region cultural center, 26 of cultural house and 54 of public library. But despite of Culture infrastructure Seoul citizens think it still needs more cultural facilities and space, and problem with un efficiency and repetition are emerging. At this research, we are trying research the most typical culture & art center, region cultural center, cultural house and public library to suggest some plans. To do this, we suggested facility's definition and culture facility's society ability, how to take care of culture facility at Ⅱ Chapter. At Ⅲ Chapter, we investigated the background, condition of management and purpose of building Seoul's representative culture facilities, culture & art center, Region's cultural center, cultural house, public library. At chapter Ⅳ we used existing analyses, took Seoul region's culture facilities to three different part and studied how it sufficient the cultural demand. At Chapter Ⅴ, the way to manage Seoul's cultural facility are First, Diversifying local autonomous entity's cultural facility. Second, Expanding cultural facility to even as regions' residence. Third, Diversifying the central operating body. Fourth, specificity of cultural facility's human power. Fifth. Operating program's coincidence and popularity of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 3 Ⅱ. 이론적 논의 = 4 A. 문화시설의 의의 및 범위 = 4 B. 문화시설의 사회적 기능 = 9 C. 문화시설의 관리 = 11 D. 분석틀 = 14 Ⅲ. 서울시 문화시설의 운영현황 = 18 A. 문화예술회관 = 18 1. 설립 목적 및 배경 = 18 2. 운영실태 = 19 B. 지방문화원 = 24 1. 설립 목적 및 배경 = 24 2. 운영실태 = 25 C. 문화의 집 = 30 1. 설립 목적 및 배경 = 30 2. 운영실태 = 31 D. 도서관 = 34 1. 설립 목적 및 배경 = 34 2. 운영실태 = 35 Ⅳ. 서울시 문화시설의 분석 = 40 A. 문화시설의 다양성 = 40 B. 문화시설의 충분성 = 43 C. 문화시설의 운영분석 = 46 1. 운영주체 = 46 2. 운영 인력 = 50 3. 운영 프로그램 = 59 D. 분석의 시사점 = 71 Ⅴ.결론 = 73 참고문헌 = 76 부록 = 78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14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서울시 문화시설 운영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eoul culture facility operation study-
dc.creator.othernameHong, Ji-Song-
dc.format.pagev,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