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뇌성마비 유아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과 자녀 또래 관계 개입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뇌성마비 유아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과 자녀 또래 관계 개입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s Mothers’ Social Competence and Their Involvement with Children’s Peer Relationship Behavior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uthors
김선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회적 유능성은 사회적 행동의 근거가 되고 개인의 성향으로 표현되는데,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은 자녀의 또래 관계, 즉 사회적 상호작용을 자극하고 유도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이나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관련하여 정상 유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신체적인 장애를 지니고 있어 사회적 상호작용이 제한되어 있는 뇌성마비 유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뇌성마비 유아 집단과 정상 유아 집단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과 자녀 또래 관계 개입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뇌성마비 유아와 정상 유아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과 자녀 또래 관계 개입 행동, 그리고 뇌성마비 유아와 정상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병원에 내원하는 4, 5, 6세 뇌성마비 유아의 어머니 95명과 동일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동일 연령 정상 유아의 어머니 1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측정 도구는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화란(2001)이 번안?수정한 대인 관계 유능성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자녀 또래 관계 개입 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송정(1998)이 번안?수정한 부모의 개입 행동 질문지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정아(1990)가 번안?수정한 어머니용 아이오와 사회적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척도에 대하여 유아의 어머니가 직접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12.0과 SAS 9.1을 이용하여 회귀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성마비 유아 집단과 정상 유아 집단 모두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과 자녀 또래 관계 개입 행동, 그리고 뇌성마비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두 집단의 상관정도는 뇌성마비 유아 집단이 정상 유아 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도 정상 유아 집단에서 더 많은 하위요인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뇌성마비 유아 집단과 정상 유아 집단 모두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과 자녀 또래 관계 개입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정도는 뇌성마비 유아 집단보다 정상 유아 집단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과 자녀의 또래 관계 개입 행동이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뇌성마비 유아 집단과 정상 유아 집단에서 모두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데, 이 때 어머니의 자녀 또래 관계 개입 행동이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뇌성마비 유아 집단과 정상 유아 집단 간의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 총점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어머니의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주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뇌성마비 유아 집단과 정상 유아 집단의 어머니 간에 자녀 또래 관계 개입 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뇌성마비 유아와 정상 유아는 사회적 유능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뇌성마비 유아가 정상 유아보다 사회적 유능성이 낮았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활동성과 비협조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사회적 유능성이 높은 어머니가 자녀의 또래 관계에 개입을 많이 하고, 이러한 어머니의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발달시킨다. 뇌성마비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 요인의 영향력은 정상 유아 집단에서의 영향력보다 낮았다. 뇌성마비 유아 집단과 정상 유아 집단 어머니들의 사회적 유능성과 자녀의 또래 관계 개입 행동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뇌성마비 유아가 정상 유아에 비해 사회적 유능성이 낮았다.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또래 관계 개입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정상 유아보다 신체적인 장애를 지니고 있어 움직임에 어려움이 있는 뇌성마비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어머니가 자녀의 또래 관계에 좀더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관계 형성을 돕고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해주며,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에 대하여 강화시켜 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Social Competence is a basis for one's social behavior and is expressed as one's social propensity, and a mother's social competence stimulates and elicits her child's peer relationship, i.e., her child's social interactions, and then ultimately has influence on her child's social competence. Though much work has been devoted to normal children in relation with mothers' o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amount of work o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limited in their social interactions due to their physical disability has been insuffici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with a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s mothers and another group of normal children's mothers as its subject, trie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others' social competence an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behavior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s mothers and normal children's mothers in their social competence,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 behavior, an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s and norma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95 mothers of children ages 4, 5, and 6 with cerebral palsy who visited hospital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109 mothers of normal children who attended nurseries and kindergartens. I carried out a survey on them with a questionnaire. As for the tools for measurement, I use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which Kim (2001) had adapted and modified to measure mothers' social competence, the Parental Involvement checklist adapted and modified by Song (1999) in order to measure mothers' involvement with children's peer relationship behavior, and the Iowa Social Competence Scale for mothers as adapted and modified by Kim (1989) for measurement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 mothers filled up the questionnaire against each scale by themselves. For the analyses, I have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using SPSS win 12.0 & SAS 9.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erebral palsy child group and the normal child group showed a positive interrelation among the mothers' social competence, their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 an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s social competence. As for the degrees of relationship in the two groups, the cerebral palsy child group showed a relationship lower than the normal child group, and with respect to the interrelations among sub-factors, the normal child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lations among sub-factors. Second, it appeared that the mothers' social competence and their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 behavior had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both the normal child group and the cerebral palsy child group. As for the degrees of influence, the mothers' social competence & their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 behavior had greater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the normal child group than in the cerebral palsy child group. Third, in between child with cerebral palsy group & normal child group, both their mothers' social competence influence their child's social competence directly, and then the mothers'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 behavior partly appeared to mediate between the mothers' social competence and their children's. Fourth,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cerebral palsy child group and the normal child group in scores of the mothers' social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assertion, a sub-factor of mothers' social competence. Fifth,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others'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 behavior. Sixth,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he normal children showed differences in their social competence, and the former had lower social competence than the latter. As for each sub-fact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ended to have lower social competence, in particula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 in social activator and uncooperativeness. To recapitulate the results so far, we can conclude that the higher a mother's social competence, the more greatly she is involved with her child's peer relationship, and that a child with cerebral palsy is less influenced by his/her mother than a normal child.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cerebral palsy child group and the normal child group in the mothers' social competence and their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 behavi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d lower social competence than the normal children. Since mothers'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 have positive influence i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 is conceivable that it is necessary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o help their children make relations by more positively engaging themselves in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 try to effectively solve problems with their children's interactions, and enhance their children's positive social behavior, in order to increas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s social competence as they have greater difficulty in movement due to their physical disability than normal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