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지현-
dc.creator유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1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로서 현재 행해지고 있는 지리 관련 특별활동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세부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이를 위해 우선, 특별활동의 의미와 성격, 제7차 교육과정의 특별활동 영역과 의의 및 교과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지리교사를 대상으로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운영 경험, 학교 현장에서 운영된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현황 및 내용,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리 관련 특별활동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교적 성공적으로 운영되었던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운영 사례를 발굴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중·고등학교 지리교사이며, 인터넷 상에서 설문조사에 자발적으로 응한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응답자는 총 124명이었으며, 지리 관련 특별활동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69명의 교사를 통해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실제 운영 모습에 대한 상세한 응답을 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운영 경험이 있는 교사가 많은 편이었으며, 교육경력이 오래될수록 운영 경험이 있는 교사의 비율이 높았다. 지리 관련 특별활동은 중학교보다는 고등학교에서 많이 운영되었으며, 남녀공학 학교, 공립학교, 일반계열 학교에서 많이 운영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및 수도권에서의 응답자가 많았다. 교사들의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운영 경험 시기에 대해서는 과거에만 지리 관련 특별활동을 운영하고 현재에는 운영하지 않는 경우가 현재 운영 중인 경우보다 더 많았는데, 그 이유로 활동시간이 확보되지 않거나, 학생들의 호응도가 떨어지거나, 인문계 12학년을 맡게 되어 특별활동 시간을 자습시간으로 사용하게 되어 더 이상 특별활동을 운영하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인 경우가 많았다. 둘째, 지리 관련 특별활동은 주로 월1회 전일제로 운영되며, 학생 인원은 11~20명이었다. 지리 관련 특별활동 운영 장소에 있어서는 76.8%가 학교 밖 장소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주로 도심 및 부도심의 거리나 산, 강, 늪 등에서 현장답사 활동을 하고 있었다. 한편 교과 심화·탐구 학습 및 활동은 상대적으로 적게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교육청의 행정적·재정적 지원 부족, 시설과 기자재 미확충, 다양한 특별활동 프로그램의 부족, 형식적인 운영, 교사의 관심과 적극성 부족, 학생수의 과다, 교사 업무 과다에 따른 인적 자원의 부족, 시간 운영 계획의 어려움, 특별활동의 시간 부족 등 모든 문항에서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원활한 운영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실질적으로 지역사회의 시설 및 기관을 견학할 때 공문 발송 등의 행정 절차를 거쳐야 하며, 재정적 지원이 적어 활동에 필요한 비용 문제에 있어서도 힘든 경우가 많았다. 또한 사회과 교실이 없거나 컴퓨터실 사용이 힘들어 특별활동 운영에 제한이 있었다. 다양한 특별활동 프로그램도 부족하여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 관련 특별활동 운영 경험이 없는 교사들 중에서 앞으로 운영하고 싶어 하는 교사가 더 많았다는 점에 있어서는 긍정적이지만, 지리 관련 특별활동을 운영하는 경우 대부분 개인적 학습에 의존해 특별활동을 운영하고 있어 특별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부담이 모두 교사에게 전가되고 있었다. 교사와 관련해서는 교사의 업무가 과다하고, 특별활동에 대한 관심 및 적극성이 부족하며, 특별활동을 형식적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에게 주어진 행정업무의 경감이나 효율적인 업무 배분을 통해 교사가 교과 및 특별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시간 운영과 학생 인원에 있어서 탄력적이고 융통성 있는 운영이 요구되었다. 넷째, 여러 가지 지리 관련 특별활동을 저해하는 요인들 중 본 연구에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은 다양한 특별활동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현재 운영 중인 지리 관련 특별활동 중 비교적 성공적으로 운영되었던 프로그램의 사례를 8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제시된 부서들은 각종 지원이 부족하고 교실 환경이 완벽하게 충족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거나, 주어진 환경에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운영함으로써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극복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모임을 통해 지리 관련 특별활동 운영의 아이디어와 자료를 얻고 있어 지리 관련 특별활동 프로그램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리 관련 특별활동 운영 사례는 학교 현장의 상황이 다를 경우 바로 적용하기는 힘들 수 있지만, 운영 형태나 아이디어의 제공 측면에서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ate of management of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thereby exploring an effective operation plan to vitalize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circumstance of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and inquiry action based on the seventh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geography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on this matter through a survey. And several examples of the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were found and indicated. For the study 124 male and female geograph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69 male and female geography teachers had a experience to manage of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The summary of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55.6% teachers had a experience to manage of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And the teachers who had more career had more experiences. The teachers who had a experience to manage of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had experiences when they worked in middle school, coeducation school, public foundation school and academic school. And they had experiences when they work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Many teachers managed the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only past, because activity hour wasn't enough, students are lost their interests for that activity, the activity hour for the 12 grade be used for the other purposes and other reasons. Second, mostly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were managed on Saturday morning, once in a month and students were 11~20 in a class. 76.8% of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were managed several outside from the school. Mostly the teachers and students of the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had a field trip on the street of city center and subcenter or natural place like mountain, river, swamp and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studies of subject were a few cases. Third, there was many problems to hinde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There weren't enough administrative support so when the members of the activity class wanted to visit some facilities or public office, the teacher must send the official documents. Many times they were afraid of the cost for the activities cause of the lack of financial support. There weren't enough facilities like classroom for the social(geography) subject or computer. There weren't enough program for the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wanted to manage the activity future but mostly they didn't have the chance to study from the education for the teacher, so they studied for the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by own. And Teachers had too many works and they didn't have interest for the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And there must be flexibility to use the activity hour and make the personal setup. Lastly, the various instance must be studied and shared with each other to indicate the solution that can solve the problem for the lack of the co-curricular activities program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So I collected 8 instances from the teachers about their good experience about the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It supposed to be a help to make a idea for other geography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4 C. 연구의 제한점 = 8 Ⅱ. 이론적 배경 = 9 A. 특별활동의 의미와 성격 = 9 B.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특별활동 = 11 C. 계발활동과 지리교과 = 16 Ⅲ. 연구결과(1): 지리 관련 특별활동 운영 실태 = 18 A. 지리 관련 특별활동 운영 현황 = 18 B. 지리 관련 특별활동의 형태 = 22 C. 지리 관련 특별활동 운영의 문제점 = 29 Ⅳ. 연구결과(2): 지리 관련 특별활동 운영 사례 분석 = 37 A. 지리 관련 특별활동 운영 사례의 선정 = 37 B. 지리 관련 특별활동 운영 사례 분석 = 39 C. 분석 요약 및 제언 = 64 Ⅴ.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9 부록 = 72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343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지리 관련 특별활동 운영 실태 및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계발활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curricular Activities Linked to Geograph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dc.creator.othernameRyu, Ji Hyun-
dc.format.pagei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