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곽지향-
dc.creator곽지향-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0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076-
dc.description.abstract8차 교육과정을 앞둔 시점에서 예체능 교육은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점차 위축되고 있으며 음악교사의 입지까지 약화되고 있다. 이는 음악교사의 직무만족과 음악교육의 질적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예술계 학교 음악교육의 위축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예술계 중ㆍ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 및 불만족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음악교사의 직무만족과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선 교사의 높은 직무만족감이 필수적으로, 음악교사의 직무만족 향상과 더불어 예술계 학교 음악교육의 발전과 활성화가 이루어진다면 전반적인 음악교육의 필요성 및 당위성 제고에도 이바지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직무만족도는 문헌 연구에 따라 개인적, 사회관계적, 환경적, 전문성 신장의 네 가지 측면으로 구분한 총 50문항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직무만족도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배경과 교직선택 동기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서술형 문항을 통해 일반계 중ㆍ고등학교와의 직무만족도 차이점, 예술계 학교 직무에 대한 만족 및 불만족 요인, 더불어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에 대한 의견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전국 예술계 중ㆍ고등학교 전임 음악교사이며 우편, 전자우편, 직접 방문을 통해 직무만족도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 및 수거하였다. 최종 분석 자료는 총 16개 학교에서 회수한 60부이다. 설문지의 구성 및 내용은 연구대상의 배경과 교육경험에 대한 선택형 및 서술형 문항과 직무만족도 조사를 위한 5점 척도의 총 50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조사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 및 백분율 분석과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법(One-way ANOVA),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의 교직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음악교사특성 관련 동기로 교직을 선택한 경우 직무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반계 학교 재직 경험과 비교한 결과 예술계 학교 근무에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전문성을 살린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세부요인은 동료교사, 보상체제, 연수ㆍ연구 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5점 중 평균 3.18점으로 보통 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며, 직무만족도의 네 가지 측면 중에서는 사회관계적 측면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전문성 신장 측면이 가장 낮았다. 세부요인 중에서는 사명감과 목표의식을 포함한 내적인정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사무 처리 부담에 대한 문항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연구대상의 가장 큰 직무만족요인은 전문성을 살린다는 점과 학생과의 교감이며, 불만족요인은 과다한 업무였다. 예술계 학교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의견으로는 예술계 학교의 특수성을 살린 커리큘럼 및 교육체계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예술계 중· 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직무만족 향상과 예술계 학교 음악교육의 개선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교사 연수 및 연구 기회의 확대와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업무 축소 방안, 예술계 학교의 특성화된 커리큘럼 개발 등이 가장 필요하다. 그 밖에 교사 채용 방식의 개선과 전공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 조성, 학생수 축소를 통한 소수 집단 및 분반 수업 형태, 보상 체제의 공정성, 동료애 형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음악교사 역시 스스로의 전문성 신장 및 교직의식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행정 관리자들은 예술계 학교의 특성에 대한 보다 높은 관심과 이해와 함께 전문성을 고려한 학교 경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행정당국의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satisfaction of music teachers at the arts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and music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music teachers' job satisfaction will contribute to making a strong resolution of general music education as well as the advancement of arts schools' music education.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organized into two parts. First part was about subject's backgrounds, motives for choosing teacher, working experiences at general schools, and the satisfying, dissatisfying factors for the present job. Second part was 50 questions of 5 likert scales about the job satisfaction of music teachers. 50 ques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aspects of he individual, social relations, circumstances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The subjects were music teachers who served arts junior high schools as well as arts high schools in Korea. The survey was investigated by mail, e-mail, & visit. 60 copies were finally collected from music teachers at 16 schools. SPSS 12.0 program was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t-tests, One-way ANOVA, and correlative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was done by questions to investigate personal, educational background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music teachers: In the sample, 66.7% were female, 91.7% serves at senior high schools. Most teachers had masters degree, 33.3% majored in voice. The majority chose the teaching profession in order to make use of their major and the arts school because of making the most of specialty. It was proved the job satisfaction has relevance to motives that they chose teacher.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teaching at the junior & senior high schools were 56.7%, and 70.6% of them presented a higher job satisfaction at arts schools than general schools because of making use of major. Most music teachers expressed them dissatisfied at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and classes. Secondly, t-tests, One-way ANOVA, and correlative analysis were done by questions to investigate the job satisfaction of music teachers at arts junior, senior high schools in Korea. The biggest influencable factors to arts school music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manifested to relations with colleagues, reward system, & in-service training system. The result of general job satisfaction was 3.18 of 5, above the average. The result of job satisfaction was also analyzed into four aspects of the individual, social relations, circumstances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The job satisfaction at the aspect of social relations was 3.51, the highest and the aspect of professional advancement was 2.89, the lowest. In subordinat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trinsic recognition was the highest and a load for routine work management the lowest. In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music teachers at arts junior & senior high schools obtained job satisfaction mainly from making the most of specialty and interacting with students. On the other hand, main job dissatisfying factors were excessive load of work and number of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music teachers' job satisfaction, arts schools and administrators ought to supply the opportunities and conditions for teacher's advancement and develop arts schools' specialized curriculum and solutions to lighten the work load. Music teachers also have to make an effort in improving music teaching skil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2 C.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D.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직무만족 = 6 1. 직무만족의 개념 및 의의 = 6 2. 직무만족의 주요 이론 = 9 3. 직무만족의 결정 요인 = 13 4. 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 16 B. 예술계 중ㆍ고등학교의 직무환경 = 20 1. 예술계 중ㆍ고등학교 현황 = 20 2. 예술계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 21 3. 예술계 중ㆍ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직무 환경 = 24 III. 연구방법 = 27 A. 연구방법 = 27 1. 조사대상 = 27 2. 조사도구 = 27 3. 분석방법 = 31 B. 연구절차 = 31 IV. 결과 = 32 A. 연구대상 분석 = 32 1. 연구대상의 인적사항 및 교육적 배경 = 32 2. 교직선택동기 및 과거교육경험 = 34 3. 현재교육경험 = 38 B. 직무만족도 분석 = 47 1. 개인적 측면에서의 직무만족도 = 50 2. 사회관계적 측면에서의 직무만족도 = 54 3. 환경적 측면에서의 직무만족도 = 61 4. 전문성 신장 측면에서의 직무만족도 = 69 V. 결론 및 제언 = 73 A. 결론 = 73 B.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76 참고문헌 = 77 부록 = 82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05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예술계 중ㆍ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직무만족도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Music Teachers at the Arts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in the Republic of Korea-
dc.creator.othernameKwak, Jee Hyang-
dc.format.pageix,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