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수연-
dc.creator최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0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082-
dc.description.abstract고도의 과학 기술과 지식 정보의 사회에서 과학 과목에 대한 흥미, 태도와 경험은 과학 성취도를 결정하고 진로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한편, 남성 우월적인 영역으로 간주되고 있는 과학 기술 분야는 다른 어느 분야보다 성별 차이가 두드러진다. 실제로 과학 교육 현장에서 과학 성취도 평가 결과 우리나라의 성 차가 심한 편이며, 과학을 선호하는 정도나 과학 관련 분야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위치가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성 차의 원인은 학생들의 과학 과련 경험과 같은 사회ㆍ문화적인 요인과 흥미, 태도 등의 정의적 요인에서 비롯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더 많은 여성이 과학 관련 분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여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태도를 강조해야 한다는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ㆍ고등학생들의 과학 내용에 대한 흥미, 과학에 대한 태도, 학교 밖에서의 과학 과련 경험을 성별 및 학교 급별로 알아봄으로써 과학교육과정의 내용을 구성하거나 과학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남ㆍ여 공학의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 고등학교 1학년 4개 학급으로 총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 문제에 따라 SPSS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독립 표본 t 검정,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관련 주제에 대한 흥미는 STS 및 과학의 본성영역을 제외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기술과학, 환경 영역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흥미를 보였다(p< .05). 특히, 화학과 기술과학 영역에서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은 흥미를 나타냈다(p< .01). 학교 급별로는 지구과학을 제외한 물리, 화학, 생물, 기술과학, 환경, STS 및 과학의 본성 영역에서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은 흥미를 보였다(p< .05). 특히, 환경, 생물, STS 및 과학의 본성 영역에서 중학생이 고등학생 보다 높음 흥미를 나타냈다(p< .01). 둘째,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과학은 흥미롭고, 일상생활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과학 관련 직업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학교 급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05). 셋째, 학교 밖 과학 과련 경험은 손으로 하는 일에서 남학생이 더 많은 경험을 해 보았고, 컴퓨터의 사용과 요리ㆍ수공예의 경험은 여학생이 더 많은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p< .01). 학교 급별로는 손으로 하는 일, 도구ㆍ기계의 사용, 컴퓨터의 사용, 치료 경험에서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많은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p< .05). 넷째, 중ㆍ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ㆍ태도ㆍ경험을 6년 전에 행해진 비슷한 연구(정영란ㆍ권혜영, 2001)와 비교해 보면, 2001년도보다 2007년도에 남ㆍ여 학생의 성 차가 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ㆍ여 학생 모두 과학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흥미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여학생의 흥미도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또한 남ㆍ여 학생 모두 과학에 대한 태도 역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한편 학교 밖의 과학 관련 경험의 빈도는 남ㆍ여학생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content, attitudes toward science classes and out-of-school experiences by students' gender and grade level. The sample consisted of 276 Students(136 middle school students and 140 high school students, 138 boys and 138 girls) in Kyunggi area. Students were surveyed in May 2007 using the international ROSE questionnaire designed by Schreiner & Sjoberg(2004). It focused on students' emotions such as interests, attitudes and their out-of-school experiences in science. Factor analysis yielded seven distinct fields of interest, four types of attitudes toward science class and six types of out-of-school experiences. The score of students wa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SPSS 12.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by the program provided frequencies, percent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all items. The major statistical analysis employed two-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dicated as follows: First, boys were more interested in all areas of science content except STS/NOS(Nature of science) than girls(p< .05). Especially boys showed more significant interest level in the areas of chemistry and technology than girls(p< .01). As for ages,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all areas of science content except earth science than high school students(p< .05). Especially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more significant interest level in environmental protection, biology and STS/NOS(Nature of science) than high school students(p< .01). Second, more boys thought that science is interesting and helpful in everyday life and would liked to get a job in technology. This survey also showed that boys ha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than girls(p< .05). No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identified among grade levels.(p> .05) Third, Boys had more manual work experiences(p< .01), while girls showed significantly more out-of-school experiences of using computer, cuisine and handicraft(p< .01). High school students had more experiences related to manual work, using instruments and technological devices, using a computer, or attending to medical treatment(p< .05). Finally, comparison with a similar study(Jung Young Ran & Kwon Hye Young, 2001) completed six years ago indicates that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declined.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n 2001, trends of interests in science of both boys and girls have increased, and the increase of girls was greater. In trends of attitudes toward science both boys and girls showed that students of this survey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ince than those of 2001. On the other hand, out-of-school experiences have declined since 200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II. 이론적 배경 = 5 A. 과학 성취도 결과 분석 = 5 1. 성별에 따른 과학 성취도 추이 결과 = 5 2. 성별에 따른 내용 영역별 과학 성취도 차이 = 5 B. 과학에 대한 선호도에서의 성 차의 요인 = 7 1. 생물학적 요인 = 8 2. 사회ㆍ문화적인 요인 = 8 C. 과학의 정의적 영역 = 9 1. 흥미 = 10 2. 태도 = 11 D. 성 차 해소를 위한 방안 = 11 1. 교과서 및 학습 자료의 변화 = 11 2. 교사의 성차에 대한 인식 및 교수 태도의 변화 = 12 3. 여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 13 E. 선행 연구 = 14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16 A. 연구대상 = 16 B. 연구절차 = 16 1. 연구의 설계 = 16 2. 검사 도구의 선정 = 17 3. 예비검사 = 18 4. 설문지 조사 = 18 5. 통계 처리 및 결과 분석 = 18 C. 검사도구 = 19 1. 흥미 있는 과학 주제(A, C, E) = 20 2. 과학에 대한 태도(B) = 20 3. 학교 밖의 과학 관련 경험(D) = 22 D. 결과의 통계 처리 및 분석 방법 = 23 1. 기술 통계 분석(Descriptive Analysis) = 23 2. 독립 표본 T-검정(Independent-Samples t-test) = 24 3. 변량 분석(ANOVA) = 24 IV. 연구결과 및 논의 = 25 A. 과학 내용 영역에 대한 성별 및 학교 급별 흥미도 차이 = 25 1. 물리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28 2. 화학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30 3. 생물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31 4. 지구과학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33 5. 기술과학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35 6. 환경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37 7. STS 및 과학의 본성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38 B. 과학의 태도에 대한 성별 및 학교 급별 차이 = 40 1. ‘과학을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43 2. ‘과학을 재미있는 과목으로 인식’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44 3. ‘과학을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과목으로 인식’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45 4. ‘과학과 관련된 직업 선택’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47 C. 학교 밖의 과학과 관련된 경험에 대한 성별 및 학교 급별 차이 = 49 1. ‘손으로 하는 일’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52 2. ‘도구ㆍ기계의 사용’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54 3. ‘현장 견학 및 과학에 관한 정보를 얻는 활동’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56 4. ‘컴퓨터의 사용’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58 5. ‘요리ㆍ수공예’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59 6. ‘치료’ 영역에서 성 차를 보이는 문항 분석 = 61 D. 흥미ㆍ태도ㆍ경험에서의 성 차에 대한 2001ㆍ2007년도 추이 분석 = 63 1. 2001ㆍ2007년도 과학과 관련된 흥미에서 나타난 성 차의 추이 변화 = 63 2. 2001ㆍ2007년도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 나타난 성 차의 추이 변화 = 66 3. 2001ㆍ2007년도 학교 밖의 과학 관련 경험에서 나타난 성 차의 추이 변화 = 67 V. 결론 및 제언 = 70 참고문헌 = 72 부록 = 79 부록1. 원본 설문지 = 79 부록2. 번역 설문지 = 92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45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성별에 따른 과학 관련 흥미, 태도, 학교 밖 경험의 추이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rends of students' interests, attitudes, out-of school experiences by gender-
dc.creator.othernameChoi, Soo Yeon-
dc.format.pagexii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