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준희-
dc.creator장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1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143-
dc.description.abstract학교 밖의 비형식 과학 교육 활동과 학교 밖 과학 교육 기관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체험 학습의 현장으로서 과학관의 교육적 역할의 범위와 기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과학관과 과학 센터의 전시물 및 전시 공간은 전통적인 학교 상황에서는 하기 어려운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들이 전시에 참가하여 체험함으로써, 자기 학습력과 평가력을 기를 수 있어 과학관의 교육적 활동은 학교에서의 과학교육활동의 일환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밖 과학교육으로서의 과학관 교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 학교 교육과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관의 전시물이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물영역에 어떠한 연계성을 가지는지 분석하여 과학관의 교육활동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서울시와 대전시에 위치하고 있는 국립서울과학관, 남산탐구학습관, 국립중앙과학관, 대전교육과학연구원, LG 사이언스홀의 5곳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과학관의 전시물 중 생물영역에 해당하는 전시물을 조사・분석하여 교육과정이 반영된 전시물들이 과학관별로, 생물영역의 각 단원 및 학년에 따라 어느 정도의 연계성을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국가 교육과정 성취도에 의해 평가기준을 개발하였고 이에 의거하여 과학관 전시물을 평가하여 교육과정의 반영 정도를 알아보고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관의 전체 전시물 중 생물영역에 해당하는 전시물 비율을 분석한 결과 다른 영역에 비해 결코 낮은 편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관 전시물 중 생물 교육과정이 반영된 전시물을 분석한 결과 각 과학관마다 전시물의 주제와 그 수에 있어 차이를 보여 각 과학관마다 중학교 생물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학관 전시물 중 중학교 생물 교육과정이 반영된 전시물을 학년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 과학관의 학년별 전시주제 수를 통합하여 본 결과 7학년의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9학년, 8학년의 순이었다. 과학관별로 나타난 결과 또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셋째, 과학관 전시물 중 중학교 생물 교육과정이 반영된 전시물을 단원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 과학관의 전시 주제를 단원별로 통합한 결과를 비교해보면, ‘생식과 발생’ 단원에 대한 전시 주제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소화와 순환’, ‘생물의 구성’, ‘식물의 구조와 기능’, ‘유전과 진화’, ‘호흡과 배설’, ‘자극과 반응’ 단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과학관들은 7개의 각 단원에 대한 전시가 모두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 단원들에 대해서는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중학교 생물 교육과정이 반영된 과학관 전시물들의 단원별 전시 주제 비율이 고르지 않으며, 교육과정 내용이 골고루 반영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생물 교육과정이 반영된 전시물을 개발한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고, 이를 통해 과학관들의 중학교 생물 교육과정 반영 수준의 정도를 비교해 볼 수 있었다. 각 과학관별로 전시물의 평가결과를 분석해보면 남산탐구학습관과 대전교육과학연구원이 각각 4로 전시물의 교육과정 반영 정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립서울과학관은 3.5로 보통 이상의 수준이고 LG 사이언스홀이 2.7, 국립중앙과학관이 2.5로 보통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5곳의 과학관의 평균적인 평가결과는 3.3으로 교육과정 반영 정도가 보통 이상의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을 비교적 충실히 반영하고 있지만 내용면에 있어서 특정 영역에 치우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학년별 내용면에서도 고르게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즉, 보통 수준 이상의 교과 연계성을 보이고 있지만 각 전시물 간에 위계성이 부족하고 과학관 상호간의 보완성이 미흡했다. 따라서 과학관을 좀 더 활성화 시키고 학교 밖 과학교육의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될 수 있고 체계성・위계성이 있는 전시를 하여야 하며 과학관 상호간의 연계를 통한 상호 보완적인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well science museum reflects characteristics of course of study and then to compare display contents of science museum with middle school biology of the 7th curriculum. Five science museum investigated were Seoul National Science Museum, Seoul Science Park Namsan Branch Exploratory Learning Hall, Daejeon National Science Museum, Daejeon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 LG Science Hall. To estimate substance exhibited in the science museum, an instrument was developed based on middle school biology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by KICE. The exhibits of science museum were estimated by using the estimation tool.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a which biology contents of course of study are exhibited has been less than 24%, but it is not a low percentage compare to other fields. Second, the exhibits which contain biology contents of course of study has been lost balance by unit and grade. Third, biology course of study reflection degree of science museum is a slightly above the average(3.3 points of perfect score 5 points). In the results, there are some degrees of relevance between school curriculum and exhibits. However, the several areas of biology in the exhibits have been partial. Therefore, science museum exhibits are required to be more systematized, and visiting a museum as a out-of-school science activity will be revitaliz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 4 A. 학교 밖 과학교육 = 4 1. 학교 밖 과학교육의 의미 = 4 2. 학교 밖 과학교육의 구분 = 6 B. 과학관의 역사 = 7 C. 과학관의 정의 = 8 D. 과학관의 기능 및 역할 = 10 E.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배경 = 11 1. 성취기준 = 11 2. 평가기준 = 13 F. 선행 연구 고찰 = 14 1. 국내·외 과학관 현황과 교육 활동 분석 연구 = 14 2. 과학관 현장 학습의 영향에 대한 연구 = 15 3. 과학관의 전시물 분석과 학교 교육 과정과의 연계성 연구 = 16 Ⅲ. 연구 방법 = 17 A. 연구 대상 = 17 1. 과학관 선정 = 17 2. 과학관 전시물의 평가기준 = 19 3. 평가자 = 20 B. 연구 절차 = 20 1. 과학관 전시물의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 20 2. 전시물 평가기준의 개발 = 21 3. 전시물의 평가방법 = 23 Ⅳ. 연구 결과 = 24 A. 과학관의 전시물 분석 = 24 1. 생물영역의 전시물 분석 결과 = 24 2. 중학교 과학과 생물 교육과정이 반영된 전시물의 분석 결과 = 25 3. 과학관 전시물의 생물 교육과정에 따른 학년별 분석 결과 = 35 4. 과학관 전시물의 생물 교육과정에 따른 단원별 분석 결과 = 37 B. 과학관의 전시물 평가 = 39 1. 평가기준에 따른 과학관별 평가 = 39 2. 전시 내용 평가 결과의 분석 = 44 Ⅴ. 결론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0 <부록1> 성취기준 = 54 <부록2> 전시물의 평가기준 = 58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22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학관 전시물의 중학교 생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Relevance between Science Museum Exhibits and School Biology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Chang, Jun Hee-
dc.format.page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