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해금산조의 선율을 시각화한 의상디자인 연구

Title
해금산조의 선율을 시각화한 의상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ress Design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Haegum Sanjo’s Melody : Focused on the scratch technique
Authors
이인순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study, the visualization of an impression created by melody in music is used as a motif of fashion design. In order to translate a melody into a certain image, synesthesia concepts an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uditory and visual senses are examined. This means this study combines the auditory expression of music with the visual expression of fashion design. It is valuable not only as an enlargement in materials of fashion design, but also as a new trial to fusion art area which is a main trend of modern art. As the music to be realized through visual image, four basic melodies of JiYoungHee's Haegum Sanjo are used. Haegum is an essential instrument in Korea traditional music,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melody is expressed with facility and variety compared to other traditional instrumen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ense from the Haegum's quality even in the Korea traditional music, which is known as being static and monotonous, are tried to be expressed in the sense of sight. For the purpose of gripping the public sense of Haegum Sanjo, 16image maps, which represent the melody as the images with geometrical rhythm, are organized. And 80 sensitivity adjectives, which are categorized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are used for expressing visual images from shape, color, and texture. Using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which includes the maps and adjectives, the motives are leaded from the image map analysis and the adjectives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works design of the clothe, the scratch technique is utilized mainly expressing sharp and obvious tone quality of Haegum by linear constituents. And overall design is simple, but the strong contrasts of color and texture are emphasized. These help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scratch technique. The graceful attra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various and obvious quality of Haegum are realized through the 8 design works.;예술은 인간의 기본적인 정신활동으로 인간의 근원적인 경험 속에 존재해 왔으며, 예술행위란 시간과 공간을 주축으로 경험을 표상화 하려는 인간의 상징적인 사고에 의한 것이다. 인간의 근원적이며 감성적 인식영역인 청각적 능력과 시각적 능력, 즉 음악과 미술과의 관계는 상호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청각과 시각의 상호연관성과 공감각적 해석을 바탕으로 음악의 선율에서 느껴지는 감성을 시각화하고, 이를 의상디자인의 모티브로 활용하였다. 이는 청각언어인 ‘음악’을 시각언어인 ‘의상’으로 표현하는 각기 다른 장르의 결합으로서, 의상디자인의 새로운 영역을 확보하여 보다 폭넓은 예술 영역의 방향성을 제시하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 감성을 객관적으로 측정,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함으로써, 눈으로 음악을 보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통해 예술적 감성을 표현하는 방법과 도구의 다양한 영역과 현대의상디자인에 있어 소재개발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내용으로 먼저 음악의 선율을 시각화하기 위해 공감각의 개념 및 청각과 시각의 상호연관성을 고찰하고, 공감각적 표현에 근거하여 음악적 감성을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이론적인 근거 및 구체적인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제로는 해금산조를 선택하였으며, 이는 시대·사회·문화의 흐름에 따라 동·서양 장르의 구분 없이 ‘퓨전’이라는 하나의 새로운 장르가 자리매김하는 시대에 한국전통음악이 갖고 있는 우리고유의 정서와, 패션이 갖고 있는 세련미와 대중성이 결합되면서 한국전통음악을 재해석하고 패션을 비롯한 다양한 예술문화를 형성하는데 연구의 대상으로서 그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한국전통음악에 있어서 해금은 어떤 형태의 연주에도 빠지지 않는 필수적인 악기이며, 중간음역대의 악기가 주를 이루는 국악의 분포를 볼 때 고음역에 속하는 해금은 다른 국악기들보다 선율표현에 있어서 자유롭고 다채롭다. 이러한 악기의 특성으로 볼 때 해금은 주제선율을 전달하고 시각화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우선 민속악을 대표하는 기악독주곡인 해금산조 중에서 <지영희류 해금산조>의 기본 장단인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총 4개의 선율을 선정하였고, 해금산조 선율의 감성조사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정된 해금산조 4장단 선율의 이미지를 시각화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여러 가지 조형형태들로 이루어진 16개의 시각이미지맵을 구성하고, 형태, 색채, 재질 등의 시각요소로 구성되어지는 80개의 감성형용사를 추출하였다. 이는 (주)IRI Design에서 감성언어를 비롯한 여러 가지 조형적 감성대상을 객관적인 기호 판단 축에 의해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이다. 설문내용은 해금산조 4장단의 선율에 대한 시각이미지 적용과 추출한 감성형용사 평가로 구성된다. 설문결과는 응답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 시각이미지와 감성형용사 평가결과에 따라 각 선율을 시각화하였다. 본 논문의 작품제작은 시각화한 선율을 의상에 담아내는 과정에서 스크래치 기법을 응용하였다. 해금산조의 날카롭고 명확한 고음선율은 스크래치 기법을 통해 선적인 요소와 질감표현을 극대화시킴으로 소재개발의 기법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작품의 디자인은 선율을 시각화하는데 있어 중요시되는 부분이 색채임을 감안하여 강한 색채대비와 질감표현에 중점을 두었고, 실루엣은 심플하게 하여 총 8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시각화의 대상으로 선정한 해금산조의 선율과 의상디자인의 결합은 한국전통음악이 갖고 있는 우리 고유의 정서와 패션이 갖고 있는 세련미와 대중성의 결합으로 이어질 수 있고, 한국전통음악의 재해석으로 패션을 비롯한 다양한 예술문화를 형성하는데 그 연구의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시각이미지로 제시된 조형형태들은 청각적 언어에서 시각적 언어형태로 재현이 가능하며 선율의 리듬감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였고, 디자인요소를 추출하는데 있어 보다 효과적이었다. 셋째, 4개의 해금산조 선율의 감성을 객관적으로 도출해 내어 시각적으로 조형화하기 위해 객관적인 기호 판단 축에 의해 체계적으로 분류한 <감성형용사 Image Scale>을 적용함으로써, 심상의 객관적 도출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시각모티브를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얻어낼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작품제작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금산조의 선율을 시각화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설문이 이루어진 4개선율의 감성은 기하학적 조형형태 및 색채와 질감을 통해 의상디자인의 모티브로 제공되어 선율의 리듬감을 표현해내는 소재개발의 가능성을 재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스크래치 기법을 이용한 시각화는 해금산조의 가장 정적이고 차분한 진양조장단의 잔잔한 선율에서부터 싱코페이션의 화려함이 돋보이는 자진모리장단의 날카롭고 복잡한 선율까지 표현가능하며, 강한 색채대비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셋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작품을 제작한 결과, 선율의 청각이미지는 의상디자인을 통해 그 감성의 표현이 가능하며 눈으로 음악을 보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행해진 선율의 시각화에 의한 의상디자인은 공감각적 표현에 근거하여 선율이라는 음악적 언어를 디자인이라는 시각적 조형언어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는 하나의 시도로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의상디자인의 모티브로 활용할 수 있는 소재의 무한한 영역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현대의상디자인에 새로운 대안이 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