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키치(Kitsch)의 미적 특성을 응용한 패션스타일링 연구

Title
키치(Kitsch)의 미적 특성을 응용한 패션스타일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shion styling in Application of Kitsch's Aesthetic Characteristics
Authors
이언주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ashion in the present day is gradually changing its character from uniform fashion by mass production to total coordination oriented, and the modern people are trying to pursue creation of new images through fashion and focusing their interests from ‘what to wear’ to ‘how to wear.’ In other words, they put great value and meaning in presenting differentiated senses from others and fashions with individualities. In 21st century, which can be called as the era of self expression, clothes play the role as a means to present differentiated image beyond function of simply protecting or covering the body, and sometimes plays the role as sign of human’s social mutual relationships. With the trend of the times, fashion styling has slowly become an important genre of fashion. Modern people living in the digital era, the era of mass consumption culture, and the era where individuality has great importance, have come to wish and pursue more new, experimental, and futuristic style. As the desire to be always noticed with different individuality from others has increased, it is natural phenomenon that the concept of Kitsch, highly valuable as idea-intensive product, and strong in individual character is becoming an important figure as a fashion code in mass society.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Kitsch’ has expanded its territory to one art genre rooted into the mass, and had influences on territory of ‘high fashion’ as well. Especially, in ‘high fashion’ brands, the fact that vulgar and shallow elements of Kitsch are not plainly exposed for expression, but instead expressed in fascinating and expensive accessories, sometimes in humorous elements arousing amusing sensibility, and freely borrowed within the limit of keeping images of luxurious brands should be taken notice of. This shows that in modern society, Kitsch influences not only low class culture but also naturally influences across high class culture. This study has tried theoretical inquiry on new image expression methods of Kitsch by approaching image expression study within fashion styling with scientific viewpoint. The essential point is on reinterpreting Kitsch image freed from existing vulgar and conventional Kitsch images with Couture-like sensibility in it as it is influenced by high class culture with modern sense and presenting it. For effective image presentation, 9 styling photos could be presented by opportunely combining styling elements like items, colors, materials, accessories, hair and makeup, model, etc.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Kitsch concept could be grasped from passive, negative meaning of ‘vulgar popular taste of forged, false sense imitating high culture and using objects indiscriminately for shallow duplicates’ to a concept belongs to extensive territory range of ‘specific philosophical and aesthetical category expressing attitudes of the public actively and positively performing such a taste and accepting consumption culture of industrial society.’ Second, Kitsch has characters of accumulation shown as collecting craze, excessive decoration, characteristics as excessive image, characteristics of errors in array and creation, copying or forgery, characteristics of imitation, characteristics providing rest and amusing enjoyment, characteristics of exotic, sexual amusement started from hedonism, and characteristics middle layer that patchworks by rounding up elements of culture, and it was shown that the characters are divided into six; element of decoration excess accumulation, inappropriateness, imitation of its own, amusement, sensation, and middle layer character. Third, through exemplary study on fashion based on six characters of Kitsch, it was shown that it is divided into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xaggeration, inappropriateness, imitation, amusement, sensation, and middle layer character. Fourth,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modern fashion collections, it was known that styles with Kitsch’s images and characteristics as their motive were largely shown in high fashion and Haute Couture collections. Also, it was known that vulgar and popular images of Kitsch were refined and transformed into luxurious image with Couture sense. Fifth, in order to effectively present the six formative characters of Kitsch fashion - exaggeration, inappropriateness, imitation, amusement, sensation, and middle layer character into modern clothes with Couture sense, black color was selected as the main color. By arranging vivid colors into every design element, being maximally moderate in detail, and using materials like velvet, satin, hand weaving silk, wool, silk chiffon, etc, simple lined silhouette was made. This way, luxurious and refined images could be maximized. Sixth, individuality was brought into relief by presenting all of hair and makeup in different design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design, and skin tones were unified in pale tone to be moderate in color sense. This emphasized accent color arrangement expressed by eye makeup. This showed that images can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fashion styling according to intentional presentation of hair and makeup. Seventh, uses of mining decoration for middle layer character, Mickey Mouse character hair decoration for amusement, necklace and wrinkle decoration for exaggeration, bag and corsage for imitation, played the roles of clearly imprinting what characteristics presenter tried to express. It was known that such uses of appropriate accessories gave accents and changes to dress, and played very important roles as coordinators freely presenting and determining images of fashion. Eighth, for nine image presentations with individualities, 3 foreign models matching the images were cast, and they presented appropriate poses for the images. Thus, it was known that when worn by models, communication of clothes’ images can differ according to individualities of wearers. As we can see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focused onto the fact that Kitsch has become an important position as a fashion code in mass society, and presented fashion styling photos by reinterpret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Kitsch fashion into Kitsch image with Couture sense freed from existing vulgar and popular Kitsch images that seems more like influenced by high culture. Thus,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studies on new image expression in fashion styling field that is not yet established of firm theoretical system are to be achieved multilaterally.;현대 패션은 대량생산에 의한 획일적인 패션에서 점차 토털 코디네이션 지향으로의 이행으로 성격이 변화되고 있으며, 현대인들은 새로운 이미지 창출을 패션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며, ‘무엇을 입을까‘보다는 ’어떻게 입을까‘라는 방향으로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남들과 다른 감각과 개성 있는 패션 연출을 하는 것에 큰 가치와 의미를 두고 있는 것이다. 자기표현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 21세기의 의복은 단순히 신체를 보호하거나 가리는 기능을 넘어선 차별화된 이미지를 연출 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역할을 하며 인간의 사회적 상호관계의 징표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패션스타일링은 점차 패션의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디지털 시대, 대중소비 문화의 시대, 개성이 중요시되는 시대에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더욱더 새롭고 실험적이며 전위적인 스타일을 원하고 추구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남들과 다른 개성으로 항상 주목받고 싶어 하고자 하는 욕구가 늘면서 높은 아이디어 집약적 상품으로 가치가 있고, 개성적인 성격이 짙은 키치의 개념이 대중사회에서 하나의 패션 코드로서 중요한 위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키치’라는 개념은 대중 속에 뿌리박은 하나의 예술 분야로 영역이 확대되어 가고 있고, ‘하이패션’의 영역에서도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하이패션’ 브랜드에서는 키치의 저속하고 천박한 요소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놓고 표현 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멋지고 값비싼 장식품으로, 때로는 유희적 감성을 유발하는 유머러스한 요소로 표출하며, 고급스러운 브랜드의 이미지를 유지하는 선에서 자유롭게 차용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키치가 저급문화 뿐 아니라 고급문화 전반으로 자연스레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패션스타일링 이미지를 창의적 해석을 바탕으로 학문적인 시각에서 접근하고 혁신적으로 디자인하여 새로운 키치의 이미지로 연출함에 목적이 있다. 기존의 저속한 키치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고급문화와 접목된 꾸띄르적 감성의 키치 이미지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연출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효과적 이미지 연출을 위해 아이템, 컬러, 소재, 액세서리, 헤어 및 메이크업, 모델 등의 스타일링 요소들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9점의 패션스타일링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스타일링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종래의 패션과 다른 새로운 착장법을 제안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소비를 유도할 수 있으며, 광고·홍보분야, 패션 매거진 출판 분야, 패션쇼 및 이벤트 분야, 방송·연예분야 등 패션 이미지 연출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인 스타일리스트의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고, 패션 스타일링의 궁극적인 목표인 효과적인 이미지 창출을 위해서 다양한 연출 요소들의 적절한 배합과 그 사회가 갖고 있는 상징적인 의미와 미적 특성이 잘 조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키치 개념은 ‘고급문화를 모방하며 천박한 복제품을 위해 사물을 무차별적으로 사용하는 위조된 거짓감각의 저속한 대중적 취향’이라는 소극적 부정적의미로부터 이러한 취향을 ‘적극적 긍정적으로 수행하며 산업사회의 소비문화를 수용하는 대중들의 삶의 태도를 표현하는 특정 철학적 미학적 범주’라는 광범위한 영역에 속한 개념으로 파악될 수 있었다. 셋째, 키치의 특성에는 수집열로 나타나는 누적과, 과도한 장식, 과잉적 이미지로의특성, 배열과 착장의 오류의 특성, 모방이나 위조, 모조의 특성, 휴식과 유희적 즐거움을 제공하는 특성, 쾌락주의로부터 시작되는 관능의 성적유희의 특성, 문화의 요소를 끌어 모아 패치워크 시키는 중층적 특성을 갖고, 이는 곧, 장식과잉 누적의 요소, 부적절성, 자기기만 모조성, 유희성, 선정성, 중층성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넷째, 키치의 6가지 특성을 토대로 패션에 나타나는 사례의 연구들을 통해 과장성, 부적절성, 모조성, 유희성, 선정성, 중층성의 미적 특성으로 분류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현대 패션 컬렉션을 분석해본 결과, 키치의 이미지와 특성을 모티브로 한 스타일이 하이패션, 오뜨꾸띄르 컬렉션에서 많이 보여 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속하고 통속적인 키치의 이미지에서 정제되고 꾸띄르적 감성을 실은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변형되어 표출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었다. 여섯째, 키치패션의 6가지 미적 특성인 과장성, 부적절성, 모조성, 유희성, 선정성, 중층성을 꾸띄르적인 감성으로 디자인된 의상의 효과적인 연출을 위해 블랙컬러를 주조색으로 선정하고, 디자인 특징마다 비비드한 컬러로 배색감을 넣어 주었고, 디테일은 최대한 절제시키고 벨벳, 새틴, 수직실크, 울, 실크 쉬폰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심플한 라인의 실루엣으로 제작하였다. 이에 따라 고급스럽고 정제된 이미지 연출을 극대화 시켜 줄 수 있었다. 일곱째, 조형적 디자인의 특성에 따라 헤어와 메이크업을 각각 다르게 연출하여 다양성을 부각시켜 주었고, 피부톤은 페일톤(Pale)으로 통일 시켜주어 색감을 최대한 절제해 주었다. 이에 따라 아이 메이크업으로 표현한 액센트 컬러배색을 더욱 강조하는 효과를 얻게 되었으며, 패션 스타일링은 헤어 메이크업의 의도적 연출에 따라 이미지가 현저히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덟째, 중층성에 쓰여진 가채장식, 유희성의 미키마우스 캐릭터 헤어 장식, 과장성에 표현된 목걸이와 주름장식, 모조성의 가방과 코사지 등의 사용으로 연출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특성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각인시켜 줄 수 있었다. 이처럼 적절한 액세서리의 사용은 옷차림에 악센트와 변화를 주고 패션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연출하고 결정하는 조정자로서 매우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홉째, 9장의 개성 있는 이미지 연출을 위해 이미지에 맞는 외국인 모델 3명을 캐스팅 하여 주었고 적절한 포즈를 연출해 주었다. 이로써 모델에게 입혀졌을 때 착용자의 개성에 따라 의복의 이미지 전달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는 키치가 개성이 중시되는 현대패션에 있어서 하나의 패션 코드로 중요한 위치로 자리매김하는 것에 주목하여 키치패션의 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기존의 저속하고 통속적인 키치 이미지에서 탈피해 꾸띄르적 감성으로 재해석하고 과장성, 부적절성, 모조성, 유희성, 선정성, 중층성 등의 6개의 특성이 강조된 9점의 패션 스타일링 연출사진을 제시하였다. 아직 확고한 이론적 체계가 잡히지 않은 패션 스타일링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이미지 표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