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reator이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69-
dc.description.abstractWith recent increases in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are interested in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here is a need to further develop Korean textbooks and curriculum for the study of academic Korean. Academic students have to develop the skill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In particular, academic learners frequently use academic reading skills when writing assignments and when preparing for examinations.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need to develop competence in skimming, scanning and critical read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ading activities in advanced Korean textbook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se activities are suitable for academic reading. With reference to Jensen(1986)'s academic reading activities, and the reading activities in Hood et al.(1996) and Graves et al.(1994), reading activities designed for academic purposes we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These types were then used in the analysis of advanced Korean textbooks. The analysis showed that many pre-reading activities were readings that related to learners' lives and to activating background knowledge. Among post-reading activities, most activities were based on scanning, questions, and discussion. The reason these activities were frequently used is that they help in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In advanced Korean textbooks, during-reading activities were seldom used, as the purpose of while-reading activities is to concentrate on reading the text. Following the analysis of textbooks, five Korean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teachers indicated that they used activities which related to learners' lives and which activated background knowledge in pre-reading; oral reading activities in while-reading; and questioning and scanning activities in post-reading. The teachers also saw no difference between general purpose reading activities and academic purpose reading activities. This study showed that although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have academic reading activities, they lack critical reading activities which are important to the student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here are two limitations to this study. Firstly, only a small number of reading textbooks were analyzed. Secondly, reading activities are very closely related to text types, and this relationship needs to be researched.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ly on reading activ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assist other researchers i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ctivities and text types, and in the analysis of the needs of Korean teachers when using reading activities for academic purposes.;최근 한국으로 유학 오는 유학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수업이나 교재 개발이 시급하다. 학문 목적 학습자는 학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말하기, 듣기, 읽기 및 쓰기 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 중에서 학문적 읽기는 과제를 작성하거나 시험을 준비하는 등 학업을 하는 데 있어 자주 사용하는 언어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학문 목적 학습자는 텍스트를 빨리 훑어 읽고 중심 내용 파악하기나 텍스트를 비평적으로 읽기 등의 활동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급 단계 읽기 교재의 활동을 분석하여 그 활동 유형이 학문 목적 읽기 활동 유형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ensen(1986)이 제시한 읽기 활동과 Hood 외 2인(1996)과 Graves 외 2인(1994)의 읽기 활동을 참조하여 학문 목적 읽기 활동 유형을 추출한 후, 이를 사용하여 고급 단계 읽기 교재를 분석하였다. 10권의 교재를 분석한 결과, 읽기 전 활동으로는 텍스트와 관련하여 학습자의 생각이나 의견, 경험 등을 나누는 활동이 가장 많았다. 읽은 후 활동에서는 독해 질문에 답하는 활동, 즉 텍스트 안에서 특정 정보를 찾는 활동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텍스트 읽고 텍스트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활동이 많았다. 이러한 활동이 주로 사용된 이유는 읽기의 목적이 텍스트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에 텍스트를 읽기 전에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이끌어 내기 위한 활동을 주로 실시하고, 읽은 후에는 텍스트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활동을 주로 실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읽기 본 활동은 일부 교재를 제외하고는 텍스트에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는 읽기 본 활동은 텍스트를 집중해서 읽는 것이 목적이기에 별다른 제시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교재 분석 후, 분석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읽기 활동에 대한 간단한 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결과, 한국어 교사들은 읽기 전 단계에서는 텍스트와 관련한 경험을 나누는 활동을, 읽기 본 단계에서는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읽은 후 단계에서는 텍스트 내용 파악 활동(독해 질문에 답하기)을 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사들은 학문 목적 읽기 활동으로 읽기 전 단계에서는 텍스트 내용과 관련하여 경험 나누기와 어휘 학습하기를, 읽기 본 단계에서는 중심 생각에 밑줄 긋기 활동을, 읽은 후 단계에서는 훑어 읽기와 특정 정보 찾아 읽기 활동을 필요한 활동으로 선택하였다. 즉, 한국어 교사들은 일반 목적 읽기 활동과 학문 목적 읽기 활동에 큰 차이를 두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읽기 활동을 추출하여 고급 단계 읽기 교재의 읽기 활동을 분석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고급 단계 읽기 교재의 읽기 활동은 학문 목적 학습자에게 필요한 읽기 활동을 대체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가장 필요한 활동인 ‘비평적 읽기’ 활동이 많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교재의 수가 많은 편이 아니어서 분석 결과를 전체 한국어 교재 결과로 확장하기에 약간의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읽기 활동 유형은 읽기 텍스트 유형과도 연관이 있기에 텍스트 유형과 연계해서 읽기 활동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읽기 활동만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앞으로 학문 목적 읽기와 관련한 연구 중에서 텍스트 유형과 그에 효과적인 읽기 활동 유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또한 후속 연구로 학문 목적 읽기 활동에 대한 한국어 교사들의 요구조사도 실시되길 기대해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4 Ⅱ. 이론적 배경 = 8 A. 읽기 개념 = 8 B. 읽기 전략 = 9 C. 읽기 활동 = 11 1. 읽기 전 단계 = 13 2. 읽기 본 단계 = 15 3. 읽은 후 단계 = 17 D. 학문 목적 읽기 활동 유형 = 19 Ⅲ. 연구 방법 = 28 A. 연구 자료 = 28 B. 연구 절차 = 29 C. 분석 방법 = 30 1. 평정자 = 30 2. 평정자 훈련 및 평정자 신뢰도 = 30 3. 평정자 면담 및 토의 = 32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 37 A. 한국어 교재에 사용된 읽기 활동 유형 = 37 B. 읽기 전 활동 유형 = 39 C. 읽기 본 활동 유형 = 43 D. 읽은 후 활동 유형 = 44 E. 한국어 교사 면접 결과 = 51 Ⅴ. 결론 및 제언 = 56 A. 연구의 결론 및 의의 = 56 B. 연구의 제한점 = 57 C.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58 D. 학문 목적 읽기 교재 개발을 위한 시사점 = 59 참고문헌 = 61 부록 = 65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05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에 사용된 읽기 활동 유형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학문 목적 읽기 활동 유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Reading Activities in Advanced Korean Textbooks-
dc.creator.othernameLee, Eun Ju-
dc.format.pageix,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