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금-
dc.creator김성금-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7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학위 과정이 한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전문성을 기르기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한국어 교사 양성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효과적인 교사 양성을 위한 이론적 검토 외에 교육 현장의 요구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해 한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전문성의 내용을 알아보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학위 과정의 교육과정 구성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설문 조사의 대상과 방법을 설명하였다. 설문의 대상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거나 현재 재학 중인 한국어 교사이다. 설문의 내용은 교육과정을 통한 전문성 신장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점에 관한 것으로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여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설문 응답 결과를 제시하고 해석하였다. 응답 결과는 재학생과 졸업생으로 분류하여 현행 교육과정이 이전에 비해 개선되었는지 알아보았고 학부 전공별로 분류하여 학문적 배경에 따른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고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은 학부 전공 분야에 따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선수 학습 차이로 인한 어려움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재학생의 인식이 졸업생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나 현행 교육과정이 이전에 비해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학과 언어학의 교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문화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길러 주기 위해 한국 문화 교육에 관심을 갖고 한국어 교육 현장을 고려한 다양한 교과목을 개설하여야 한다. 실제적인 교수 능력 배양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가 높은 만큼 현장 경험이 풍부한 교수진을 확보하고 한국어 교육 현장과 연계된 실제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교육과정을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양성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육실습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실습 기회 확대와 실습 환경의 개선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 연구의 결과가 교육과정 개선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확대된 한국어 교육 현장과 다양해진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한국어 교사 양성 교육의 발전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기를 기대한다.;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verify whether the graduate courses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re appropriate to develop the teaching expertise requir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Al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raw material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courses. Chapter Ⅰ took a close look at the previous studies and explained the necessity of the field survey on needs for teacher training on top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eacher training which had been carried out until recently. Chapter Ⅱ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eachers’ expertise and requirements which Korean teachers should prepare for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looked into the construction on the course curriculum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Chapter Ⅲ explained the method and subjects of the survey. Respondents were Korean teachers who already graduated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presently majoring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questionnaires contain requirements of expertis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on the curriculum in the graduate school and survey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a chi?square test to examine the teachers' needs. Chapter Ⅳ interpreted the results from survey responses. They are divided into both the graduated and the current graduate students and identified whether the present curriculums of teacher education courses have been improving in comparison to the past. Also, the respondents' perception across their academic discipline at their undergraduate university was examined if academic majors mad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pter Ⅴ the conclusions were discussed. It was found that Korea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curriculum of a teacher education course statistically didn’t vary across their undergraduate majors. The graduate students felt more positively about the curriculum than the graduated and an explanation could be that the present curriculums for teacher education courses have been improving and are more satisfying compared to the past. To make teacher training courses better, most respondents felt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more focused on the education of 'Korean linguistics' and 'Linguistic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real education fields beyond theories, and also the fully experienced faculties are highly required to meet future Korean teachers' needs on the improvement of authentic teaching methodology. In addition, courses need to be designed to develop the expertise on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thus the range of authentic subjects about the culture should be opened in the course. Finally, it is essential to enlarge and refine ‘the practical training’ which plays a critical role to enhance teaching skills in teacher education. Graduate schools need to keep striving to improve the curriculums of teacher education courses to better educate Korean teachers who can meet the variety of learners' needs and adapt to the extended Korean education fiel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incorporated into developing the curriculu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4 Ⅱ. 이론적 배경 = 9 A.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 9 B. 한국어 교사 양성 교육 = 18 C. 한국어 교사 양성 교육과정 = 25 Ⅲ. 연구방법 = 35 A. 예비 조사 = 35 1. 교사 선발 담당자의 전화 면접 = 35 2. 교사 면접과 개방형 설문 = 36 B. 본 조사 = 41 1. 연구 대상 = 41 2. 조사 도구 = 42 3. 연구 절차 = 44 4. 자료 분석 = 4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45 A. 교육과정을 통한 한국어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 = 45 B.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 52 Ⅴ. 결론 및 제언 = 67 A. 결론 = 67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1 부록 = 76 ABSTRACTS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96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사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석사학위 과정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Korean Teachers' Views on the Curriculum of a Teacher Education Course for the Graduate School-
dc.creator.othernameKim, Sung Keum-
dc.format.pagex,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