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순란-
dc.creator김순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45-
dc.description.abstract연구목적 : 폐구균 예방접종과 관련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예방접종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포함한 질적 간호 및 폐구균 접종률을 향상시킴으로써 영ㆍ유아 질병 예방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7년 10월 1일부터 10월 26일까지 서울시내 병원, 보건소, 유치원, 놀이방, 어린이집 등을 방문하여 2개월에서 60개월의 자녀를 둔 부모 325명을 대상으로 36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 version 15.0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처리는 Factor Analysis, Chi-squar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 1. 대상 아동은 남아가 53.2%, 형제가 2명 이상인 경우는 60.9%이였으며 평균연령은 32.8개월, 부모가 맞벌이인 경우는 38.2%이었다. 2. 영ㆍ유아의 예방접종 장소는 개인의원이 51.1%로 가장 많았고, 보건소가 26.8%이었다. 예방접종 수첩은 81.5%가 꼭 가지고 가고, 99.1%가 계속 보관하고 있었다. 반드시 접종을 받아야 하는 기본 예방접종에 대해 90% 이상이 ‘그렇다’고 응답한 반면에 폐구균은 43.1%가 접종 받아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폐구균 접종률은 44.3%이었고, 생후 23개월 이전에 접종한 경우가 44.6% 이었다. 23개월 이전에 접종을 못한 이유는 33.8%가 ‘몰라서’였으며, 접종을 하지 않은 이유에도 23.4%가 ‘몰라서’라고 응답하였다. 폐구균 예방접종에 대한 정보는 55.4%가 의료인으로부터, 18.5%가 육아수첩을 통해서 얻었다. 폐구균 예방접종률 증가를 위해서는 ‘백신의 유용성에 대한 정보를 얻으면’이 50.8%로 가장 높았다. 3. 폐구균 예방접종에 대한 부모의 인식정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46±0.86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부모의 인식정도는 ‘백신에 대한 필요성 요인’과 ‘질병 위험성 요인’ 이 높았다. 4. 부모의 특성에 따른 예방접종 실태와 폐구균 접종에 대한 부모의 인식정도에 차이는 소득수준과 부모의 학력에 따라 접종장소에 차이( P < .01 )가 있었다. 또한 자녀수, 소득수준, 부모학력, 부모의 맞벌이 유무와 폐구균 접종률 간에 관련성( P < .05 )이 있었다. 부모의 인식정도에서는 자녀수, 소득수준,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 P < .05 )가 있었다. 5. 폐구균 예방접종에 대한 부모의 인식정도와 접종률과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 결론 :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면 아동들의 예방접종에 대한 기본 접종률은 비교적 높았으나 선택 접종인 폐구균 접종률은 아직 낮고 정보도 미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들의 예방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들의 백신 접종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간호사는 영·유아 감염성 질병예방에 관심을 갖고 교육과 상담의 다양한 중재를 통해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disease prevention in young children by identifying problems related to pneumococcus vaccination, providing correct information on vaccination by nurses and enhancing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Method: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a questionnaire composed of 36 questions. Study participants were 325 parents with 2~60?month?old children. Data collections were conducted in hospitals, health centers,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during the period from the 1st to 26th of October, 2007.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actor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5.0. Results: 1. Of the subject children, 53.2% were boys and 60.9% had two or more siblings. Their mean age was 32.8 months, and 38.2% of the parents were double?income couples. 2. The most common place of vaccinations for the children was private clinic (51.1%) and, next, health care center (26.8%). In addition, 81.5% carried the inoculation card when they went to have vaccination, and 99.1% kept the card continuously. As to basic vaccination required for children, 90% replied ‘Yes’ but only 43.1% replied ‘Yes’ to the necessity of vaccination for pneumococcus.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was 44.3%, and 44.6% had the inoculation before 23 months from birth. The most common reason for being unable to have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before 23 months was ‘Because I did not know about it’ (33.8%), and the reason for not having the vaccination was also ‘Because I did not know about it’ (23.4%). Information on vaccination for pneumococcus was obtained from health care providers (55.4%) or from the handbook for child-care (18.5%). As to how to increase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50.8% mentioned ‘If information on the usefulness of the vaccination is provided.’ 3. The mean score of parents’ perception of vaccination for pneumococcus was 3.46±0.86 out of 5. By factor, the score of parents’ perception was high for ‘the necessity of the vaccination’ and ‘the risk of the disease.’ 4. As to differences in the current state of vaccination and parents’ perception of pneumococcus vaccination according to parents’ characteristics, the place of vaccination was different in terms of income level and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P<.01). In addition,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wa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children, income level,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whether the couple worked together (P<.05). Parents’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income level and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P<.05). 5.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arents’ perception of vaccination for pneumococcus and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P=.000).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basic vaccination rate for children was relatively high, but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which is optional, was still low and relevant information was also not suffici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parents’ perception of vaccination for pneumococcus to enhance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among children. In addition, nurses need to pay attention to infectious diseases among children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children’s healthy grow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 정의 = 4 II. 문헌고찰 = 6 A. 아동기 폐구균 감염 = 6 1. 폐구균 = 6 2. 폐구균에 의한 임상질환 = 7 B. 예방접종 = 10 1. 폐구균 예방접종 = 11 2.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의 효과 및 안전성 = 13 III. 연구 방법 = 17 A. 연구 설계 = 17 B. 연구 대상자 = 17 C. 자료수집 방법 = 17 D. 연구 도구 = 19 E. 자료분석 방법 = 20 F. 윤리적 고려 = 21 G. 연구의 제한점 = 21 IV. 연구결과 및 논의 = 22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2 B. 대상 아동의 예방접종 실태 = 24 C. 대상 부모의 폐구균 예방접종에 대한 인식도 = 33 D.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예방접종실태 및 부모의 인식도 = 35 E. 부모의 폐구균 예방접종에 대한 인식도와 접종률과의 관계 = 38 V. 결론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43 부록 = 50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39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아동의 폐구균 예방접종 실태 및 부모의 인식정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neumococcal vaccination in children and parent,s perception-
dc.creator.othernameKim, Soon Ran-
dc.format.pagevii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