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목원-
dc.creator백목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18-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ims to present how to teach poetry creative writ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hus, this paper suggests making practical use of the words for poetry creative writing by destroying their everyday meaning focusing on polysemy, idioms, Sino-Korean. In terms of polysemy, we can achieve ambiguity, implication and polysemy using multisense words for a certain situation aside from their daily use. This requires semantic extension which extends from main meaning to extra meaning, while for idioms and Sino-Korean; we can break from customary meaning of words by restoring words which are not used anymore. The methods to examine this paper are: First of all, looking at the 7th curriculum and Korean textbooks, we find out how creative writings are emphasized and reflected in the Korean textbooks. In this process, we can examine critically whether learning activities are properly suggested for students’ creative writings. And then survey among teachers and students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w schools actually provide the education of poetry creative writing. And also this study analyses poems crea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educated with Korean textbooks following this curriculum. This aims to find out how properly the education of poetry creative writings is accomplished by examining originality and metaphor of the ideas of those poems. And then we look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before the methods of poetry creative writings. In the Chapter 3, theoretical background explains the concept of metaphor which is a basis of a creation of poetry. We understand that metaphor is not just a conventional rhetoric which embellishes sentences but connected to peoples’ ability to think. Furthermore metaphor helps us to create poetry from customary use of words. Also this chapter demonstrates how semantic extension of multisense words and returning to origins of idioms and Sino-Korean help poetry creative writings with some existing poems. In the chapter 4, this paper provides teaching-learning model for poetry creative writing with practical use of meaning of vocabulary: these are Doing Motivation - Doing Idea - Doing Conception - Doing Expression - Doing Internalization. Following this process, this study applied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the poetry creative writing by semantic extension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ir poetry creative writings. With this process, learners can achieve five effects: Firstly, those who begin poetry creative writing can approach writing easily using metaphor which can be used in our everyday lives. Language for everyday life and literature share the same vocabulary and this is supported by the curriculum. We can reduce the cognitive burden relating to the grammar and aim at the integrated Korean education. It helps the accepting poetries. Lastly we can change the way of looking at the world and finally achieve the ultimate objects of education.;본고는 현장 중, 고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 창작 교수학습방법론을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그 방법론으로서 어휘의 의미를 활용하여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일상어인 다의어, 관용어, 한자어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일상성을 깨어버림으로써 시 창작의 가능성을 마련한다. 다의어의 경우 언중들이 쓰는 다의어를 한 상황에서 씀으로써 시의 애매성, 함축성, 다의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런 다의어는 중심의미에서 주변의미로 확장해가는 확장의 방식이 쓰이는 반면, 관용어와 한자어의 경우는 관습적 의미가 아닌 퇴색한 어원적 의미를 찾아감으로써 관습적인 의미를 탈피할 수 있다. 이와같이 크게 의미의 확장 방식과 의미의 어원으로의 회귀 방식 두 방법을 중심으로 시 창작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진행한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Ⅱ장에서는 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살펴보면서 교육과정 상에서 창작이 얼마나 강조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이런 창작이 교과서 내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를 파악하였다. 교육과정 상에서의 창작에 대한 강조가 실제 교과서에서 제대로 반영되어있는지를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실제 창작의 길에 들어설 수 있게 학습 활동이 제시되어있는지를 비판적으로 생각해 보았다. 그 이후 학교 현장에서는 시 창작 교육이 어떻게 이루지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교사의 설문조사와 학생의 설문조사가 이어졌다. 그리고 이런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로 수업을 받고 있는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지은 창작시를 분석함으로써 시 창작이 의도대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시의 발상차원의 참신성과 은유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현장 학교에서는 창작 교육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고, 학생들의 시 창작 실력은 어느 정도인지 그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이후 본고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시 창작의 방법론으로 들어가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살핀다. Ⅲ장 이론적 배경 부분에서는 창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은유의 개념을 설명한다. 은유가 단순히 말을 꾸미는 전통적인 수사학이 아니라 인간의 사고와 연관되고 있음을 밝히고, 이런 은유가 일상적으로 쓰이는 관습화되어 있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시 창작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바로 다의어의 의미 확장 방식과 관용어와 한자어의 의미의 회기 방식이 어떻게 시 창작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 기존 시인의 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다음 Ⅳ장에서는 실제로 어휘의 의미 활용을 통한 시 창작 교수학습방법연구에 대한 교수학습모형을 설계하였다. 바로 동기화하기-발상하기-구상하기-표현하기-내면화하기인데, 이 과정을 기본으로 하여 Ⅴ장에서는 시 창작을 통한 의미 확장의 이해에 대한 교수학습 모형을 실제 중학교 3학년 학생에게 적용하고 창작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학습자는 다음의 다섯 면에 있어서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이는 본고의 의의이기도 하다. 첫째, 일상 언어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은유를 활용하여 창작의 초보인 학습자가 쉽게 창작 방법을 익히게 하여 시 창작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일상 언어와 문학 언어가 기본적으로 같은 언어를 공유하고 있고, 이는 교육과정에서도 지지하고 있다. 셋째, 문법과 연계하여 인지적 부담감을 줄이고, 통합적 국어교육을 지향할 수 있다. 넷째, 시의 수용에도 도움을 준다. 다섯째, 세상을 보는 방법의 전환을 이루어, 결국 교육이 가진 궁극적 목표를 살릴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선행연구검토 = 1 B. 연구의 방법 및 연구 범위 = 8 Ⅱ. 국어과 교육과정과 시 창작 교육 = 11 A.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시 창작 교육 = 11 B. 공통교육과정「국어」교과서에서의 시 창작 교육 = 16 C. 시 창작 교육의 현장성 = 20 Ⅲ. 시 창작 교수학습 방법과 어휘의 사용법 = 31 A. 관습적 은유의 사용 = 31 B. 관습적 은유의 해체를 통한 의미 활용 = 35 C. 어휘 활용을 통한 시 창작 교육의 의의 = 61 Ⅳ. 어휘의 의미 활용을 통한 시 창작 교수학습모형 = 65 A. 시 창작 교수학습의 원리 = 65 B. 시 창작 교수학습 모형 = 67 C. 시 창작 교수학습 과정 = 74 Ⅴ. 어휘의 의미 활용을 통한 시 창작 교수학습모형의 적용 = 77 A. 교수학습 계획안 = 77 B. 학생 작품 해석 및 결과 분석 = 87 C. 설문조사 및 결과 = 100 Ⅵ. 결론 = 105 참고문헌 = 108 부록 = 112 ABSTRACT =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74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어휘의 의미 활용을 통한 시 창작 교수학습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poetry creative writing : turning the vocabulary meaning to account-
dc.creator.othernameBaek, Mok Won-
dc.format.pageviii,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