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공무원 교육훈련의 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Title
공무원 교육훈련의 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Other Titles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raining Transfer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in Public Sectors : Focused on the case of Fire Fighters
Authors
황은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공공부문은 급격한 변화와 경쟁의 심화 등의 행정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격변하는 행정환경은 조직 내 인적자원의 자질 및 능력에 있어서 끊임없는 변화와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부문은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인적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훈련의 목적은 참가자들이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해 필요한 새로운 지식, 기술, 능력 등을 학습하여 실제 직무에서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훈련 참가자가 교육훈련에서 학습한 지식, 기술 등을 자신의 업무에 적용하고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러한 과정을 교육훈련의 전이라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 설계요인인 교육훈련 내용, 강사의 자질, 교육훈련 의 유형과 교육훈련 전이간의 직접적 관계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육훈련의 성공적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교육훈련의 성공적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와 더불어 조직 상황적 특성이 교육훈련 전이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교육훈련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비교하여 가설을 수림한 후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리고 28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그러나 연구자의 판단으로 연구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설문지 33부를 제외하고, 255부의 설문지만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훈련 참가자의 교육훈련 학습기대와 교육훈련 전이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훈련 전 혹은 교육훈련 도중에 교육훈련 참가자의 학습기대가 높을수록 교육훈련 후 학습내용의 현업에서의 적용성과가 높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이다. 교육훈련 참가자의 학습기대는 단기적인 교육훈련 유효성 증가뿐만 아니라, 전이라는 장기적인 교육훈련 유효성 증가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학습동기와 교육훈련 전이와의 관계는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동기와 교육훈련 전이 간에는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높은 학습동기를 가진 참가자는 학습성과는 높게 나타날 수 있으나 전이로는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훈련 내용과 교육훈련 전이간의 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 내용을 교육훈련의 업무관련성으로 파악하였기 때문에 교육훈련 참가자가 교육훈련 내용의 업무관련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교육훈련 참가자의 현업에서 교육훈련 전이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훈련 전이와 동료의 지원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의 지원 역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료 및 조직의 지원이 높을수록 교육훈련 전이에는 직접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정책적 시사점은 독립변수 중에서 교육훈련 내용의 설명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설계과정에서 현장의 직무를 파악하고 참가자의 욕구를 분석한 후에 교육내용을 충실히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교육훈련의 유효성인 전이가 활발하게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연구의 제약상 교육훈련이 끝난 시점에서 사후측정에 의존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설계상의 한계점이 있다. 교육훈련 효과의 측정에 가장 적합한 통계 분석방법은 사전-사후분석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 전이정도를 교육훈련 참가자의 자기보고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처럼 특정 교육프로그램이 끝난 직후가 아니라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몇 개월 후에 측정하였을 경우, 교육훈련 참가자의 기억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응답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These days public sectors are experiencing keen competition in the global market and are learning that the human resource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So interest of training in organizations increases sharply. The purpose of training is to help employees develop their skills and attitudes which will enhance their job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design components(training contents, types of training, competence of an instructor), trainee characteristics(motivation to learning, expectation to learning, job specificity, trainee individual specific property)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senior & colleagues applicant, organizational applicant) and transfer of training. In this study, there are twelve hypothes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tested by the data from questionnaires. The sample were consisted 288. Actually 255 samples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samples.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SPSS 12.0 vers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5%.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i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 to learning and transfer of training.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to learning, job specificity, trainee individual specific property and transfer of training is not significa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contents and transfer of train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train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o.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of an instructor and transfer of training is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training contents are more related job and the transfer of training is getting higher. Third, it i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lleagues & organizational applicant and transfer of training.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nior applicant and transfer of training is not significant.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