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3 Download: 0

女軍將校 및 女軍下士官의 職務스트레스와 職務滿足에 관한 실증적 연구

Title
女軍將校 및 女軍下士官의 職務스트레스와 職務滿足에 관한 실증적 연구
Authors
孔京椿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정보과학대학원 행정정보학전공
Keywords
여군장교여군하사관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way of making efficient use of the increasing women powers in the military and furthur to contribute to the progress of the armed forces by analizing the stress and the job satisfaction which could be brought into the women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in such a special organization as the military The main methodes of the study were investigation of documents and demonstrative research. The investigation of documents was carried out by setting up a matrix and a hypothesis and malting a pratical analysis through the existing theories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proceding research works. This thesis consists of four chapters. The first chapter contains the purpose, the methoes and the ranse of the study to show its system of constitution. The second chapter forms the theorical backgrounds by narrating the charateristic of the army,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creasing women soldiers and the theories o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third chapter analyzises the results in the basis of the research data and varifies the hypothesis. The fourth chapter sums up the research and suggests its limits, desirable direction after th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role conflict and work overload of women soldiers increase in proportion to job stress but in inverse ratio to job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the role variable shows the proportional regression to the job stress confirms that the role variable is the causal relation of the job stress as one of the dependent variable as well as the simple correlation in the relation of each variable with the job satisfaction, the role conflict shows the invere proportional regression to the job satisfaction, to the contrary the proportionasl regression to the job diversity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inverse regression, shows the causal relation that the role variable and job variable are the main variables of the job stress which is the main variable of the job satisfaction. Therefore to decrease the role conflict and the job stress as less as possible and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the present policy needs to change, train the women soldiers as specialists. After picking out the well-qualified applicants, use them contensively in those proffesional fields such as in computer, languages, communication, etc,. The limits of this study; First, the relatively low ranks of the most respondent could not make any diffrences for all variables. Secondly, the subjective response to the questions, the only way of method for the varification, could have an influence up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rdly, the latitutional study brought about the lack of clarification of the causal relation among each variable. Forthly, the standarized research was made without the consideration that the role and expection of the women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could be different. Therefore to made up for those limits of this study first, more diverse variables, not only the role variable and job quality variable but also the factors of groups, organizations and circumstances, should be considered. Secondly, different polices for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reed to be formed by the respective research of the two groups. Thirdly, the specipic plans need to be presented to highten up the job satisfaction of the women soldiers and lead them to work more actively through the pararelled research of male soldiers.;본 연구의 목적은 군이라는 특수한 조직체속에서 생활하는 여군장교 및 여군하사관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정도를 실증분석하여 군내에 점증하는 여성 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방법과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조사는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에 관한 기존이론과 선행 연구결과를 기록한 문헌들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정립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체계를 요약하면 제 1장에서는 서론으로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범위를 기술하였고, 제 2장에서는 군조직의 성격, 여군현황 및 증가추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제이론을 서술하여 이론적 배경을 형성하고 연구의 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제 3장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연구결과를 분석 이해하고 선정된 가설을 검증하였고, 제 4장에서는 이제까지의 연 구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 제시와 함께 연구의 한계점 및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여군장교와 여군하사관의 역할갈등및 역할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만족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희귀분석의 결과 역할관련변수는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희귀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역할관련변수가 직무스트레스와 단순 상관관계 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의 독립변수가 되는 인과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각 변수간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는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부(-)의 희귀도를 보였고, 직무다양성과 직무피드백은 모두 정(+)의 희귀도를 나타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간의 희귀분석결과 부(-)의 희귀도를 보여 이것은 역할관련변수 및 직무관련변수가 직무스트레스의 선행변수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의 선행변수가 되는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관리로서 역할에 대한 갈등을 최대한 줄여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 4년이하 초급장교 및 하사관의 경우는 현재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갈등이 많은데 이는 자발적으로 입직하여 자아 실현 및 업무수행에 대한 의지가 강한 시기에 장기복무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수자원을 군에서 계속 흡수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군을 전문인력화 하여 관리하므로서 능력 발휘의 기회 및 조직의 성과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의 한계로서 표본선정에 있어서 응답자의 구성원이 비교적 낮은 직위에 치우쳐 있어 모든 변수들의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다 주지 못했으며, 둘째, 연구방법상 설문지 조사에만 한정되어 주관적인 반응 태도가 조사결과를 좌우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셋째, 횡단적 연구에 그쳐 각 변수간 인과관계의 명확성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또한 장교 및 하사관의 역할과 기대가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구분없이 조사분석한 한계가 있다. 앞으로 이와 유사한 연구에서 발전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의 다양화, 즉 역할관련변수와 직무특성변수만이 아닌 집단요인, 조직요인, 환경요인등 전반적인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장교와 하사관을 구분 연구하여 집단간 비교분석을 통해 세부적인 대응책이 모색될 수 있다. 셋째, 객관성 있게 비교할 남군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 변수별 남군의 지각정도와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여군들의 직무만족을 제고시키고 적극적으로 군생활에 참여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행정정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