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원-
dc.contributor.author김미순-
dc.creator김미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1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7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94-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1) to assess the scientific literacy of 8^(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 (2) to describe patterns of scientific literacy with respect to sexuality, preference for science subject and desired occupation. Current test method for assessing 8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ed literature were recomposed for questionnaire. This was based on the American national scientific basis NSES and 7th educational curriculum of 8th grade science subject, which consists of 3 sub-test of 3 dimensional test by Miller.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11 male students and 181 fe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got 32.13 points out of 4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literacy, scientific knowledgeand the effec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society ; but they showed lower understanding in the course of physics and chemistry than biology, health, the earth and the universe. 2. Average scores of scientific literacy were 31.66 in male students and 32.68 in female students, which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3 sub-areas of scientific literacy, fe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than male students which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s and chemistry, but fe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in biology, health, the earth and the universe(p<.05). 3. Students who like science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dislike it, which are statistically different(p<.01). This means students who like science are more scientifically literate. Average scor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ho like and dislike the science were 1.02 in physics and chemistry, 0.6 in biology and health, and 0.81 in the earth and the universe. 4. Students who want to get the science related job in the future had higher scores in scientific literacy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who want to get the non-science related job(p<.01). Specifically they had higher score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science subject knowledge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p<.01). They had higher scores in the effect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 society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측정하고, 성별, 과학 교과에 대한 선호도별, 장래 희망별로 과학적 소양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측정하기에 알맞은 검사지를 기존 과학적 소양 측정의 검사 도구와 과학적 소양에 관한 문헌을 중심으로 재구성 하였다. 검사지는 미국의 국가 과학 교육 기준 NSES와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 8학년 과학교과에 내용적 기초를 두며, Miller의 세 가지 차원을 검사하는 3개의 하위 검사로 이루어졌다. 총 4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문항은 T-F형식을 취하고 있다. 연구 대상은 남학생 211명, 여학생 181명이다. 본 연구의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총 45점 중 32.13점을 얻었다. 과학의 본성, 과학 내용 지식, 과학과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역별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과학 내용 지식에서 물리ㆍ화학이 생물ㆍ건강, 지구ㆍ우주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다. 2. 남녀별 과학적 소양의 평균은 남학생이 31.66점, 여학생이 32.68점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1.02점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적 소양의 3가지 영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과학 내용 지식에서 물리ㆍ화학은 유의미한 남녀 차이가 없었으나, 생물ㆍ건강, 지구ㆍ우주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 .05). 3. 과학 교과를 좋아하는 집단은 싫어하는 집단 보다 과학적 소양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p< .01). 이 결과로부터 과학 교과를 좋아하는 학생이 과학적 소양도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학 교과를 좋아하는 집단과 싫어하는 집단의 과학 내용 영역에서 평균 차이를 보면, 물리ㆍ화학 1.02점, 생물ㆍ건강 0.60점, 지구ㆍ우주 0.81점으로 물리ㆍ화학 영역에서 집단간에 더 큰 차이를 보였다. 4. 장래 희망이 과학 관련 직업인 집단은 비과학 집단 보다 과학적 소양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 .01). 영역별로는 과학의 본성, 과학 내용 지식에서 과학 관련 집단이 비과학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p< .01). 과학과 과학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과학 관련 집단의 점수가 비과학 집단 보다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 .0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과학적 소양 = 4 1. 과학적 소양과 과학적 소양인 = 4 2. 과학적 소양의 범주 = 9 B. 선행연구 = 13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6 A. 검사 도구 = 16 B. 예비검사 실시 = 20 C. 본 검사 실시 = 21 D. 검사 결과 분석 = 2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3 A.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 23 B. 성별에 따른 과학적 소양의 차이 = 26 C. 과학 교과 선호도에 따른 과학적 소양의 차이 = 30 D. 장래 희망 직업에 따른 과학적 소양의 차이 = 34 Ⅴ. 결론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42 부록 = 45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53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측정과 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scientific literacy of 8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Kim, Mi-Soon-
dc.format.pageⅸ,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