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민-
dc.contributor.author김선화-
dc.creator김선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1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7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39-
dc.description.abstract정보화시대인 현대사회에서 학생들은 이전과 달리 많은 변화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고, 이에 발맞추어 제 7차 교육과정은 탐구력, 문제 해결력 등 학습자의 고등 사고력을 기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의 주제 속에서 탐구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거치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효과적이다. 즉, 단순히 전달받는 지식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을 중시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구성주의에 기반을 둔 학습관으로 구성주의는 지식이 각 개인, 학습자에 의해 구성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지리교육이란 영역은 학습 대상 자체가 우리의 삶이 일어나는 공간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에 구성주의적인 수업 방법을 적용하기 좋다. 우리가 살아가는 장소가 절대적인 공간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과 의미속에서 인지되는 공간이므로, 개인의 인식 주체를 강조하는 구성주의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자신이 속한 지리적 공간내에서 이미 지리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살아가고 있는 모습은 맥락과 상황을 강조하는 구성주의와 역시 일치하는 부분이다. 또한 인간이 장소와 공간에 대해 인식하는 것은 그 사회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구성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구성주의 교육관에 바탕을 둔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구성주의와 관련된 연구는 이론적인 배경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적으로 설계된 수업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지며, 그 과정에서 과연 어떤 과정을 거쳐 지식이 구성되어져 가는가, 어떤 상호작용을 거치면서 학생들은 지식을 구성, 재구성하는가, 그런 과정을 거쳐 구성된 지식은 다시 학생들에게 어떻게 내면화 되어 가는가를 중점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기본이 되는 구성주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교육과 접목시킨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원리에 대하여 살펴보고, 구성주의와 사회과(지리)교육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이론적인 배경을 근거로 구성주의적인 지리 수업을 위한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고, 그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수업을 설계하고, 지식의 구성과정을 연구하였다. 먼저 대화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에서의 지식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쿨러닝’이란 영화를 택하여 관람한 뒤, 영화속에서 나타나는 지리적인 현상에 대하여 학생 서로간에, 학생과 교사간에 대화를 나누며 학생들이 지리적인 지식을 어떻게 구성해나가는가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대화를 거쳐 자신의 선행 지식을 확인하고, 오류를 수정하며, 새로운 지식에 대해 인지하고, 자신의 지식으로 구성해나갔다. 두 번째, 협력을 통한 지식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학생을 모둠으로 나누어 협력을 통해 풀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서로간의 협력을 통해 긍정적으로 의존하면서 상호 발전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다른 학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지식을 재구성해나갔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삶 속에서 접할 수 있는 실제적인 성격의 과제를 제시하여, 그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지식이 구성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답사라는 방법을 택하여 실제의 현장에 나가서 답사와 관찰을 하고, 이에 대하여 대화를 나누며 자신이 관찰해 온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구성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세 과정 모두에서 나타난 지식의 구성은, 수업에서만 그친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사고 속에 내면화되어 학생들의 삶 속에 녹아들고 이것이 지리적인 안목으로 성장해 나감을 이후의 심층 면접을 통해 알게 되었다. 지식의 구성이라는 부분이 양적으로 드러나기 쉬운 부분이 아니기에 그 과정을 실제로 연구한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한계이기도 하나, 기존에 이런 지식 구성 과정 자체에 대한 연구물이 대단히 적고 이론적인 연구에 그친데 비해, 이 논문은 실제로 현장에서 적용되는 구성주의 수업의 지식 구성 과정 자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두고자 한다.;Constructivism has a distinctive position on knowledge-building, as epistemological paradigm. Key concept of Constructivism is self-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the adaption in a given environment. Constructivism pays attention to the role of communication and language to engender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Constructivism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social studies(geography) instruction. Constructivism emphasizes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his/her experienc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place we live in -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of geography education - tends to change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perspective.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y education and Constructivism as one of the learning and instruction principles. In other words,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s and how do they interact with one another? How do the students construct the knowledge of geography? How do the students learn to think geographically in classes focusing on interaction by dialogue, cooperative learning, and where authentic task is given. I aimed to specifically show the whole process order. Through these classes students were able to compare their knowledge with other students as wells as find their errors. And In this research it was shown how the students reconstruct their knowledge and how they internalize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절차 = 2 C. 연구 방법 = 4 Ⅱ. 구성주의 교육의 이론적 배경 = 6 A. 구성주의 인식론 = 6 B. 구성주의의 유형 = 9 1. 급진적 구성주의 = 9 2. 사회적 구성주의 = 11 C. 구성주의 교수-학습의 원리 = 14 Ⅲ. 구성주의와 사회과(지리) 교육 = 22 A. 구성주의와 사회과(지리)교육 = 22 B. 구성주의적 지리 수업의 구성 요소 = 28 Ⅳ. 구성주의 환경에 따른 실제 수업에서의 지식구성 = 33 A. 대화를 통한 지식의 구성 = 34 B. 협력을 통한 지식의 구성 = 47 C. 실제적 과제의 제시를 통한 지식의 구성 = 56 Ⅴ. 결론 및 제언 = 64 참고문헌 = 68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37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구성주의 수업 환경에 따른 실제 수업에서의 지식 구성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a real geography classwork through the constructivist environment-
dc.creator.othernameKim, Sun Hwa-
dc.format.pageⅳ,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