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3 Download: 0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식품기호도와 성격특성간의 관계

Title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식품기호도와 성격특성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Food preference and personality trai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김진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영양학전공
Keywords
personality traitsfood preferencechildren
Publisher
梨花女子大學校 臨床保健科學大學院
Degree
Master
Advisors
金美經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식품기호도와 성격특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올바른 성격형성에 기여하는 식품기호도의 중요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조사대상은 인천지역 초등학교 6학년 아동 340명으로, 아동의 일반적 특성 및 식품기호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와 표준인성 검사지를 사용하여 성격특성 점수를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식품기호도와 성격특성간의 상관관계를 피어슨 상관계수로 알아보았고 남녀별 기호도 및 성격특성 점수, 식품군별 기호도와 성격특성점수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였다. 식품의 맛과 색에 대한 성격특성점수, 사탕류와 탄산음료의 섭취량과 성격특성점수는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으며, p값은 0.05미만 일 때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전체적인 아동의 식품기호도 점수는 남아가 여아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는 없었고, 대체적으로 과일류와 육류의 기호도가 높고, 야채류의 기호도가 낮았다. 성격특성은 사교성 점수가 가장 높았고, 정서적 안정성이 가장 낮았으며, 사교성(P<0.01)과 지배성(P<0.05)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유의적으로 성격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식품 기호도와 성격특성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초콜릿, 설탕, 사탕, 탄산음료등의 당류가 충동통제력 및 스트레스 인내력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활동성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기존중성과 콩류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적 안정성과 충동통제력은 생선류, 콩류등 단백질식품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품군별 기호도 점수와 성격특성간의 관계에서는 녹황색채소류와 과일류의 기호도점수 상위군이 하위군보다 자기존중성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담색채소류에서는 여아의 경우에서 기호도 상위군이 하위군보다 정서적 안정성과 충동통제력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유지류와 기타 양념류는 지배성에서 기호도 상위군의 성격특성점수가 하위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품의 맛에 대한 기호도는 자기존중성(P<0.05)에서, 식품의 색에 대한 기호도는 충동억제력(P<0.05)에서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사탕, 초콜릿, 탄산음료의 섭취량과 성격특성간에 관계에서는 모든 성격특성 상위군에서 유의적으로 섭취량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어 사탕류와 초콜릿 그리고 탄산음료를 적게 섭취할 때 전체적인 성격특성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대체적으로 식품에 대한 기호도 점수가 높은 아동이 성격특성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사탕류와 탄산음료는 오히려 섭취량이 적은 아동의 성격특성점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식품기호도와 성격특성간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식품의 섭취가 아동들에게 미칠 수 있는 신체적 ? 정신적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올바른 식품기호도의 확립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식품을 접하여 기호도를 바르게 확립할 수 있도록 아동과 그의 식생활을 담당하는 학부모 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식생활 지도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ood preference and personality traits. Also it was to indicate the importance of food preference for forming sound personality. In this study, subject were 340 elementary students in the 6th grade in Incheon City. Personality trait mark was measured by standardized personality test and student's general traits and food preference was used questionnaire. Function of food preference and personality trait was analyzed by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ark of preference classed by sex distinction and personality trait was measured with using Student's t-test. Additional, mark of personality trait and other factors was measured with using Chi-square test. Broadly, the male student's total mark of food preference was higher than the female's, bu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The mark of fruits and meats preference was showed high. And the mark of vegetables and oils preference was showed low. On the mark of personality trait, the male's was higher than female's. On this test, affiliation was marked the highest and emotional stability was marked the lowest. On the correlation between food preference and personality trait, chocolate, sugar, candy and carbonated soft drinks appeared to be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mpulsiveness control and stress endurance. Also, sugars appeared to be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activity. Legumes appeared to be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 confidence. Protein includes fishes and Legumes appeared to be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stability and impulsiveness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score of food group and personality trait, the score of self confidence in the high group was higher than the low group in vegetables and fruits.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and impulsiveness control score in the high group was higher than the low group in a light color vegetables includes cabbage, onion and mushroom. The score of dominance was higher than the low group in fats and seasoning. Significantly there were resulted between preference on the taste and self confidence, and there were also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on the color and impulsiveness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of candy, chocolate, carbonated soft drinks and personal trait, general personality trait marked high, when the students ate less candy, chocolate and carbonated soft drinks. In conclusion, there were correlation between food preference and personality traits. It was found that the food preference is important when eating is concerned for students in physical and mental influ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