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불어 무생물 명사 문법 성(genre)의 효과적인 교수방법

Title
불어 무생물 명사 문법 성(genre)의 효과적인 교수방법
Other Titles
Une méthode d'enseignement plus efficace sur le genre grammatical des noms non-animés
Authors
김현선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불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미
Abstract
L'apprentissage du genre grammaical des noms non-animés, plus précisément non-humains, s'avère souvent très difficile chez les apprenants coréens, non seulement chez les débutants mais aussi chez les apprenants plus avancés, qui ne connaissent pas ce type de genre dans leur langue maternelle. Cette étude a donc pour objet de savoir s'il est possible de simplifier ou d'améliorer la description du système d'attribution du genre grammatical des noms non-animés, et de chercher à expliquer les indices et les critères de discernement et de proposer une méthode d'enseignement pratique, pour aider les professeurs de français au lycée. Pour cette démarche, nous avons d'abord classé les noms non-animés présentés dans les manuels de français pour les lycées généraux et pour les lycées spéciaux en langue étrangère. Nous avons ensuite analysé ces mots sur trois plans linguistiques : phonétique, morphologique et sémantique. Nous avons enfin essayé d'y voir les critères différents pour le genre du noms. Et voici le résultat de cette étude : Premièrement, pendant que la plupart des noms ayant comme dernière syllabe[a~],[ε],[ε~],[o],[m],[a:?] sont masculins, la plupart des nomsayant comme dernière syllabe [∫],[ty:R],[εz?], [sj?], [a~:s] sont féminins. Deuxièmement, la construction du mot influence également le genre du mot : les mots dérivés de l'adjectif et terminés par un morphème té se classent parmi les féminins. Et tandis que les noms composés du type ‘verbe+nom’ sont masculins, le genre des noms composés dont la première unité est d'origine étangère dépend de la dernière unité. C'est la raison pour laquelle portefeuille et passeport sont masculins et autobus et autoécole féminins. Troisièmement, il faut aussi tenir compte des valeurs sémantiques pour l'attribution du genre. Il s'agit ici de la conception ou de l'image des locuteurs sur le mot concerné. Autrement dit, les valeurs sémantiques comme force, précision et grande taille se caractérisent comme masculins et les valeurs douceur, fragilité et petite taille se définissent comme féminins. Nous avons ensuite examiné la situation actuelle de l'enseignement du français au lycée à travers une enquête auprès des enseignants : beaucoup d'enseignants ont répondu que l'apprentissage du genre grammatical est important en classe de français. Mais la plupart d'entre eux ont de la difficulté à l'enseigner. On pourra donc donner ici quelques propositions plus efficaces pour l'enseignement/apprentissage du genre grammatical. Premièrement, il est primordial de faire reconnaître la possibilité de classer et de caractériser le genre grammatical des noms non-animés soit par les indices phonétiques, soit par les indices morphologiques, soit par les indices sémantiques. Deuxièmement, au point de vue pédagogique, nous proposons aux enseignants d'utiliser les indices mentionnés ci-dessus. Il s'agit de faire acquérir aux apprenants le genre grammatical du nom en tenant compte de ces indices. Bref, nous espérons que cette étude aide les professeurs à trouver un certain moyen d'enseignement plus précis et plus efficace sur le genre grammatical des noms non-animés.;외국어 교육에 있어 학습자가 모국어와 상이한 구조와 특성을 지닌 언어의 어휘 범주를 습득해야 하는 경우 유사한 외국어를 학습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불어 무생물 명사의 문법 성은 한국어에 없는 문법 범주로서 교수·학습상의 주요 난점들 중 하나이다. 성 구별이 없는 모국어를 가진 한국 학습자들은 임의적인 것으로 보이는 무생물 명사의 문법 성 앞에서 불어를 처음 배우는 초보자이건, 고급 수준에 이른 학습자이건, 심지어 불어를 가르치는 교사이건 간에 남성과 여성 중 한 가지 성을 택해야 하는 문제로 인해 종종 궁지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문법 성에 대한 지식은 한국어에는 없는 한정사와의 결합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됨으로써 문장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한국의 학습자들은 고민하게 된다. 본 연구는 불어를 외국어로서 학습하는 한국 학습자들의 문법 성 범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무생물 명사의 문법 성 구분을 용이하게 하는 가설 규칙을 찾고, 이렇게 찾아진 문법 성의 변별기준 규칙을 활용한 보다 효과적인 문법 성 교수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무생물 명사를 대상으로 음성과 형태 그리고 의미의 세 가지 요소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설문 조사를 통해 현직 고등학교 불어교사의 문법 성에 대한 견해와 교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선, 일반계 고등학교용 2종 도서 전권(6종 9권), 외국어 고등학교용 1종 도서 중 5권에 수록되어 있는 무생물 명사들을 음성적, 형태적, 의미적 특징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음성정보에 의한 분류를 통해서는 [a~], [ε],갖는 명사는 거의 남성이고, [ty:R],[sy:R],[z],로 갖는 명사는 거의 여성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형태정보에 의한 분류를 통해서는 [i], [j], [y]를 어말음으로 갖는 명사들의 경우 -e표지의 유무에 의해 문법 성을 구분할 수 있고, 어간과 어미의 결합양태에 따라 동일한 결합방식을 갖는 명사들은 같은 문법 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단축어의 경우 원래 단어의 어말음이나 표지형태에 의해 결정된 성을 따르고, 함축어의 경우 숨어있는 명사의 성을 따르며 형용사나 부사 또는 동사 등에서 명사로 전환된 경우 모두 남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의미정보에 의한 분류를 통해서는 특정한 사물집단을 가리키는 명사 즉 언어, 방위, 계절, 요일, 월명, 시간의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남성이고, 학문명이나 시간의 지속성을 의미하면 여성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문법 성은 불어화자가 바라보는 명사에 대한 세계관이나 고정관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상징적, 신화적 요소를 가진 언어들은 그에 따른 인식과 상징작용(능동/수동, 이성/감정, 강함/약함 등의 이원론적 대립)에 의해 문법 성을 추론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문법 성에 대한 교수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현직 불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문항 내용은 크게 문법 성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이해, 고등학교 불어교육에서 문법 성 범주의 중요도 및 학생들의 반응 그리고 문법 성의 교수방법을 묻는 것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문법 성의 범주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무생물 명사에 남성과 여성의 각각 다른 문법 성을 결정함에 있어 일정한 기준이 적용되었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와 규칙 없이 임의적으로 결정되었을 것이라는 견해에 거의 같은 비율로 양분되어 나타난 결과로 보아 교사들 사이에서도 문법 성 범주는 명확하게 정의내리기 난해한 영역이었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고등학교 불어교육에서 문법 성 범주를 비교적 중요한 문법 범주라고 인식하고, 다른 영역의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할 것을 우려하여 문법 성의 올바른 습득에 소홀히 하면 안 된다는 것에 공감하였다. 셋째, 문법 성 범주를 중요한 학습 영역이라고 여기는 것에 비해 학생들에게 문법 성을 잘 이해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학습을 시도하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보다 효과적인 교수를 위한 자료나 교수방법을 찾는다 하더라도 이에 관한 자료나 연구의 부재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와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본 논문의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성과 형태 그리고 의미 요소에 의해 무생물 명사를 분류해 본 결과, 불어 무생물 명사는 비록 모든 명사에 적용시킬 수 있는 절대적인 규칙은 아니더라도 문법 성을 구분해 주는 일련의 규칙과 기준 아래 체계화 내지 범주화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는 문법 성을 가르치면서 이러한 문법 성의 변별기준을 적절히 활용하여 가능한 한 범주화된 틀 안에서 단어의 음성과 형태 그리고 의미의 이해와 적용을 위한 지도가 필요하다 하겠다. 다시 말해, 학습자들의 수준이나 요구에 맞추어 체계화, 범주화가 가능한 부분을 단계적으로 제시·설명해 주어야 한다. 셋째, 그 동안 문법 성 범주에 관한 논의는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불어를 외국어로서 배우는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실용적인 차원에서라도 불어 무생물 명사의 문법 성 영역을 더욱 깊이 탐구해 볼 가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