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요리활동에서 교사의 탐구-발견 중심의 질문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요리활동에서 교사의 탐구-발견 중심의 질문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n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through Teacher's Question Centered Inquiry-Discovery at the Cooking Activities
Authors
김자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탐구- 발견 중심의 질문을 통한 요리활동의 교수방법이 실제로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는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유아의 요리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탐구-발견 중심의 질문을 통한 요리활동을 경험한 유아와 경험하지 않은 유아 간에는 과학적 과정기술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 교사의 탐구-발견 중심의 질문을 통한 요리활동을 경험한 유아와 경험하지 않은 유아 간에는 과학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부천시에 소재한 S유치원 두 학급의 만 5세 유아 24명이다. 집단 구성은 실험집단 학급에서 12명의 유아를 선정하여 탐구-발견 중심의 질문으로 계획안을 작성한 후에 요리활동을 실시하였다. 이와 연령이 같은 비교집단 학급에서도 12명의 유아를 선정하여 탐구-발견 질문을 중심으로 한 계획안의 작성 없이 요리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두 명의 교사가 참여하였다. 실험처치는 1주에 2회씩 4주간 총 8회의 요리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요리활동 전에 교사에게 탐구-발견 중심의 질문을 훈련한 후 유아6명씩 소집단을 이루어 요리활동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실험집단과 모두 동일한 주제의 요리활동을 실시하되 교사의 탐구-발견 중심의 질문에 대한 훈련을 하지 않았다. 탐구-발견중심의 질문의 훈련은 권영례(1992)가 7가지로 나눈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를 기초로 하여 김애옥(1996)이 사용한 교사의 언어형태를 기준으로 실험집단 교사가 계획안을 작성, 평가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과학적 문제해결력 검사지와 과학적 과정기술 관찰목록표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검사도구는 Lind(1996), Martin(1997), Althoues(1988), 안경숙(1992), 유경숙(1999), 조형숙(2001)이 공통으로 적합하다고 제시한 평가 요소를 토대로 예비 조사를 하여 다시 연구자가 과학적 과정기술 목록표로 수정, 제작한 뒤, 유아교육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사용하였다.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안경숙(1992), 장경해(1994), 황동숙(2001)이 사용했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두 집단간 과학적 과정 기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매회 요리활동마다 산출한 빈도를 비율 빈도로 산출하였고, 두 집단간의 비율 빈도의 평균을 SAS program을 사용하여 두 집단간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에서 두 집단간의 문제해결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의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의 점수를 산출하여 SAS program을 사용하여 두 집단간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탐구-발견 중심의 질문을 통한 요리활동을 경험한 유아는 경험하지 않은 유아보다 과학적 과정기술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과정기술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비교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예측하기, 토의하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관찰하기, 추론하기, 실험하기‘만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회의 요리활동마다 비율 빈도를 비교해 보면, 실험집단의 경우 요리활동 횟수가 증가할수록 과학적 과정기술이 점차 증가되는 반면, 비교집단의 경우 요리활동 횟수가 증가할수록 과학적 과정기술은 점차 감소하였다. 둘째, 교사의 탐구-발견 중심의 질문을 통한 요리활동을 경험한 유아는 경험하지 않은 유아보다 과학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문제의 발견 및 진술, 아이디어의 제안 및 적용, 결론짓기에서 모두 두 집단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rincipl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developing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at the cooking activities through teacher's question centered inquiry-discovery. The following describes more detail subjects of this research: 1. Is there a clear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process kills between children with a cooking class experience through teacher's question centered inquiry-discovery and those without ? 2. Is there a clear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ies between children with a cooking class experience through teacher's question centered inquiry-discovery and those without ? The sample groups of this study are two groups, total 24 individuals, five-year-old "S Kindergarten" children of middle-class families, which located in Kyonggi Province. The groups are divided by two different conditions; one group of children has experience of the cooking activities through teacher's question centered inquiry-discovery and the other has not experience to make comparative study. Each group has 12 children and two teachers. The cooking activity classes were carried out two times a week for four weeks and each class was accompanied with teacher's question centered inquiry-discovery. The comparative group performed same classes without the pre-prepared teacher's question centered inquiry-discovery. The question is based on the Kwon Young Re (1992)'s relative linguistic functions and the Kim Ae Ok (1996)'s linguistic forms of teather. A test for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as well as a list for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were used as a research technique during this study. To evaluate the juvenile's scientific process skill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examination techniques of Lind (1996), Martin (1997), Althoues (1998), Ahn Gyoung Sook (1992), Ryeu Kyoung Sook (1999), and Cho Hyung Sook (2001). Also, to examine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 research used the methods that developed by Ahn Gyoung Sook (1992), Jang Kyung Hae (1994), Hwang Dong Sook (2001). For the scientific and reliable evaluation, the each result of this research was calculated percent probability and t-test of the SAS program. Also the pre- and post-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each group by the appling SAS system for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he summary of thes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cooking activity classes with teacher's question centered inquiry-discover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Especially in case of "comparison, dividing, measuring, expecting, debating" of the skills, the cooking activity class has expressive enhancements. Based on the percentage frequency in eight results of cooking activities, the test group showed impressive progress in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compare it to the comparative group with times of cooking activities. In second,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cooking activity classes with teacher's question centered inquiry-discover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case of discovery and statement of problems, proposal and application of idea and making decision in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ies, clear difference was noticed between two grou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