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제7차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국악감상영역 내용 분석

Title
제7차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국악감상영역 내용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ieces for appreciation listed in the music text 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edited under the 7th music curriculum
Authors
이은경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운조
Abstract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우리 음악 문화 창달을 위한 국악교육을 위해 음악과의 국악의 비중을 높였으며 이는 감상영역에도 해당된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국악을 음악적으로 다양하게 감상하게끔 하는 것은 우리 전통 음악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음악의 생활화를 위해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실제 초등학교 교사들은 국악 감상을 지도하기 어려워하고 그 해결책을 위한 참고자료로 교사용 지도서를 제일 많이 찾는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과서에 실린 학습 내용과 이와 관련된 목표를 제시하고 교사가 수업을 바르게 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지침서로 교사들이 지도시 어려움을 느낄 때 참고할 만한 내용을 실어서 그 기능을 수행함이 옳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교사들이 국악 감상을 효율적으로 지도하도록 하기 위해 초등학교 3-6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내의 국악감상 영역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방법에서 교과서는 제시된 악보, 그림 및 사진,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교사용 지도서는 악보, 수업전개, 참고자료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이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이 일치하는지, 악보가 올바르게 수록되어 있는지, 그림 및 사진이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 학습 내용에 오류가 없고 수업 목표와 부합되는지, 용어가 통일되지 않게 쓰였는지 등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이어서 3-6학년 국악감상곡으로 소개된 악곡들이 어떤 장르에 포함되고 있는지 살폈다.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감상 영역 내 국악곡을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이 국악관련 사전, 개론서 등 각종 서적에 비추어 볼때 잘못 기재된 부분이 있었다. 서도 민요에 동부 민요인 함경도 민요를 포함시키고 있었으며 시김새가 특징인 남도 민요의 악보에는 떠는 목 표시가 없었다. 또, 가로로 부는 악기에 ‘단소’와 ‘피리’를 넣은 것은 내용상 오류를 범한 것이다. 둘째, 교사용 지도서 내에서의 국악 감상곡에 대한 해설 또는 학습내용에서 용어가 서로 다르게 쓰여 일관성이 없는 경우가 있다. ‘제금’과 ‘자바라’, ‘평조회상’과 ‘유초신지곡’ 등의 예가 있는데 이처럼 한 악곡이나 악기가 서로 다른 이름으로 표기되어 교사들이 이런 내용을 보고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셋째, 악보나 그림, 사진 등이 적절히 제시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단소 독주 하는 모습의 사진과 함께 대금 악보가 실리고, 각 지방의 민요를 보여주는 그림은 그 경계가 모호하며 현악기의 사진 또한 그 모습을 자세히 살필 수 없다. 넷째,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 내용이 수업 목표에 부합하지 않고 수업 활동이나 내용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여러가지 일노래를 들어봅시다’라는 수업 목표가 주어졌으나 수업활동에는 그러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 않았고, ‘여러 지방의 민요와 비교해보자’의 목표에도 부합되지 못하는 활동을 하는 모습이 보였다. 다섯째, 3학년부터 6학년까지 국악감상곡으로 소개된 악곡들은 장르별로 분류하였을때 민속음악에 편중되었다. 반면 문인 음악 중 노래인 가곡, 가사, 시조나 신앙음악인 법악, 무악에 해당하는 악곡들은 소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가 몇 가지 오류를 범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교과용 도서가 교사들이 빠르고 쉽게 참고하기 위한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교과용 도서를 집필할때는 더욱더 이러한 면에 깊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 교사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자료를 제공해줘야 하고 나아가 학생들이 바른 정보를 받아들이고 국악 감상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The 7th National Curriculum puts more emphasis on music to reinstate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hereby, promote our music culture. The area of music appreciation is no exception. Offering the students the opportunities for diversified appreciation of the traditional music is important to understand our traditional music correctly and internalize music. Nevertheless, elementary teachers seem to feel it difficult to teach their students how to appreciate the traditional music,while relying much on the teaching guides for reference. Teaching guides present the learning goals for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hile helping teachers to teach their students correctly. Hence, it is required of the teaching guides to contain the references much useful to teacher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atively analyzing the traditional music pieces presented in elementary 3rd~6th graders' music textbooks for appreciation in order to help elementary teachers to understand them better. To this end, scores, figures and photos and learning contents carried in the textbooks were reviewed, while scores, learning contents and references presented in teaching guides were analyzed. Then, textbooks and teaching guides were compared to determined whether they conformed to each other, whether scores are appropriate, whether figures and photos are properly presented, whether the learning contents are erroneous, confirming to the learning goals, and whether terms are unified. And then, it was examined whether the traditional music pieces carried in 3rd~6th graders' music textbooks are linked well with each other and what musical instruments a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any parts of teaching guide were mistaken in reference to traditional music dictionaries, introductions and other books. For example, Hamkyongdo folk song, a kind of the Eastern folk songs, was included in the Western folk songs, and some scores of Southern folk songs characterized by Sigimsae did not show any vibration note. Moreover, 'Danso' and 'Piri' were incuded wrongly in the category of the longitudinal flues. Second, terms of interpretation or learningvcontents were different or inconsistent among the music pieces in the teaching guides. The examples were 'Daegum' and 'Jabara', 'Pyongjohwasang' and 'Yuchosinjigok'. etc. Hence, teachers may be confused about such inconsistent terms about titles of scores or musical instruments. Third, there are some cases where scores, figures, photos, etc., were not appropriately presented. A photo showing a 'Danso' solo performance was accompanied by a 'Daegum' score, and a figure showing the provincial folk songs could not be identified for their regions, and a photo of the string instrument did not clearly feature the instrument. Fourth, learning contents of textbooks and teaching guides did not seem to conform to the curriculum goals, and in some cases, did not conform to classroom activities or learning goals. For example, the learning goal was 'let's listen to various labor songs', but it was not followed by corresponding contents. The goal 'let's compare various provincial folk songs' was not met by its learning contents. Fifth, most of the traditional songs carried in 3rd~6th graders' textbooks belonged to the folk song genre; court songs and other genres of traditional music were not represented in the textbooks. There were no such literary music as Gagok, Gasa or Sijo represented in the textbooks, much less the religious music such as exorcism music or Beompae. As it is, elementary music textbooks and teaching guides were found much erroneous, and in particular, teaching guides did not seem to play their original functions fully as references for teachers. So, when teaching guides are reedited,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such that students can obtain correct information and appreciate the traditional music eff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