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민-
dc.contributor.author진영경-
dc.creator진영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2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6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26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bout finding out the degree of practical application to another course of study, national history. And also about investigating how many compositions does the historical map which was published in national history textbook contain. And then,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each component of maps cartographically to reveal whether each component was designed properly on the map. In the meanwhil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connections between historical maps and texts through reading maps treated in geography. For this, this study is aiming enhancing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applying mapping skill that was trained in geography class to national history class. And moreover, this study will cover the guidance about publishing historical map as a instruction material. It is essential to insert components of map in historical maps to avoid overlapped duplication. In the meantime, to publish detailed and accurate maps is also important as well. Especially, it is noteworthy that history and geography makes up for each other. They are not separated at all. Therefore, a successful study is expected as far as history class is progressed using geographical knowledge. Correspondence between arrangement and organization of map can bring into visual effect. And many more following researches regarding usage of colors in maps are anticipated. Even though this study is quite limited in many aspects, it is sure th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publishing historical maps by cartographically analyzing historical maps that are printed on high school national history text book, and by presenting proper map designing guide line and basic components as a thematic map. And yet, it is thought that some parts of this study that are concerning map designing and color arrangement were discontented. However, as for this kind of study has not yet been carried out,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provide a chance to analyze historical maps, used as a educational material, cartographically.;본 연구는 지리과에서 배운 지도읽기를 통해 타교과인 국사 과목에서의 활용정도와 국사교과서에 게재된 역사지도 제작시에 지도의 구성요소를 어느 정도 갖추었는지를 알아보고, 역사지도를 지도학적인 차원에서 지도의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도상에서 구성요소 간의 디자인을 올바르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분석하고, 역사지도와 내용과의 연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리 수업 시간에 받는 지도 교육을 국사 수업에 활용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 나아가 학습 자료로서 역사지도의 제작에 관한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역사교육에서 역사지도의 필요성을 사회과 교육과정의 국가영역 ‘교수학습·방법’을 통하여 역사지도가 역사교육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알아보고, 이러한 역사지도를 이해하기 위해서 지리교육이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어떠한 방법으로 지도교육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둘째, 주제도의 하나인 역사지도가 가지는 특성과 현황을 5차, 6차, 7차 국사교과서의 시대별, 영역별 구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셋째, 지금까지 이루어진 역사교육에서의 연구와는 달리 국사교과서의 역사지도를 지도학적인 차원에서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이희연의 연구를 참고로 하여 역사지도의 구성요소 분석을 통해서 지도의 구성요소를 잘 갖추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래픽 자료로서 올바른 구성요소의 올바른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각각의 역사지도를 분석함으로써 알아보았다. 또한 국사교과서의 본문내용과 역사지도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국사교과서에서의 역사지도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수록된 역사지도의 시대별 구성을 살펴보면, 고대가 가장 많고 현대에 관한 역사지도는 극히 적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수록된 역사지도의 영역별 구성을 살펴보면, 정치 분야에 관한 역사지도가 가장 많은데, 이는 시대별 정치적 변천 과정을 다룬 역사지도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수록된 역사지도의 교육적 기능별 분류를 살펴보면, 역사적 사상의 시간적 변화를 계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도가 중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역사지도를 지도학적인 차원에서 정성적 주제도와 정량적 주제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과거의 사실이 발생한 장소와 유적지가 출토된 장소를 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역사지도는 인구나 문자의 이동 방향과 함께 역사적인 시간의 흐름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역사지도에서 살펴본 전형적인 지도의 요소들을 분석해 본 결과 총 8개 항목 가운데 제목, 지도경계와 외곽선 장소의 이름과 명칭의 3항목을 모두 포함하고 있지만, 축척, 경·위선의 2개 항목은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방위는 지도의 요소에 속하지만 통상 방위표시가 없는 경우는 지도의 위쪽이 북쪽이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또한 범례가 없는 역사지도는 7개(고지도 제외)이고, 지도의 기호가 없는 역사지도는 2개가 있었다. 특히 역사지도에 범례가 있으나 역사지도에서 사용한 모든 기호가 범례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24개의 지도에서 나타났다. 절, 수도와 도시, 성곽 등은 범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를 통해서 역사지도의 오류를 유형화한 결과 기호, 범례, 색상, 축척, 기타(삽입지도, 지도왜곡)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역사지도를 분석한 결과, 기호의 오류는 대체적으로 국사교과서에 수록된 모든 역사지도의 수도의 기호가 일치하지 않거나, 역사지도안에서 기호의 색상과 크기도 일치하지 않았다. 색채연상의 측면에서도 실물과 비슷한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범례의 오류는 역사지도의 기호가 모두 범례에 표시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었다. 역사지도상에 표현된 모든 기호를 범례에 표시해야하며, 범례에 소개된 항목을 적절한 방법으로 배치하는 것도 지도의 의사소통을 위해서도 효과적일 것이다. 색상의 오류는 앞서 지적한 것과 같이 같은 나라를 표현하는데 있어 동일한 색상을 사용해야하며, 행정구역도를 표현함에 있어 여러 색상을 사용할 때에는 보다 명확한 구분을 위해 비슷한 색의 사용을 피해야 한다. 축척의 오류에서는 모든 역사지도가 축척을 표시하지 않았지만, 어느 한 지역의 일부를 보여주는 역사지도의 경우에는 반드시 축척을 표시하는 것이 역사적 사실의 이해를 위해 효과적이다. 그 외의 오류에서는 적절한 삽입지도의 배치를 통해서 시각적 자료로써 유용성을 높이며, 제주도, 대마도 등의 작은 섬 등의 지도의 왜곡을 줄이고, 역사적 사상의 역사적 분포 패턴을 표현할 때 정확하게 위치를 표현하는 것도 역사지도를 통해 역사적 사고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여섯째, 역사지도와 교과서 내용과의 연계성을 분석해 본 결과, 7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선된 국사교과서는 이전의 국사교과서와 비교해 볼 때 많은 학습 자료를 제시하여 준 것으로 보인다. 역사지도에서 지도의 구성요소를 삽입하고, 교과서 내용에 적절한 역사지도의 제작과 수록이 되어야 하며, 동일한 내용을 나타내는 것은 중복을 피해야 하고, 상세하고 정확한 지도의 제작이 필수적이다. 특히 역사와 지리는 서로 떨어져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역사학습을 함에 있어서 지리학적인 지식을 가지고 역사 수업을 전개해 나간다면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지도의 배열과 구성에 있어서도 일치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지도의 색채 사용에도 많은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지도의 분석에 있어 주제도인 역사지도의 구성요소 추출에 있어 이희연의 연구만를 참고하였다. 둘째, 객관적 기준이 없어 애매한 점은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필자 나름대로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다소 주관이 작용하였음을 앞서 밝힌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나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게재된 역사지도를 지도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역사지도가 주제도로서의 기본 구성요소와 올바른 지도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여, 앞으로 주제도인 역사지도를 제작함에 있어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지도 디자인과 색채 배열에 대한 부분은 아직 미흡했다고 생각된다. 다만 이러한 작업이 지금까지 이루어진 바 없는 만큼 학습 자료로 사용되는 역사지도를 지도학적인 차원에서 분석해 보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 5 A. 학습자료로서의 지도의 정의와 구성요소 = 5 1. 지도의 정의와 특성 = 5 2. 주제도에서의 지도의 구성 요소 = 6 B. 지도교육과 도해력 = 8 C. 선행연구 = 16 Ⅲ. 역사지도의 특성과 현황 = 21 A. 역사지도의 정의와 활용 = 21 B. 역사교육에서 역사지도의 필요성과 교육적 기능과 역할 = 24 1. 역사지도의 필요성 = 24 2. 역사지도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 = 29 C. 시기별 국사교과서의 역사지도 현황 비교 = 36 Ⅳ. 국사교과서에 수록된 역사지도의 분석 = 43 A. 역사지도의 교육적 기능별 분류 = 43 B. 역사지도의 지도학적 분석 = 44 1. 역사지도의 지도학적 분류에 따른 분석 = 44 2. 역사지도의 구성요소 분석 = 45 3. 시각적 매체로서의 역사지도 분석 = 49 C. 역사지도와 교과서 내용과의 연계성 분석 = 89 Ⅴ. 결론 및 제언 = 97 참고문헌 = 102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905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제7차 고등학교 사회과 역사지도의 지도학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Historical Map in the Textbook of National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Cartography-
dc.creator.othernameChin, young kyoung-
dc.format.pageⅸ,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