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2 Download: 0

개인 실기 지도에 대한 실태조사

Title
개인 실기 지도에 대한 실태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private lessons by college music student
Authors
피유정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숙
Abstract
한국의 음악교육의 현실에 있어 실기 교육의 많은 부분이 학교에서보다 음악학원이나 개인 레슨 등의 사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음대 졸업생을 비롯하여 많은 재학생들이 실기 지도를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음대생의 개인 실기 지도 아르바이트 실태를 조사하여, 음대생의 보다 나은 실기 교사의 역할 수행을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성신여대, 숙명여대, 이화여대의 3개 음악대학 재학생 3,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 배경, 실기지도 내용, 취약점, 자기개발을 위한 노력, 인성적 태도, 만족도에 관한 것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에 응답한 총 122명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기 지도 내용에 관한 조사 결과, 연구 대상자가 인식하고 있는 실기지도의 중요한 목적에 있어 ‘연주 기술 능력 향상’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음악의 심미적 이해’는 저조한 결과를 나타냈다. 연주 능력 향상을 위한 기본요소 인식에 대하여 ‘연습량’이 가장 높고 ‘청각 능력 발달’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연습지도 방법에 있어 과반수 이상이 ‘일정한 연습량을 숙제로 낸다’고 응답하였으나 ‘자율적으로 연습하도록 지도한다’는 응답도 다소 높았다. 교수 방법에 있어서는 ‘경험으로 터득한 나만의 방법을 사용한다’, 교재 선택에 있어서는 ‘오랫동안 통용되었던 교재를 사용한다’가 가장 많았다. 실기 외에 이론, 청음, 시창, 감상 등을 함께 지도하는 응답자가 88.5% 로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교수자료를 이용한다는 응답자는 46.7% 였다. 취약점에 대한 조사 결과 개인 실기 지도의 문제점에 인식에 있어 ‘과중한 과외로 인한 학생의 소극적 태도’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실기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그릇된 인식’으로 나타났다. 학생을 다루는데 어려움은 ‘주의, 집중력 유지’가 가장 높았으며, 실기 교사로서 음대생 자신의 취약점에 대하여 ‘음악 교수법의 지식’ 부족이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자기 개발을 위한 노력에 대한 조사 결과, 취약점 개선을 위해 ‘동료들의 조언을 구한다’ , ‘관련 서적, 자료 참고’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대학교에서의 음악교육 관련 수업을 수강한 응답자는 49.2%에 불과 하였으나, 실제적으로 대학에서 개설된 교수법과 관련된 과목은 일부 전공에 제한되어 있었다. 음악적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 개발 노력에 대한 세 개 문항의 5점 척도 분석 결과 평균 3.37이었다. 인성적 태도에 관하여 친근함, 따뜻함, 인내, 열심, 사명감의 다섯 문항에 관한 5점 척도 분석 결과 3.75로 나타났다. 가르치는 일 자체에 대한 만족도를 5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 평균 3.65이며,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 가르치는 일 자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학생 실기지도가 자신에게 어떠한 도움이 되고 있는가에 대한 조사 결과, ‘교수법에 대한 실제적 경험과 지식 축적’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교사의 입장과 가르침에 대한 이해’, ‘효과적인 연습방법 연구’가 비교적 고른 응답 결과를 보이고 있어 학생 실기 지도가 음대생에게 유익한 교육적 경험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볼 때 음대생의 개인 실기 지도 아르바이트의 지도 내용은 과거의 방법을 따르고 있거나 다소 주관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실기 지도의 문제점으로는 학부모의 지나친 교육열로 인한 역효과로 지도 학생의 소극적 태도 및 학부모의 간섭이 지적되고 있으며, 음대생 자신이 인식하는 교사로서의 어려움은 음악교수법적 지식 부족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므로 보다 나은 학생 실기 지도를 위하여 음대생에게 교수법적 지식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According to the reality of music education in Korea, most of the practical technique has been trained by private education such as private institutes or private lessons rather than public schools and many graduates and college music students are charge of the instruction.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plans more advanced education of practical technique investigating on the actual condition of private lessons by college music students. For this study, juniors and seniors from Sungshin, Sookmyung and Ewha womans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contents of the survey consist of general circumstances, substances of the private lesson, weakness, effort for self-development, humanistic attitude, and satisfaction. Here are the results that analyzed the total 122 participants who answered the survey. The survey about the contents of private lesson shows the result that those pollees perceive 'Improvement of performance technique' is the most significant goal of private lesson, however, 'Aesthetical understanding of music' was resulted the lowest. About the recognition of fundamental el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competence, 'Practice hours' shows the highest result, but 'Development of aural skill' relatively answered very low. For the teaching methods for practice, over 50% answered 'Give assignments of a specific sum of practice', but the answer of 'Instruct students to practice by themselves' was also somewhat high. As for the instruction methods, most of the people answered 'Use the own teaching methods mastered with experiences'. And most of them selected the teaching materials 'Use the traditional materials the has been used commonly'. Under the questionnaire about the weakness, 'Passive attitude of students for the heavy extracurricular work' was pointed out as the most difficult problem of the private lesson and 'Misunderstanding about private lesson by the parents of students' appeared the next. About the difficulties to treat students, 'Maintenance attention and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and for the weakness of the instructors themselves, 'Lack of the knowledge for music pedagogy' was answered the highest. The average point 3.65 appeared for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work itself based on the 5-point measure an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brought out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work itself. The investigation about what kind of benefits the private instruction brings to themselves tells us private lesson is profitable educational career for music colleges students as most of them said it was helpful for 'Actual experiences and knowledge accumulation about teaching methods' and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instructors and the instruction' and 'Study of efficient practice system' were evenly answered. According to such results from this survey, the substances of private lessons by college music students depend on traditional system, or tend to be subjective. As for the matters of private lesson, for the side-effect caused by parents' immoderate enthusiasm for education, interference of parents and passive attitude of students are pointed out and 'Lack of music pedagogic knowledge' was appeared high as the difficulties for instructors that college music students perceive. Therefore, college music students require continuous effort for the cultivation of pedagogic knowledge for more advanced private instruction of practical techniqu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