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不, 沒(有)’의 오류분석을 통한 과제중심 지도방안

Title
‘不, 沒(有)’의 오류분석을 통한 과제중심 지도방안
Other Titles
通過否定副詞“不”和“沒(有)”的錯誤分析得出的任務型敎學法
Authors
이영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부정부사 ‘不, 沒(有)’의 오류분석을 통하여 부정부사 학습실태를 파악하고 부정부사의 오류를 줄이기 위한 학습자 중심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부정부사 ‘不, 沒(有)’의 오류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정부사 문법 과제를 개발하여 적용하여 봄으로써 의사소통 과정에서 유창성과 더불어 정확성에도 초점을 둘 수 있다. 먼저, 부정부사 과제 중심 활동 지도 방안을 개발하기 전에 부정부사 ‘不, 沒(有)’의 오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문법에 근거한 문항분석, 오류의 형태별/유형별 분석, 그리고 학습자 학습기간별 통계분석과 함께 오류율 최대/최소를 각각 분석하였다. 부정부사 ‘不, 沒(有)’의 오류 분석을 위하여 서울소재 모 학원의 중국어학습자 100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은 매주 5시간 5개월 이상 중국어를 학습하였으며 중국어 기초문법을 학습한 학습자들로 선정하여, 중국어 문법에 대한 기본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오류를 범할 확률이 적으므로 변별력 있는 조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조사 문항의 출처는 공정하고 정확함을 기하기 위해 呂叔湘의 ≪現代漢語八百詞≫와 ≪六年制小學課本≫ 語文을 참고로 하여 비교적 간결하면서 전후 상황이 필요 없이 쓰일 수 있는 단순한 표현들로 구성하였으며 문항에 사용된 어휘는 고등학교 『중국어I』 에 사용된 기본 어휘로 구성되었다. 또한, 문항선정은 부정부사 ‘不’와 ‘沒(有)’를 중심으로 한국 학생들이 중국어 작문을 할 때 자주 범하는 대표적인 오류들로 동사(조동사 포함) 관련 10문항, 형용사 관련 2문항, 보어 관련 11문항, 부사 관련 6문항, 개사 관련 2문항, 了의 용법 관련 3문항, 着의 용법 관련 3문항, 過의 용법 관련 3문항 등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오류의 유형들은 여러 문헌들을 참조하여 파악하였다. 설문 문항은 모두 40문항으로 2지선다형 객관식이다. 설문시간은 20-30분으로 한정하며, 사전이나 기타 서적을 참고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진행하였다. 본 오류 측정의 대상은 문법적 측면에서는 동사, 보어, 형용사, 부사, 개사, 了, 着, 過로 분류하였고, 형태적 측면에 있어서는 오류 문항을 첨가, 생략, 대치, 재배열의 4가지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유형적 측면에 있어서는 오류를 크게 3가지로 언어전이에 의한 오류, 규칙 확대에 의한 오류, 기타의 오류로 분류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중국어 학습 기간별로 분석하여 학습기간과 수업형태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해 보았다. 오류의 유형별 분석 결과에서, 언어 전이에 의한 오류는 학습 시간이 늘어날수록 줄어드는 반면 규칙 확대의 오류는 증가하였는데, 즉 전이에 의한 오류의 감소는 학습의 정도와 길이에 역 비례하지만 규칙 확대에 의한 오류의 증가는 그것과 비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습기간이 길어질수록 언어간 전이의 영향은 적어지고 규칙 확대의 영향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항별로 학습기간별 각 그룹의 오답율은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대체로 그룹A(학습기간 5개월 이상 1년 미만)에 비해 그룹B(학습기간 1년 이상 1년 미만)의 오답율이 낮았다. 이것으로 학습기간이 늘어날수록 오답율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오답율은 학습한 시간과 정도에 반비례하며, 학습시간이 늘어날수록 규칙에 대한 내재화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 오답율을 비교해 볼 때, 그룹A와 그룹B의 차이는 7.15% 정도로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의사소통 과정상 의미를 중시하면서도 형태에 초점을 두는 교수법에 바탕을 둔 부정부사 문법 과제를 개발하였다. 오류율이 비교적 높은 부정의 표현을 중심으로 심리 활동 동사의 부정, 정도보어의 부정, 지속의 부정 등 문법 과제 활동을 3가지로 개발하였다. 첫째, 주목(noticing) 활동을 통한 지도에서는 색 카드를 사용한 부정부사 인식활동으로서 심리활동동사의 부정의 표현을 가르치기 위한 과제 활동이다. 둘째, 게임을 통한 지도이다. 속삭이기를 통한 오류 수정활동을 통하여 정도보어의 문형을 가르치기 위한 과제 활동이다. 셋째, 그림 묘사를 통한 지도로서 교사가 제시하는 그림을 보며 교사가 그림을 묘사하는 시범을 먼저 보여주고 그 내용을 학습자는 이해하고 학습자 자신이 스스로 그림을 묘사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문법 과제 활동은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에서 유창성 뿐만 아니라 정확성까지도 길러 줄 수 있는 문법 과제 활동이다. 부정부사 문법 과제 활동이 중국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앞으로도 문법 지도가 의사소통 맥락에서 형태에 초점을 두면서도 의미에 초점을 두는 교수법의 방향으로 가야한다는 것임을 알 수 있다.;本硏究的目的在于如何指導否定副詞‘不’和‘沒(有)’,找出學習難点和錯誤的原因,摸索對此有效的指導方案. 現代漢語最常用的否定副詞是‘不’和‘沒(有)’. 可是타們的用法却不容易區別. 自主動詞可以用‘不’和‘沒(有)’來否定,非自主變化動詞只能受‘沒(有)’的修飾,非自主屬性動詞只能受‘不’的修飾. 性質形容詞可以受‘不’的修飾. 範圍副詞都可以受‘不’的修飾,但是所有的程度副詞不一定都可以受‘不’的修飾,象非常,挺,比較,特別等不能受‘不’的修飾. 只有少數時間副詞可以受‘不’的修飾. 能動性介詞可以受‘不’的修飾. 動結式述補詞組的否定形式是‘沒+動詞+結果補語’. 動趨式述補詞組的否定形式是‘沒+動詞+趨向補語’. 但動結式述補詞組作表示條件的偏句的謂語時,其前可以出現‘不’. ‘不’和‘沒(有)’都不能否定帶有動態助詞‘了’的句子里的謂語動詞. 但是只有‘不’可飾在句尾帶有動態助詞‘了’的句子里的謂語動詞. ‘沒(有)’可以修飾帶有動態助詞‘着,過’的謂語動詞,‘不’則不可. 本文從語義,句法上對‘不’和‘沒(有)’進行了錯誤分析. 調査項目一共40項,均爲客觀題. 以漢城某學院學漢語五個月以上的100名學生作爲調査對象,調査時間限定爲20-30分,在不可參考詞典或其他書籍的狀況中進行的. 把問卷調査的結果作爲重点分析使用否定副詞‘不’和‘沒(有)’時犯的錯誤,掌握其錯誤的原因,摸索有效的指導方案. 通過本問卷調査出現的錯誤,分析結果如此. 大体上錯誤率與學生們的學習時間長短成反比. 學生問用否定副詞‘不’和‘沒(有)’時最容易犯的錯誤是有關非自主動詞的錯誤. 可以知道學生們否定非自主動詞時沒有形成內在化. 本文提出的否定副詞‘不’和‘沒(有)’的指導方案就是“任務型”課堂敎學. 作爲一種新型的課堂敎學途徑,‘任務型’敎學途徑能使敎學過程任務化,充分确立學生的主体地位,以任務活動爲主要途徑,讓學生積겁‘動’起來,讓漢語敎學‘活’起來. 任務型敎學法的理論基礎基于語言習得的硏究成果,課堂中師生和生生的互動和交際有助于學生運用語言,學生在完成任務的過程中産生語言的習得,幷最終達到掌握語言的目的. ‘任務型’課堂敎學,强調讓學生的注意力主要放在즘樣利用漢語作爲交流的媒体來完成任務,而不只是關心自己所說句子的結構是否正确. 這有利于幇助學生樹立自信心,養成良好的學習漢語習慣,形成有效的策略. 學生通過使用正在學習的語言來完成貼近自生活的任務,能在掌握一定的漢語基礎知識和基本技能,獲得基本漢語運用能力的同時,培養學以致用的意識和初步運用漢語進行交際的能力. ‘任務型’課堂敎學是將漢語的敎學目標整合到一個或多個具体的活動任務當中,使學生在使用漢語完成任務的同時,不知不覺中學習漢語,更主要的是培養學生運用漢語的能力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