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군자-
dc.contributor.author민윤정-
dc.creator민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1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6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90-
dc.description.abstractMentally retarded adolescents generally show innate impairs of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skills and hav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normal social life with internalized or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Social skills are behavioral skills which are necessary for one person to interact well with environment. The necessity of social skills is growing as recent special education aims inclusive education and emphasizes total inclusion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However, it is true that many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have severe problems in coping with demand and stress from other normal students and do not adapt well in inclusive education. Music activities that are performed in group can improve social skills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Especially improvisational music therapy is used widely in clinical site because it guarantees client's activity regardless of their mental capacity. Free improvisation therapy invented by British J. Alvin gives client's freedom for music without any rule or limitation and goals social integration through sound relationship between clients and therapist. This case study examines influence of free improvisation therapy on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 of three mentally retarded adolescents who are i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Free improvisation therapy was applied to 5 small groups which included 3 clients with two 45 min sessions per week (total 12 sessions). The therapy included improvisational activities with focus on playing, improvisational movement, vocal improvis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 by free improvisation therapy, pre- and post-test were done using Gresham and Elliott's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 Social skills in music activities such as responsibility for own instrument, musical expression, eye contact with therapist, participation on conversation and musical harmony with others are scored with video critique using Likert scoring system. In addition, problem behavior is divided into aggression to others, social withdrawal and hyperactivity and scored using Likert scoring system. Verbal and behavioral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o support the resul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1) Pre and post test with SSRS showed that free improvisation therapy improved client's social skills and their sub factors, cooperation, assertion and self-control. 2) Pre- and post-test with SSRS showed that free improvisation therapy reduced client's problem behavior and influenced positively on their sub factors, externalizing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and hyperactivity 3) As sessions go, client's responsibility for own instruments, musical expression, eye contact with therapist, participation on conversation and musical harmony with others are improved and client's social behavior like social withdrawal and hyperactivity is slowly reduc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sic can be used as a tool for social education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and support previous studies that musical therapy improves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daptation behavior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free improvisation therapy can positively influence on social adaptation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inclusion education environment and be used effectively on therapy education.;정신지체아들은 선천적인 인지적 기능의 결함과 함께 사회적 기술의 결함이 보편적이며, 내재적, 외현적인 문제행동들로 인해 사회에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회적 기술은 한 개인이 주어진 환경과 원활하게 상호작용 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행동기술로서, 최근 특수교육이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정신지체아의 완전 통합이 강조됨에 따라 사회적 기술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정신지체아들은 통합교육 환경에서 정상 또래들의 요구와 억압에 대처하는 데 미숙하고 적응능력에서도 심각한 결함을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집단으로 행해지는 음악활동은 정신지체아들의 사회적 영역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즉흥연주는 내담자들의 기능 수준과 상관없이 참여가 가능하여 임상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자유즉흥연주는 내담자에게 어떤 규칙이나 제한이 없이 음악에 대한 자유를 주는 것이 특징으로, 대상, 치료사와의 관계형성을 거쳐 궁극적으로 타인과의 관계형성과 사회적 통합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 환경에 있는 정신지체 청소년 3명을 대상으로 자유즉흥연주 음악치료를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사회적 기술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사례연구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유즉흥연주는 대상자 3명을 포함한 5명의 소집단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 주 2회, 45분간 총 12회기로 진행하였고, 기악연주와 즉흥동작, 즉흥성악 중심의 즉흥연주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자유즉흥연주에 대한 대상자의 사회적 기술과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Gresham과 Elliott의 교사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SRS)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비디오 분석을 통하여 음악치료 안에서의 사회적 기술 항목인 악기에 대한 책임감, 음악적 표현력, 치료사와의 눈맞춤, 대화참여도, 타인과의 음악적 조화를 전체 회기동안 관찰하여 대상자들의 질적인 변화를 수량화 하였고, 대상자들의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타인에 대한 공격성, 사회적 위축, 산만성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Likert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항목에서 측정하지 못했던 대상자들의 언어적, 행동적 자료들을 질적으로 분석, 기술하여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즉흥연주 활동은 정신지체 청소년의 전반적인 사회적 기술능력을 향상시켰으며 협력, 자기주장, 자아통제 등 하위요인에 대해서도 유지 또는 향상을 보였다. 둘째, 자유즉흥연주 활동은 정신지체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는데 외현화된 문제행동, 내재화된 문제행동과 과잉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대상자들의 음악치료 안에서의 사회적 기술 행동인 악기에 대한 책임감, 음악적 표현력, 치료사와의 눈맞춤, 지시따르기, 대화참여도, 타인과의 음악적 조화도가 향상되었으며, 문제행동으로 설정한 사회적 위축과 산만성에 대해서도 점진적인 감소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이 정신지체아를 위한 사회적 학습의 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음악의 치료적 활동은 정신지체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적응행동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한 선행연구들과 일치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유즉흥연주가 통합교육 환경에 있는 정신지체 학생들의 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치료교육 현장에서 음악치료의 한 기법으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정신지체 = 6 1. 정신지체의 정의 및 분류 = 6 2. 정신지체의 출현율 및 원인 = 8 3. 정신지체아의 일반적 특징 = 9 B. 사회적 기술 = 11 1. 사회적 기술의 정의 = 11 2.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기술 = 12 3. 사회적 기술과 문제행동 = 14 4. 통합 교육과 사회적 기술 = 15 5. 음악활동과 사회적 기술 = 16 C. 음악치료의 즉흥연주 기법 = 18 1. 즉흥연주의 정의 및 특징 = 18 2. 즉흥연주의 치료적 의미 = 19 3. 자유즉흥연주(free improvisation therapy: FIT) 음악치료 = 20 가. 개념 및 특징 = 20 나. 기법 = 22 다. 과정 및 단계 = 23 D. 정신지체아를 위한 음악치료 선행연구 = 26 E. 요약 = 2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0 A. 연구대상 = 30 B. 연구설계 = 34 1. 연구기간과 장소 = 34 2. 연구절차 = 34 3. 프로그램 절차 및 내용 = 35 C. 측정도구 = 36 1. 사전사후 검사도구: 사회적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 36 가. 사회적 기술 척도(social skills scale) = 37 나. 문제행동 척도(problem behavior scale) = 38 2. 음악치료 안에서의 평가도구 = 38 가. 음악치료 안에서의 사회적 기술척도 = 38 나. 음악치료 안에서의 문제행동 척도 = 42 D. 자료 측정과 분석 = 43 Ⅳ. 연구결과 = 44 A. 사회적 기술 척도 사전 사후 검사 결과 = 44 B. 문제행동 척도 사전 사후 검사결과 = 46 C. 음악치료 안에서의 사회적 기술과 문제행동의 변화 = 48 1. 사례 A = 48 2. 사례 B = 56 3. 사례 C = 64 4. 사례별 결과 종합 = 71 Ⅴ. 결론 및 논의 = 74 A. 결론 = 74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76 참고문헌 = 78 Abstract = 88 부록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16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정신지체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증진과 문제행동 향상을 위한 자유즉흥연주(free improvisation therapy)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ase Study of Free Improvisation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and Behavior Problems of Mentally Retarded Adolescents-
dc.creator.othernameMin, Yoon Jung-
dc.format.pageⅸ,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