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고등학교 《중국어 I 》에서의 문화지도 방안

Title
고등학교 《중국어 I 》에서의 문화지도 방안
Other Titles
The Plan for Culture Instruction for High School Chinese Ⅰ
Authors
박용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진
Abstract
외국어교육의 목표는 원활한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있다. 하지만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외국어교육만으로는 문화적 차이로 인한 의사소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다. 왜냐하면 언어는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역사, 풍속, 민족성 등 수많은 문화적 요소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국어교육을 실시할 때 그 언어의 배경이 되는 문화를 가르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러한 문화지도의 중요성은 이미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강조되어 왔고, 최근 들어 외국인들과 교류할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더욱더 부각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추세에 따라 고등학교 중국어교육에서의 문화지도와 관련한 연구들도 다수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들은 교육 현장에서의 문화지도 현황이나 교과서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점을 제기하고 올바른 문화지도 방향을 제시하기는 하였으나,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문화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는 미진한 아쉬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고등학교 중국어교육에서 문화지도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에 해당하는 문화지도 소재에 대한 연구와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해당하는 문화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이에 대한 연구성과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문화지도 방안을 자료들과 함께 제시하였다. 우선, 문화지도 소재에 대한 연구는 중국의 對外漢語敎學을 강의하는 중국학자들이 초급단계의 중국어교육에서 학습해야 한다고 주장한 ‘물질문화’에 포함되는 내용을 살피고, 박종한(2001)이 대학에서 중국문화 강의시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한 문화지도 소재를 참조하여, 고등학교 《중국어Ⅰ》에서 학습해야 할 12가지 문화지도 소재 즉, 인사, 명절, 차, 음식, 복식, 경극, 영화, 주거, 명승고적, 교통, 여가, 교육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문화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는 Rivers, 박상옥(1986), 정기은(1997)의 연구를 고찰한 후, 이들이 소개한 방법 가운데 고등학교 《중국어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선정하여, ‘누가’ 또는 ‘무엇이’ 중심이 되느냐에 따라 교사중심 방법, 학생중심 방법, 교수매체 활용 방법으로 크게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방법에서 고등학교 《중국어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세부방법들을 첨가하여 제시하였다. 즉, 교사중심 방법으로는 문화설명과 문화요약을 제시하였고, 학생중심 방법으로는 대화, 연습문제, 직감적 반응소, 역할극, 게임을 제시하였으며, 교수매체 활용 방법으로는 단어·그림카드, 사진, 만화, 문화산물, 노래, 파워포인트, 영화, 인터넷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지도 단계인 ‘문화소개단계·언어와 문화 결합단계·문화체험단계·정리단계’에 따라 문화소재별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지도자료와 함께 예시하였다. ‘문화소개단계’에서는 교사가 그림 및 사진 등을 담은 파워포인트 자료를 활용하여 문화내용을 소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도하고,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화내용을 인지하도록 하였다. ‘언어와 문화 결합 단계’에서는 문화적 내용을 소재로 한 대화를 학습하여 무미건조한 언어지도를 피하고, 언어와 분리된 문화지도를 지양하도록 하였다. ‘문화체험 단계’에서는 역할극하기, 중국 노래 부르기, 중국 차 마셔보기, 중국 옷 입어보기, 중국 영화 보기, 중국 경극 보기, 게임하기, 중국 만화 보기, 인터넷을 활용하여 중국 태극권 따라하기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중국문화를 체험하도록 하였다. ‘정리단계’에서는 연습문제를 통해 배운 문화내용을 확인하고, 복습하도록 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문화소재별로 파워포인트 자료와 중국어 대화를 제작하여,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시간에 직접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 본고의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중국어Ⅰ》에서 학습할 수 있는 문화지도 소재를 선정하였고, 둘째, 고등학교 《중국어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화지도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셋째, ‘문화소개단계·언어와 문화 결합단계·문화체험단계·정리단계’의 순서에 따르는 문화지도 단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파워포인트 자료, 대화, 연습문제 등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제작·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The goal of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is enhanc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target language. However, mere four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raining is not enough to overcome communication problems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 as language i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history, custo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ive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Therefore it is quite natural to teach cultural background when teaching foreign languages. Numerous scholar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ulture instruction as opportunities for a culture exchange are increasing recently. Extending this trend, a number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upon the culture instruction at the high school level. These studies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ulture instruction or analyzed Chinese textbooks, suggesting the ways for improved culture education. However, we still need more concrete syllabus for culture instruction, which is directly applicabl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refore, this thesis explored "what to teach" as well as "how to teach" when teaching Chinese culture at the high school level. Based on the research outcomes, we proposed a possible application for Chinese culture instruction, using various materials. First of all, for the teaching items for Chinese culture education, the contents of "material culture" have been covered, which has been emphasized when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at the beginner's level. Also, 12 teaching items were carefully chosen for Chinese culture instruction in high school: greetings, holidays, tea, food, costume, Beijing operas, movies, residence, cultural heritage, transportation, leisure activities, and education. This selection was based on "Items for College Level Chinese Culture Instruction" (Park, Jong Han, 2001). Secondly, regarding the method of culture education, we went over researches of Rivers, Park, Sang Ok(1986) and Chung, Ki Eun(1997), of which the methods, we selected some applicable one for teaching culture in High School ChineseⅠ. We also divided the teaching methods into three categories including a teacher-centered method, a learner-centered method, and an instructional media utilizing method. And we offered detailed description to each method on how it can be applied to High School ChineseⅠ. For the teacher-centered method, we made culture aside and culture capsule. For the leaner-centered method, we introduced dialogues, exercises, audio-motor unit, role-plays and games. Finally, word and picture cards, photos, cartoons, cultural products, music, ppt materials, movies and various internet contents were included in instructional media utilizing method. In addition, following the culture education stages of culture introduction stage, combining language and culture stage, experiencing culture stage, and the final stage, we offered lesson plans with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In culture introduction stage, the instructor attracted students' attention by showing visual images in ppt materials so that learners could notice the intended cultural points in a suggested material. In combining language and culture stage, learners practiced dialogues on cultural issues, avoiding tedious repeated pattern drills. This method prevented culture education from being devoid of its language. In experiencing culture stage, we designed various activities with which learners can taste Chinese culture: role-playing, singing a Chinese song, tasting Chinese tea, wearing Chinese traditional costume, watching Chinese movies and Beijing operas, playing games, reading Chinese comic books, and practicing Chinese taijiquan mediated by Internet. In the final stage, learners could review the cultural contents through exercises. In this study, we specially developed dialogues and ppt materials pertinent to each cultural item, which can be directly employed in high school Chinese class rooms. The outcome of this paper follows like this. Firstly, we selected proper items for culture instruction in Hish School Chinese I. Secondly, we suggested more detailed methods of culture instruction, which should be useful with 《Chinese I》classes. Thirdly, we designed a series of culture education stages of culture introduction stage, combining language and culture stage, experiencing culture stage, and the final stage. Lastly, we can find the value of this paper that it devised and actually produced Chinese culture-relevant ppt materials, dialogues, and exercises, which can be directly used in classes.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