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善花-
dc.creator李善花-
dc.date.accessioned2016-08-25T03: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3:08:11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2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5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243-
dc.description.abstractSince the end of the 1970's, economic growth entered the steady state, but large Hierarchical organizations such as public officials, the police, and the military has been facing with manpower management problem represented by personnel surpluses.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re has been a periodical mass dismissal, early compulsory retirement and demotion. This means that manpower policy lack in no precise analysis and estimation on manpower or personnel. In addi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easible manpower policy, which was based on the above problem, was abs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positive analysis on the problem and to suggest the political alternative plan under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manpower management with which manpower employment, promotion, and retirement are closely correlated synthetically and dynamically and the need of synthetic model study covering overall manpower system. To carry out this purpose, Korea's current situation of manpower management system was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Civil Service Act and statistical data. The result shows that the absence of synthetic manpower policy was the serious problem. Markov Chain Model, which is applicable to Korean society modern some circumstances, was introduced to fulfil the positive analysis on public official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Some political alternative which are on the above analysis were proposed in this study. When one recognizes the urgent problem on manpower management and the importance of manpower in Korea where natural energy resources are scarce, we need diversified efforts and plan to carry out the study of synthetic and dynamic manpower model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cy.;경제성장이 안정기에 접어든 1970년대말 이후부터 공무원, 경찰, 군대는 물론 대규모 사기업체들에서 인사적체로 표현되는 인력관리상의 문제점이 대두되어 대량해직, 조기퇴직, 강등임용 등의 조치가 악순환적으로 되풀이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70년대 이후 한국사회에서 인력관리 또는 인사정책에 대한 치밀한 분속과 예측 그리고 이것에 입각한 적정인력정책의 수립이 부재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인력의 채용, 승진, 퇴직 등의 관리가 상호밀접한 연계속에서 종합적이고 동태적으로 이루어지는 인력관리에 대한 연구 또는 인력이동의 전체계를 포괄하는 종합적 예측모형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행하여 차후 인력관리의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국가공무원법과 통계자료를 근거로 우리나라 공무원 인력관리제도의 원칙, 특징 및 현황을 살펴보고, 종합적 인력관리 모형인 Markov Chain 모형을 도입하여 국가 및 지방공무원에 대해 실증적 분석과 예측을 실시한 후 이 분석결과들을 근거로 몇가지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정부기능 조정과 지방자치제 실시등의 현상황하에서 공무원 인력수급 예측의 필요성과 인력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한다면 종합적이고 동태적인 인력관리모형 연구와 정책수립에 대한 다각적인 노력과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Ⅱ. 우리나라 공무원 인력관리 제도와 문제점 = 5 A. 인력관리제도와 현황 = 5 B. 인력관리제도상의 문제점 = 16 Ⅲ. 종합적 인력관리 모형 = 22 A. 인력예측모형 = 22 B. 종합 인력관리 모형으로서 Markov Chain Model 예측기법 = 26 Ⅳ. 공무원 인력관리의 실증적 분석 = 39 A. 정책적 수단과 분석범위 = 39 B. 분석결과의 해석 = 44 Ⅴ. 결론 = 56 A. 요약 및 정책대안 = 56 B. 연구의 한계와 장래방향 = 58 참고문헌 = 60 ABSTRACT = 65 부록 = A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458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통합적-
dc.subject예측분석-
dc.subject모형-
dc.subject공무원-
dc.subject인력관리-
dc.title통합적 예측분석 모형을 이용한 공무원 인력관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tergrated Forecasting Model for Public Servants Manpower Management Policy-
dc.format.pageiv,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