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명옥-
dc.creator김명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03: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3:08:11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0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5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005-
dc.description.abstract미술은 사회와 문화 그리고 개인이 가졌던 세계관을 조형의 양식으로 시각화 한다. 한시대의 작품은 그 시대상을 표현함은 물론 그 시대가 갖는 시대 정신을 반영하며 특정한 작가의 작품 세계는 그 작가가 사물과 시대를 인지하고 해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미술의 역사는 곧 세계관의 변모를 가시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조형 작품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독교 세계관과 그 신앙을 전제로 하고 있다. 만일 한 예술가가 기독교인이라면 그때에는 예술가와 기독교인이라는 두 개념을 분리할 수 없을 것이다. 예술가의 영혼이 전적으로 자기 작품에 집중되고, 작품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연구 작품은 본인의 기독교 신앙을 전제로 하는 작품이므로 기독교 미술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독교 미술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해 그 역사적 배경과 성경적 지침, 그리고 그리스도인 예술가의 소명에 대해 고찰해 보고 신앙에 근거한 감성을 시각화 하는데 있어 그 적절한 표현 방식을 찾고자 했다. 신앙에 의한 내면적인 감동은 찬송을 부를 때나 말씀을 볼 때 더욱 승화되는데 사랑, 은총, 희락, 평강, 소망, 영광, 감사 등의 마음의 감동들을 표현함에 있어 내면 즉 정신의 표출을 그 이념으로 하는 추상에 근거를 두고 시각화 하였다. 이러한 모든 감성들을 하나의 테마 즉 찬양이라는 테마로서 소화함에 있어 찬양이란 일반적으로 쓰여지는 용어가 아니므로 기독교에서 말하는 찬양의 의미를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또한 찬양에는 음악이 필수불가결한 요소로서, 찬양의 시각화에 따른 이론적 배경으로서 시각에서의 음악적 개념을 고찰함과 음악적 요소를 시각 예술작품 에 표현한 작가들의 실례를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서 청각 언어인 음악과 시각 언어인 미술의 융합 가능성을 작품 제작을 통해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문과 신앙의 일원화를 구축하며 기독교 문화계 안에서 시각 영역의 일원자로서 실제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예술은 하나님께로부터 부여된 것이므로, 그분께 대한 순종과 사랑, 그리고 이웃에 대한 사랑 가운데서 그분을 통하며, 즉 그가 주신 재능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써 우리는 예술을 하나님께 다시 헌상(獻上)하는 것이다. 찬양으로서 말이다. "새 노래로 여호와께 노래하라 온땅이여 여호와께 노래할찌어다" (시편 96:1).;The art visualizes society, culture, and the view of the world which an individual have in the form of modeling. The works in each period reflect not only the shape of the times but also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us show the results recognized and analyzed by a specific artist about the times and the things. In this respect, the history of art can be said as the history of modeling works which have recorded the changes of the world view visuaally.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hat the art can start the historical departure along with the religion.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lies in my view of the world based on the Christianity and in my belief for it. If a given artist is a Christian. both the artist conception and the Christian one can not be separted in such a case. Because the spirit of the artist concentrates on the this works entirely and it dominates them. It can be said that my works belong to the Christianity art on the premise of my belief.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urvey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Biblical guides, and the summon of the Christian ati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ristianity art, and search for the adequate ways of expressing and glory, Ivisualized them based on the ideological abstraction of the inside, or the spiriual manifestation. In appreciating all these sensibilites as a theme, the praise, I introduced briefly the meaning of the praise, for it is not a widely used term. Also, considering that the music is a essential part of the praise, I tried, as a theoretical basis to the visualization of the praise,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harmonizing the music, the hearing language, and the fine arts, the visual language, by surveying the musical conceptions contained in the visual sensibility, and analyzing and comparing each other some works of the artists who represents the musical elements in the works of visual art. The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preparting the scientific basis which can be utilized practically as a member of visual presentation within the boundaries of Christianity culture by building the unification of art science and faith. The art was created by the Lord. So it must be completed through the talents endowed by God with Love, obedience, and love of our neighbor. In this way, we can again dedicate the art to the Lor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Ⅱ. 기독교 미술의 이해 = 4 1. 기독교 미술 = 4 2. 그리스도인 예술가의 소명 = 7 Ⅲ. 이론적 배경 = 11 1. 찬양의 의미 = 11 2. 시각에서의 음악적 개넘 = 14 1) 리듬 (Rhythm) = 15 2) 하모니 (Harmony) = 17 3) 멜로디 (Melody) = 18 3. 추상 표현 = 20 Ⅳ. 시각 언어를 통한 나의 찬양 = 31 1. 작품 전개 = 31 2. 작품 분석 = 34 Ⅴ. 결론 = 46 참고문헌 = 48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469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기독교-
dc.subject감성-
dc.subject추상-
dc.subject표현-
dc.title기독교 감성의 추상적 표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Abstract Presentation Based on the Christianity Sensibility-
dc.format.pagevii, 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