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1 Download: 0

중등학교 design 수업의 model에 관한 연구

Title
중등학교 design 수업의 model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ongin's privilege in the late Yi Dynasty
Authors
金恩美.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공물비납제공인권공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esign은 우리의 생활을 좀 더 편리하고 아름답게 하는 창조행위이다. Design 교육은 이러한 생활 개선을 목적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표현능력을 습득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이루어진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Design 교육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것은 대부분 교육현장에서 학생이 직접 생활 속의 산 Design 문제와 직접적, 경험적으로 접하기 보다는 하나의 전형적 지식의 대상으로서 다루어 지고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오늘날 환경이 다각적인 면에서 급속히 변화하고 있음에 따라, 늘 새로운 교육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Design 교육에 있어서, 교사에 의한 주입식 Design 교육이 아닌 학생들이 직접 자신의 생활 주변에서 Design 문제를 찾고 해결하게 하는 수업 model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ign 교육은 Design에 대한 확실하고 올바른 개념 인식에서 출발해야 하므로 본 연구는 먼저 문헌을 통하여 이를 규명하고 아울러 탐구적 Design 수업의 성격을 파악한다. Design은 우리의 구체적 행복을 위하여 생활에서 늘 새롭고 편리한 형태를 추구하게 된다. 때문에 Design 교육은 학생들 각자가 자신의 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형태나 문제점을 찾고 그것을 스스로 해결할 줄 아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이것은 Design 수업이 탐구적인 조형문제의 해결 과정으로 이루어져야함을 의미한다. 문헌 조사에서 나타난 바로 이러한 탐구과정은 대체로 발견, 문제해결이 포함되며, 수업의 성격은 개별적이고 자율적이며 창의적 총합적인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토대로 설계된 수업 model은, 영국의 Keele University 연구팀의 "Design and Craft Education Project"에 나타난 문제해결 과정을 참고로 하였으되 이것은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 난점이 많아 우리의 실정에 맞게 고안하였다. 설계된 탐구적 Design 수업 model은 제재제시, 관찰, 발견, 구상, 구현, 평가의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model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10개의 중·고등학교 미술교사에게 위의 model에 따라 수업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업안의 분석은 수업내용 보다는 활동의 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안은 전체보다는 개별적이고, 개념이해 보다는 창의적 표현 중심으로 이루어 짐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model에 의해 Design 수업계획이 세워진다면 문제해결적인 탐구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The design is the creative work that makes our life more convenient and lovely. The purpose of education of design is based on student's acquiring the ability of expression to improve our environment. But nowadays, since, in most studies, students usually regard design work as only conventional knowledge not direct or experienced one in our living. Furthermore, in order to meet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we should research new educational methods in every respect. This thesis aims at researching a model of study so that students can find and solve design works in their life by themselves, not through cramming studies by teachers. The education of design should start with concrete and right recognition of concept. Accordingly, it would be prescribed with investigation of various records on this thesis and the character of study of researchful design would be caught. Because design works search constantly new and convenient form for our comfortable life, the education of design should let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find the problem and form needed in their life and to solve it by themselves. Also, it means that the study of design should be exist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researchful moulding. In accordance with records, it can be found that such research contains the discovery and settlement of problems and that the character of study has the individual, self-controlled, creative and synthetic characteristic. The model of study based on this characteristic was referred to the course of problem-solution said in "Design & Craft Education project" by the research team of Keele University in England, but not being fit for our educational circumstances, it was revised to be suitable for ours. So, the model of design study presented here appeals the process of a theme presentation, observation, investigation, solution, realization and evaluation. With a view to analyze the effect of this model, art teachers of 10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Seoul were requested to make a teaching plan based on this model. And then the analysis of teaching plans was focussed on the nature of activity other than the content of study.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eaching plans were mostly made an emphasis on the creative expression more than the understanding of conception and also on individual, not on whole. Therefore, if the teaching plan of design based on this model is made, it will be accomplished the researching study pointed out the solution to the probl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