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꽃의 이미지의 視覺化

Title
꽃의 이미지의 視覺化
Other Titles
Visualization of the image of flowers : Centered on chrysanthemum pattern
Authors
林喜德.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국화문시각화이미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언제 어디에서나 人間은 自然美를 동경하고 찬양하여 그것에서의 이미지를 形象化하려는 造形的 活動을 끝없이 지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형활동은 생활주변을 좀더 아름답게 하고자 하는 希求로서 자연의 대상들이 工藝品이나 繪畵를 통해서 표현되어 왔다. 특히 꽃중에서도 菊花는 늦가을 찬서리에서도 절개를 지키며 孤高히 서 있는 모습과, 그 천연의 美와 색감에서 오는 유연성으로 하여금 많은 사람들이 美的 表現對象으로 택하여 그의 행태를 여러 가지 양식으로 표현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菊花紋이 우리예술에 어떤 형식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가를 문헌연구와 과거의 국화문을 통하여 분석연구하므로서 우리민족의 造形意識을 알아보고 현대디자인에서의 형태확립에 寄與하려는 것을 目的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目的을 위하여 이론적 배경에서 自然과 造形, 꽃의 이미지, 이미지의 視覺化에 관한 이론적 전개를 위하여 문헌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菊花紋의 視覺化에서는 菊花의 意味를 밝히고, 각 대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개인소장품에서 수집한 자료를 中心으로 高麗時代, 朝鮮時代(주로 도자기)로 구분하여 그의 形成原理, 單位形成方法을 분석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에 도달할 수 있었다. 1. 人間은 옛부터 自然에 대한 동경과 자연중에서도 꽃(菊花)의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생활을 미화하려는 본능적 조형행위가 끝없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高麗時代, 朝鮮時代의 공예품(주로 도자기)에 다양하게 施紋된 菊花紋의 造形性을 분석한 結果, 가. 高麗時代 菊花紋의 特徵은 대부분 찍는 印花技法과 象嵌技法으로 인한 도식화된 同一形을 반복배치한 表現으로 簡潔한 질서와 율동미를 찾아 볼 수 있었다. 나. 朝鮮時代 菊花紋의 特徵은 자유스러운 필치로 표현된 繪畵的인 表現技法으로 朝鮮時代의 소박하고 감수성있는 美를 엿볼 수 있었으며, 그 외에 工藝品에서는 소담한 형태와 함께 따뜻한 人情이 서려있고 세련된 표현으로 民族的 정취와 격조높은 造形意識을 알 수 있었다. 3. 전통적인 문양을 통하여 그것의 創造를 가능하게 한 당시의 美意識을 이해하고, 아울러 전통적 국화문의 多樣한 形態로 그 이미지가 表現되었으므로 이를 기계화된 현대문명과 변모하는 오늘의 생활양식속에서의 生活과 一體가 될 수 있는 現代的 形態의 創造와 앞으로의 造形的 視覺化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Everytime, everywhere in the world, human has ceaselessly been longing and appreciating the beauty of nature, and doing creative activities to shape the images from nature, Such shaping activities are our basic desire to make environment better, and they are represented through handicrafts or paintings of the objects of nature. Especially the flowers (chrysanthemum) in nature have been chosen as the symbolized object of beauty, and it's patterns have been showed in the various methods and ways, because of the softness of natural beauty and color, and the attitude of standing alone as adhering to it's integrity against frost of late autumn. This study, therefore, is to contribute to the confirmation of patterns of it's image in the modern design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forms and method of representation of chrysanthemun in our art on the documents and old patterns revealed the sense of shaping of our nation. In order to obtain the goal, I have investigated that through documents to make theoretical development, with nature and shaping, image of flower and visualization of images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o. In visualization of patterns of chrysanthemum, I have studied the meaning of chrysanthemum, and referred to materials and data from the museums of universities, national museums and private collections, After classifying the principle of shaping and the method of unit shaping as the typicals of the time of koryo and chosun (Chiefly porcelain) with these data, I can reached the conclusion as follows : 1. From very old time, human has continuously been doing the work of instinctive shaping of images to make atmosphere better by visualizing images of flowers (chrysanthemum) among nature as the aspiration for nature.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shaping of various chrysanthemum patterns of the handicrafts of the time of koryo and Chosun (chiefly porcelain), proved itself to be a) The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n pattern of the time of koryo is mostly done by simplified order, repetition expression of same shape of figure as pressing and inlaying methods. b) The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pattern of the time of Chosun is the painting feeling showing free brush touch. I can easily see the beauty of simple sensitiveness of the time of chosun. Besides there is humanism and polishing with precise pattern in the handcrafts. With these patterns and methods. I could be reassured of national excellent shaping sense and sentiment. So we became understand the sense of beauty at that time which make it possible to creat through traditional pattern of beauty, and at the same time the traditional pattern of chrysanthemum was represented in various methods, that we can creat of modern patterns and visualize shaping sense forwards to be unified with activities in the mechanized culture of modern and in the changing today's life sty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