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유진.-
dc.creator정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3:08:05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9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4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974-
dc.description.abstract예술가들의 도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한 것은 1860년경부터이며, 이로인하여 전통적 도예는 현대적인 예술성을 갖게 되었다. 현대도자예술의 이와같은 경향은 화가나 조각가들의 점토를 예술적 표현의 재료와 수단으로 사용하므로써 나타나기 시작했다. 도예에 참여한 화가들은 영국등 다른나라의 화가들도 있었지만, 대부분 불란서에서 활동하던 화가들 이었다. 그중에서도 특히, 고갱, 미로, 샤갈, 피카소는 비교적 독창적인 도예작품을 제작하였으며, 높이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고갱, 미로, 샤갈의 도예는 시험적인 단계에 그쳤다. 이들은 일시적인 작업과, 단순히 화가로서 도기 표면을 장식하는 일에 만족하였다. 이에 반하여, 피카소는 25∼30년에 걸친 장기간 도예 작업을 하였으며 주제도 다양하고, 도기의 형태와 표면장식을 일치시켜 현대도예의 전문가적 단계에 도달했다. 피카소의 도예작품을 주체, 형태, 장식기법 면에서 분류, 연구하였다. 주제로는 크게 구상적 주제와 신화적 주제로 나누어 주었다. 구상적 주제는 투우, 황소, 부엉이, 비둘기, 여인, 광대나 곡예사 화가와 모델정물 등이다. 신화적 주제는 목신, 산양, 캔타우로스(Centaurus) 등이다. 형태는 기능성을 위주로한 도자형태, 기능과는 무관한도자형태, 인간과 가까이 지내고 영원히 보존되는 가능한 건축도자형태로 분류했다. 장식기법은 가소성 상태의 장식, 음각, 압인, 스크라피토(Sgraffiato) 스프리깅(sprigging), 왁스-레지스트(Wax-resist), 브러시 기법(brush)으로 분류하였다. 이런 분류 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첫째, 피카소의 도예작품은 기술을 익히지않은 상태에서 점토의 제약점을 두려워하지 않는 혁신적인 시도로서 새로운 형태를 창조했고, 결국은 기본 도예기술을 넘어선 치밀한 계획과 기술로 이루어진 훌륭한 균형과 비례를 갖춘 작품을 탄생시켰다. 둘째로, 피카소는 성형하거나 장식을 할때 자신이 직접 구상하고 제작했다. 그래서 형태와 장식을 분리시켜 도공과 화가를 구분하여 생각하던 종래의 사고 방식을 바꾸어 놓았다. 셋째로 그는 실용적인 도자형태에 단순한 장식성을 부여하여 생명력 있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따라서 피카소의 전 창조기간을 통해서 보여지는 일반적인 예술작품의 경향이 모두 융합되어 도예작품에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것들은 미를 창조한다는 유희정신에 의해 승화되어 표현되었다.;Artists' concern about 'ceramic' has begun since 1860. Thereafter modern artistic features have appeared in traditional pottery, in particular, since clay has been used as materials for painters and sculpters' creation. Of the artists interested in ceramic art, the most active ones were from France, though it spread all over Europe including England. Gauguin, Chagall, Miro and Picasso in France created the comparatively orginative ceramic works; however the works of them except Picasso were those of the experimental tyros satisfied with temporary taste for the surface-decoration of pottery. Picasso was one of the great masters, who especially harmonized form with surface-decoration of pottery, engaging in ceramic art for twenty to thirty years. In this thesis, The author classified and studied the ceramic works of Picasso from three points of view:subject, form, and techinique. Subject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oncret subject and mythic subject. The former includes the works concerned with bullfights, oxen, doves, women, acrobats, painter and models, inanimate objects, etc. The latter refers to the works about Faun, Ibex, and Centaur. Form can be classificed into three categories:pot-form, non-pot form, and architectual pot-form. Pot-form is different from non-pot form in terms of emphasis on the function of pot. Architectual pot-form is familliar to men and can be preserved permanently. Technique of decoration can be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decoration under the plastic state, incising, stamping, slip-decoration, sprigging, wax-resist, brush. As a result of these classifications and studies of ceramic works of Picasso, the author came to thre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Picasso created new forms with revolutionary methods despite handicaps of clay as a non-specialist in the field of pottery. Finally he created the great works with balances and proportions with alaborate ideas and techniques. Second: Picasso himself created form as well as decorated. This changed the existing mode of thoughts that creation of form is different from decoration. Third: Picasso gave a representational meaning to the field of pottery by adding simple decorations to the field of pottery. Therefore, the author concluded that artistic features Picasso showed in his works throughout his life were integrated and expressed in his pottery works, in particular With 'spirit of play' which is caused to create beau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4 Ⅱ. 피카소 이전의 현대도예의 발달과정 = 5 A. 현대도예의 정의 = 5 B. 현대도예의 시작 = 6 C. 화가들의 도예작품 = 14 Ⅲ. 피카소의 도예작품 = 25 A. 피카소 도예작품의 특성 = 25 B. 주제별 작품분류 = 30 C. 형태별 작품 분류 = 40 D. 장식기법별 분류 = 52 Ⅳ. 결론 = 58 참고문헌 = 60 도판 = 63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525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피카소-
dc.subject도예작품-
dc.subject현대도예-
dc.title피카소의 도예작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eramic work of Picasso-
dc.format.pageviii, 75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