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阿娘型傳說硏究

Title
阿娘型傳說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egendary type of A-rang
Authors
김대숙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Keywords
아랑형전설소설전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대석
Abstract
This thesis approaches the A-rang, legends, which is one of many similar legends belonging widely to the Won-ryeoung legends, with the view of explicating the essential nature of oral traditional folklore as one of our most outstanding literary works. The legends of A-rang type share the common ground featuring the plot as follows; a nation is in disorder haunted by a spectre who once was a woman killed wrongly and inflicts disastrous deeds on the people to payoff her old scores. Fortunately, a brave man dare to face the ghost and hear her woe and regrets and then avenge her on her murderer. Consoled and appeased, the spectre goes away and the world recovers the peaceful state, dissipated its gloom away. Thus, in this essa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10 pieces of legendary works to establish a typal structure, the features of the A-rang legends are examined in three respects. First, it is found that the theme of the legends complicates the morality of reproving vice and rewarding virtue. It means that they are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vindictiveness. that is the evening process of evil-doing which seems instructive not to incur the grudge of anyone, promoting the justice. Secon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olklore and the novel are rooted in the tradition of epic prosaic narrativa, the A-rang legends are compared with three other novels, such as, Chang-wha-hong-ryeon-jeon, Kim-in-yang-jeon, and Sook-young-nang-ja-jeon which represent the similar typal structure of the legend. There exist many similarities in their organic structures of generic nature, especially in the plot development by solving the obstacles, in their coflicts aroused by the greed of property and avarice, in the panoramic events perior to the character as a victim, the novels stress the character as a autobiographical narrator of her personal history. Therefore the character not only takes her more concrete form in novel than in legend. But also as for the perception about an apparition, the people's outlook of world shows a transition from the god-oriented one in the legends closer to the man-oriented one in the novels. Third, the ideational background of admitting the appearance of a spectre is searched out in regard to the foreign cultures and the Shamanism which has flowed in unceasing continuity among the masses of the people. Then it comes to a conclusion that out of the pure ground of Buddhism, Taoism, or Confucianism it is unlikely to believe in the apparitions like the ones in these legends. Therefore the conception of them is born out of the Shamanistic background which shows the practical attachment toward this world and life. It can be acknowledged by the fact that the people who depended on the Shamanism is at the same time the receiver groups of folklore. In this context the common ground of characteristics are found among the majority of people who really enjoy the legends and keep transferring them from the past through to the present.;본 논문은 구비서사산문문학인 전설 가운데 원령전설의 일종인 「阿娘型」傳說에 관한 연구이다. 아랑형전설의 유형적 특징은 억울하게 죽은 여인의 영혼이 원귀가 되어 자신의 원한을 알리고자 이세상에 재변을 끼치므로, 담대한 사람이 원귀를 만나 대화하고 설원해 줌으로써 그 영혼을 위로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내용의 전설을 세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첫째, 10편의 전설 각편을 대상으로 유형구조를 추출한 결과, 본 전설은 "담대한 한 사람이 어느 장소에 머무름→원귀와의 상면→원귀의 정체를 파악→원수를 갚아줌"이라는 기본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그 구조를 분석하여, 본 전설의 주제는 권선징악이고 심층적 의미는 結恨과 解恨의 논리로서, 남에게 원한을 사서는 안된다는 교훈적 기능도 거기에서 나온다는 점을 밝혔다. 둘째, 설화와 소설이 같은 서사산문으로, 그 뿌리를 같이하고 있다는 가설을 전제로 본 전설과 본 전설의 유형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세편의 소설, 장화홍련전, 김인향전, 숙영낭자전을 서로 대비하였다. 그 결과 두 장르가 유기적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반대에 의한 발전을 한다는 점, 재물과 욕망으로 인한 갈등이라는 점, 사건이 성격묘사보다 우위에 있다는 점, 주제가 권선징악이라는 점 등 많은 공통점이 발견되며, 반면에 차이점은 주인공이 전설에서는 원귀로 나타나는 피해자로 부각되는데 소설에서는 일대기적 서술의 주인공으로 전설에 비하여 좀 더 형상화 되고 있으며 또한 귀신에 대한 인식에서 세계관이 전설속에서 보다 소설에서 神界중심의 세계관에서 人間界중심의 세계관으로 이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원귀출현의 사상적 토대를 외래문화 유, 불, 선등의 사상과 우리고유 민간신앙의 생사관 이라는 두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순수한 불교, 도교, 유교등의 사상에서는 본 전설에 등장하는 원귀와 같은 존재는 나타나기 어렵고, 현세지향적이고 삶에 집착하는 우리고유의 민간신앙인 무속적 심성의 바탕에서 이러한 원귀의 존재가 상념될 수 있음이 드러났다. 무속을 신앙한 계층과 전설을 향유한 집단이 모두 우리 사회의 저변을 이루는 민중들이기에 그 의식이 공통된 맥락속에서 발견될 수 있음은 당연한 귀결일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