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희.-
dc.creator김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3: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3:08:00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4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4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414-
dc.description.abstractThe basic structures of a musical composition are made by changes and contrasts. The variation is such a music that composed by adopting the various techniques of composition through changes and contrasts. The prototype of variation emerged in the Middle Ages and the Renaissance, in which a little ornamentation was added to the rhythm or melody based on a cantus-firmus of Gregorian chant or of a folk song, however, the full-fledged variation as a musical form began to be seen in the early 16th century in the works for strings including lute and vihuela and those for keyboards, all of which were composed by Italian, Spanish and English musicians. In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being widely used in many works of instrumental music, the variation showed up in the form of Chorale variation, Partita, Ground, Chaconne, Passacaglia, Strophic variation, and Double. In the classical periods a theme - and - variations are used as an independent composition and as one of the movements of a symphony or chamber music by C.P.E. Bach, Haydn, Mozart and Beethoven. Especially Beethoven developed the character variation, which was changing even the whole characteristics of theme, hence many isolated character variations were produced in Romantic periods. In addition, many sets of variations, some based on the older classical techniques, virtuoso variation had more technical tendency, and free or fantasia variations developed a theme more freely were produced in that periods, therefore it got to be possible that composers could have each own variation techniques. Even though Saint - Sae¨ns was a post - Romantic composer, he followed the classical method of variation. The analysis of the variation handled in op. 35 (for two Pianos) shows that the set was based on the classical techniques by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me is represented through eight variations and fugue. The musical roles are distributed properly to piano Ⅰ and Piano Ⅱ, two pianos lead the sets in equivalent position, so balanced techniques are required in playing the piano Ⅰ and Ⅱ. It has many changes in time as well as in key within the boundary of relative key, so does in tempo, that is, the tempo of each variations are all different. Thoroughly dynamic rhythm, harmonious melody, chromatic progression and ornamented pedal point are considered as its own merits. The advance in the form of basso ostinato which can be seen at the variation Ⅶ and the connection in 4 voice fugue are outstanding in point of counterpoint. The form, in which the theme of Variation Ⅷ is inversed entirely, can be seen rarely in any other variations. In conclusion this set, based on the classical techniques, applies the techniques so freely that its contents emanate the freedom of Romanticism and the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French. In addition, the structures and contents of this set were harmonized excellently because the elements of Classicism and Romanticism were intermingled in the work.;음악 작곡의 기본 구성은 변화와 대비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변화와 대비를 통한 여러 가지 작곡의 기술 내지 기법을 그대로 적용해서 만들어진 음악들이 변주곡이다. 일찍이 중세나 르네쌍스시대의 Gregory 성가나 한 민요를 정선율로 해서 리듬이나 멜로디에 조그마한 장식을 가하는 변주형태가 있었지만 하나의 음악형식으로서의 변주곡은 16세기 초반 Italy, Spain, England 작곡가들의 Lute, Vihuela 등의 현악기 그리고 건반악기를 위한 작품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17세기에 들어서는 변주의 기법이 여러 기악작품에 널리 쓰이게 되어 Chorale Variation, Partita, Ground, Chaconne와 Passacaglia, Strophic Variation, Double 등의 변주곡이 생겨났다. 고전주의 시대에는 C.P.E.Bach, Haydn, Mozart, Beethoven 등에 의해서 변주곡이 단일 악곡으로써 혹은 실내악이나 교향곡 등의 하나의 악장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Beethoven은 주제의 전체적인 성격까지도 바뀌는 성격변주곡(Character Variation)의 발전을 유도하여 낭만주의 시대에는 훨씬 독립적인 성격변주곡이 많이 작곡되었다. 이외에도 옛 고전적 기법을 따르는 변주곡, 보다 기교적인 경향을 띠는 기교적 변주곡, 주제를 보다 자유로운 방법으로 발전시키는 Free 내지는 Fantasia 변주곡등이 낭만주의 시대에 많이 작곡되었으며 이때에는 작곡가마다 개인적인 변주곡 형식을 갖게 될 만큼 모든 변주기법이 가능해졌다. Saint-Sae¨ns은 후기 낭만주의에 속하는 작곡가이지만 고전적 기법을 따르는 변주곡을 작곡하였다. 그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 op.35"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변주곡의 주제는 대개 기존선율에서 따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곡 역시 Beethoven의 Piano Sonata op.31-3 제3악장 Minuetto의 Trio 부분에서 가져온 것으로 30마디로 된 이 곡의 주제는 보편적인 변주곡의 주제가 8마디에서 16마디 혹은 20여마디로 된 것에 비교한다면 비교적 긴 주제라 할 수 있으며 8개의 변주와 Fugue를 통해서 주제의 특징이 그대로 재현되고 있는 다시 말해서 고전적인 변주기법으로 작곡된 곡이라 할 수 있다. Piano Ⅰ과 Piano Ⅱ에 배분된 음악적 역할이 적절히 안배되고 있으며, 두 대의 피아노가 대등한 입장에서 음악을 이끌고 있고 따라서 피아노 연주에 있어서는 Piano Ⅰ과 Piano Ⅱ에 대등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조성은 관계조내에서 변하고 있고, 박자의 바뀜이 많으며 각 변주의 빠르기는 모두가 다른, 즉 변주에 따른 빠르기 변화가 다양한 곡이다. 전체적으로 생동하는 리듬, 화음선을 띠는 멜로디, 반음계적 진행, 장식된 지속저음 등이 이 곡의 특징이 되고 대위법적으로는 제7변주에서 보여지는 Basso Ostinato적인 진행, 4성 Fugue에서 보여지는 뛰어난 대위법적인 연결이 돋보이는 곡이며, 제3변주에서 보여지는 주제가 완전히 반행되면서 변주되는 형태는 다른 변주곡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전 곡은 고전적인 기법을 기초로 하나 이 기법을 자유로이 응용하여 내용적으로는 낭만주의의 자유로움을 바탕으로 프랑스인 특유의 개성미를 반영시켰다고 할 수 있으며,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양면성을 잘 융합함으로 음악의 형식과 내용을 뛰어나게 부가시킨 작품이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변주곡의 역사적 변천과정 = 4 Ⅲ. 작품 35의 분석 = 28 Ⅳ. 결론 = 78 참고문헌 = 81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189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Saint-Saens-
dc.subject피아노-
dc.subject변주곡-
dc.titleC. Saint-Saens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 op.35에 관한 분석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variations op.35 of C. Saint-Saens-
dc.format.pagev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8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