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英姬-
dc.creator金英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7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5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4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536-
dc.description.abstract유아 음악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아들이 현재 음악을 할 수 있는 상태를 알아야 한다. 유아의 성숙과 현재의 능력에 대한 합당한 판단은 그들을 위한 음악교육의 목표와 그것을 이루기 위한 전략(strategy)을 갖게 되고 거기에 알맞는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문제는 음악의 구조를 이루는 요소들 가운데 리듬(rhythm), 음높이(pitch), 가락(melody), 음색(timbre)에 대한 반응을 검사하여 유아의 기초적 음악능력을 알아보고 음악반응 능력의 연령별 성별 차이는 어느 정도이며 음악능력과 음악환경과는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 보아 유아 음악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하나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서 소득수준이 높은 아파트가의 유치원 한 곳, 중산층 주택가의 유치원 두 곳, 법적 영세민을 포함한 저소득층 유아원 한 곳에서 총 157명의 유아와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했다. 음악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리듬 8문항, 음높이 8문항, 가락 7문항, 음색 6문항으로 된 총 29문항이다. 유아의 음악환경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부모를 대상으로 10문항으로 된 질문지를 사용했다. 자료의 처리는 각 문항에 대한 연령별, 성별, 평균을 산출하고 음악능력과 음악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통계처리한 후 비교 분석하고 유의도 검증을 위하여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리듬반응에 있어서 유아들은 쉽고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특정한 박자에 있지 않고 리듬형태(rhythm pattern)에 달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빠른 템포(tempo)의 리듬과 부점이나 당김음(syncopation) 등 변화있는 리듬형태에 잘 반응했다. 2. 음높이 구별에 있어서 유아는 높이의 차가 클 경우는 잘 구별하나 미세한 차이나 제자리 반복음은 잘 구별하지 못하였다. 유아들은 높다, 낮다는 어휘를 음높이 개념에 적용시키는데 다소의 어려움이 있었다. 3. 가락의 반응에서 리듬과 음정을 분리해서 평가한 결과 리듬을 잘 반응한 반면 음정에 있어서는 아직 불확실한 음정을 내는 유아가 많았다. 4. 음색을 구별하는 데서 유아는 이미 간단한 악기나 물체의 소리 식별은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유아의 기초 음악능력에 있어 연령간에는 의의있는 차가 있었고 성차는 없었으나 단지 가락에서만 5세 유아는 남아보다 여아가 더 잘 반응했고, 여아의 연령간에는 의의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6. 음악능력과 음악환경간에는 매우 의의있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음악환경이 좋은 유아가 음악능력이 높았다.;To make the music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effective, first of all, he should evaluate the present condition of early childhood correctly. The reason is that the reasonable judgement of their maturity and their present ability enables us to have the aim of music education for them and the strategy for its aim and offer us the proper environment for them. The necessity and the aim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for the more effective music education, by examining how much early childhoods can form the basic musical ability through the examinatior of rhythm-response, pitchresponse, melody-response and timbre-response among many elements of music structure, how much differences are there in the ability of musical response according to the different-aged early childhoods and the different sexes and how far the musical environment and the musical ability are relateded each other. The examination was applied to the total 157 early childhoods and their parents selected from one of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high-class apartment quarters, two of the kinder gartens located in the middle-class residential quarters and one of the public-nursery located in the low-class residential quarters including the extremely poor people protected by the low. The examination to measure the musical ability was composed of total 29 items made by the research worker - eight items of rhythm examination, eight items of pitch examination, seven items of melody examination and six items of timbre examination. To examine the musical environment of the early childhoods, 10 item written question was applied to their parents. For the treatment of materials, I computed the average of each item according to ages and sexes, I tre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ability and the elements of musical environment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m, and lastly they were t-examined for their significance - examination.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1. In the examination of rhythm-response, early childhoods expressed their difficulty not in the particular meter, but in the rhythm pattern. They well responded to various rhythm patterns such as quick-tempo rhythm and syncopation etc. 2. In the examination of pitch-response, they responded well to the big differences of pitches, while they are poor at differentiating the minute distinction and repeated Sound of the same pitch. They had a little difficulty in making them match the concept of high and low to the concept of pitch. 3. In the examination of rhythm-response, which seperates rhythm from tone, almost all the early childhoods responded to rhythm well, while there were many early childhoods who had unstable tone. 4. In the examination of timbre-response early childhoods distinguished the sound of simple music instruments from that of materials well. 5. For the basic musical ability of early childhoo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aged early childhoods and there was no such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early childhoods. Especially in the case of melody, the five-aged female early childhoods responded well than the five-aged mal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aged female early childhoods. 6. There was a significant relevancy between the musical ability and the musical environment, so the early childhoods who had good musical environment had higher musical ability than those who didn't have such a good musical enviro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유아의 음악교육 = 3 B. 유아의 성숙과 음악능력의 발달 = 7 C. 환경과 유아음악 = 12 Ⅲ. 연구방법 = 15 A. 검사대상 및 기간 = 15 B. 검사도구 = 16 C. 검사절차 = 19 D. 자료의 처리 = 21 E. 연구의 제한점 = 21 Ⅳ. 결과 및 해석 = 22 A. 리듬의 반응능력 = 22 B. 음높이의 반응능력 = 25 C. 가락의 반응능력 = 27 D. 음색의 반응능력 = 30 E. 총점분포와 음악요소간의 상관관계 = 33 F. 음악능력과 환경과의 관계 = 35 Ⅴ. 논의 및 결론 = 42 A. 논의 = 42 B. 결론 = 45 참고문헌 = 48 부록 = 50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903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아동-
dc.subject음악능력-
dc.subject발달-
dc.title幼兒의 基礎的 音樂能力 發達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basic musical ability of eary childhood-
dc.format.pageviii,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